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jinuo:4_ss:46_val:46_va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jinuo:4_ss:46_val:46_val [2016/06/19 20:22]
박은석 [굴절 형식 상호태]
doc:jinuo:4_ss:46_val:46_val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 지누어는 화제를 나타냄에 있어서 표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유표지 화제문의 출현 빈도는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제 표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지누어의 화제 표지는 강제성을 띠지 않는다. +
- +
-- 화제 표지 조사는 kɤ33 인데, 음이 줄어 ɤ33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대조를 나타낼 때 출현하는 경우가 많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205) +
-ŋji33ko33 ​  ​kɤ33 ​ a33ɬo44ɬo44, ​  ​mi44khjy54 ​  ​kɤ33 ​  ​a44tshœ54tshœ54  +
-day.time TOP     ​hot ​       night       ​TOP ​      ​cool +
-낮에는 덥고 저녁에는 시원하다.  +
-}}} +
- +
-- 지누어에서 화제표지는 선택, 전환, 점진 관계를 나타내는 복문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244) +
- ​ni54 ​  ​ɤ33/​54 ​   ni54   ​a33, ​  ​ʧi54 ​  ​tsɔ33mlɛ44 ​ a33.   +
-small  TOP   ​small ​ DEC very  delicious ​ DEC +
-작기는 작지만 매우 맛있다.  +
-}}} +
- +
- +
-##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
-지눠어의 상호태는 굴절 형식과 분석 형식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굴절 형식은 상호조사를 통해서 실현된다. 분석 형식은 상호 의미를 나타내는 수량구로 실현된다. 굴절 형식과 분석 형식은 동시에 함께 사용할 수 있다.  +
- +
-### 굴절 형식 상호태 +
-“상호”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적 조사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po44'​ 이고 하나는 '​ʃi44'​ 이다.  +
-'​ʃi44'​ 는 싸움의 의미를 나타내는 상호조사이다. 동사 뒤에 위치하며 “서로 싸우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tʃƜ54/44 ʃi31/54  +
-beat    RECP +
-(몽둥이로) 서로 때리다.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tƜ44/33 ʃi31/​44 ​  +
-beat   ​RECP +
-(주먹으로) 서로 때리다.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thɛ31 ​  ʃi31  +
-beat   ​RECP +
-(손바닥으로) 서로 때리다.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tshœ31 ​  ʃi31  +
-stap     ​RECP +
-(칼로) 서로 찌르다.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klo31   ʃi31  +
-kick   ​RECP +
-(다리로) 서로 차다. +
-}}} +
- +
-po44는 싸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상호조사이거나 서로 시합함을 나타내는 상호조사이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ŋɯ54ŋji54 ​      ​sɯ44jɔ33 ​  ​po44 ​           nɛ33. ​   +
-two.of.us ​     know     ​RECP ​          DEC +
-우리는 서로 알고 지낸다.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 ​thi44 ​  ​xjo31 ​  ​thi44 ​  ​xjo31 ​  ​va44 ​   kjɔ44 tʃɯ33 po44.   +
- ​one ​  ​CL ​     one    CL    PTCL   ​想 ​   相信 RECP +
-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서로 믿는다(人与人之间互信。)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2) +
-a44ŋji54 ​  ​jɔ44kho44 thʌ31 ​   po44/31 ​ tɛ44, khɔ33su44 ​ tʃɣ44 ​ vai31 mʌ44  vai31 ?    +
-we.two ​  ​way ​    ​run ​    ​RECP ​  ​see ​  ​who ​      ​more ​ fast  NEG  fast +
-우리, 누가 빠른지 한번 시합해보자,​ 누가 달리는 게 더 빠르고 누가 달리는 게 더 느린지. +
-}}} +
- +
-### 분석 형식 상호태 +
-'thi44 xjo31'​와 '​thi44/​33 mʌ44'​의 두 수량구를 써서 “상호”의 의미를 나타낸다. 전자는 사람에 쓰이고 후자는 동물에 쓰인다. 분석 형식을 써서 상호태를 나타낼 때 동시에 상호조사를 부가할 수도 있고 부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
- +
-thi44 xjo31 : 사람에 쓰인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6) +
-thi44 xjo31 thi44 xjo31 va44  / thi44 xjo31 va44   ​thi44 ​  ​xjo31 ​  ​kjɔ44jɔ44kjɔ44/​33tʌ33/​44 ​  ​jɔ44 ​  a33.  +
-one CL   ​one ​ CL  PTCL   ​one ​ CL  PTCL  one   ​CL ​   understand ​       should ​  PTCL  +
-사람과 사람 사이는 서로 이해해야 한다. +
-}}} +
- +
-thi33 mʌ44 : 동물에 쓰인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7) +
-khɯ44jo44 ​  ​ŋji54/​44 ​ mʌ44/​54 ​ thi44/33 mʌ44 thi44/33 mʌ44  va44    nɛ31   ​mjʌ33 thi44to44/​54 ŋji31kɔ33 ​  ​nɛ33. +
-dog        two     ​CL ​     one   ​CL ​  ​one ​   CL   ​PTCL ​ smell  after together ​  ​play ​    DEC  +
-두 마리 개는 서로 (냄새를) 맡아보고 나서 같이 놀기 시작했다. +
-}}}+
doc/jinuo/4_ss/46_val/46_val.146633536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6/19 20:22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