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jinuo:4_ss:42_np:42_np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jinuo:4_ss:42_np:42_np [2018/08/17 14:34]
박성하 [지눠어의 양사와 그 어순]
doc:jinuo:4_ss:42_np:42_np [2019/03/29 16:17] (현재)
유현조
줄 1: 줄 1: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ture+#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 명사와 지시사의 어순
 지눠어의 지시사는 명사 앞에서 수식한다. 지눠어의 지시사는 명사 앞에서 수식한다.
  
줄 12: 줄 12:
 }}} }}}
  
-### 형용사와 명사의 어순+#### 형용사와 명사의 어순
 형용사가 관형어가 될 때는 일반적으로 명사의 뒤에 놓인다. ​ 형용사가 관형어가 될 때는 일반적으로 명사의 뒤에 놓인다. ​
  
줄 21: 줄 21:
 }}} }}}
  
-### 속격어와 명사의 어순+#### 속격어와 명사의 어순
 지눠어는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 [ja54]를 관형어의 뒤에 사용하여 관형 소유 구성을 나타낸다. 예는 다음과 같다. ​ 지눠어는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 [ja54]를 관형어의 뒤에 사용하여 관형 소유 구성을 나타낸다. 예는 다음과 같다. ​
  
줄 30: 줄 30:
 }}} }}}
  
-### 관계절과 명사의 어순+#### 관계절과 명사의 어순
 mɣ33는 동사(구),​ 형용사(구),​ 문장 뒤에서 관계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관계절화된 문장은 명사성 성분의 앞이나 뒤에 분포하는데,​ 앞에 분포하는 경우 ja54를 필요로 한다. mɣ33는 동사(구),​ 형용사(구),​ 문장 뒤에서 관계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관계절화된 문장은 명사성 성분의 앞이나 뒤에 분포하는데,​ 앞에 분포하는 경우 ja54를 필요로 한다.
  
줄 83: 줄 83:
 }}} }}}
  
-## 지눠어의 양사와 그 어순  ​+### 지눠어의 양사와 그 어순  ​
 지눠어에서는 명사의 개수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횟수를 셀 때 반드시 양사를 사용해야 한다. 지눠어에서 양사는 지시사와도 결합할 수 있다. 양사와 결합할 때 수사 '​1'​의 생략 가능성에 대한 언급은 참고문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양사의 어순은 다음과 같다. ​ 지눠어에서는 명사의 개수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횟수를 셀 때 반드시 양사를 사용해야 한다. 지눠어에서 양사는 지시사와도 결합할 수 있다. 양사와 결합할 때 수사 '​1'​의 생략 가능성에 대한 언급은 참고문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양사의 어순은 다음과 같다. ​
  
doc/jinuo/4_ss/42_np/42_np.153448409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4:34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