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jinuo:4_ss:51_neg:51_neg [2016/02/22 22:55] 127.0.0.1 바깥 편집 |
doc:jinuo:4_ss:51_neg:51_neg [2018/08/18 10:11] (현재) 박은석 [2) 형용사술어문의 부정] |
||
|---|---|---|---|
| 줄 1: | 줄 1: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 51_neg : 부정 (negation) | ||
| - | - 표준부정 (standard negation): 직설법과 접속법의 부정을 만드는 방식이 다르고, 주절과 종속절의 부정을 만드는 방식이 다른 언어가 있다. 능동과 피동에서도 다를 수 있다. 직설법 주절 능동태 동사 술어 문장에서 부정을 만드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다른 경우를 설명. | + | - 지눠어의 부정사는 [thV44] ‘别, 莫, 勿’, [mV44] ‘不,没’는 품사상으로 부사로 볼 수 있고, 따라서 술어의 앞에 위치한다. |
| - | - 부정소: 영어의 not, 한국어의 "안" 같은 것. | + | |
| - | - 대칭성: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만들 때 부정소 첨가 이외에 다른 기제가 없을 때 대칭부정. 부정소 첨가 이외에 다른 구조적 변화가 수반되면 대칭적이지 않은 것이다. 예) 한국어의 "철수는 밥을 안 먹었다"는 대칭 부정. "철수는 밥을 먹지 않았다"는 비대칭 부정. 비대칭 부정은 대개 부정조동사가 개입한다. | + | |
| - | - 대칭 부정이 있는가? | + | |
| - | - 비대칭 부정이 있는가? | + | |
| - | - 금지 (prohibition): 부정명령. 어떤 언어에서는 부정 + 명령으로 금지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언어도 있다. 예) 한국어의 "말다". | + | |
| - | - 절유형에 따라 부정의 형식이 달라지는 언어가 많다. 절유형별로 부정의 예를 보여주는 것을 권장. 동사 술어, 형용사 술어, 명사 술어. | + | |
| - | - 부정어의 위치 | + | |
| - | 부정과 관련된 내용이 형태론 부분 등에서 나올 수 있음. 여기에서는 부정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아서 기술. | + | ### (1) 부정부사 |
| + | [thV44], [mV44]의 2종류가 있으며, 단독으로 문장성분이 되지 못한다. | ||
| + | |||
| + | #### 1) [thV44] | ||
| + | [thV44]는 ‘~하지 마라’의 의미이며, 명령의 금지에만 쓰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6) | ||
| + | [thV44 pja31]! | ||
| + | NEG speak | ||
| + | (너) 입 다물어! | ||
| + | }}} | ||
| + | |||
| + | #### 2) [mV44] | ||
| + | [mV44]는 ‘아니다’. ‘아니었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6) | ||
| + | [No31 kh731 va44 mV44 thM31 khM31 nE33] | ||
| + | 1SG 3.SG PTCL NEG chase reach DEC | ||
| + | 나는 그를 따라 잡을 수 없다. (我没有追上他。) | ||
| + | }}} | ||
| + | |||
| + | ### (2) 절 유형에 따른 부정 | ||
| + | |||
| + | - 동사술어문은 술어 앞에 [mV44]를 사용하여 부정문을 만든다. | ||
| + | - 형용사술어문은 단독으로(단음절 제외), 혹은 판단동사 ŋɤ31 '이다'와 함께 술어 역할을 할 때, 형용사와 판단동사 사이에 mʌ33을 사용하여 부정문을 만든다. | ||
| + | - 단음절 형용사가 술어 역할을 했을 때는 형용사 앞에 mʌ44를 부가하여 부정문을 만든다. | ||
| + | |||
| + | #### 1) 동사술어문의 부정 | ||
| + | 술어 앞에 [mV44]를 사용하여 부정문을 만든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231) | ||
| + | [No31 tShe31p_hM44 mV44/33 tV31/44 k_hjy54 a33] | ||
| + | 1SG alcohol NEG drink MOD.can DEC | ||
| + | 나는 술을 마실 줄 모른다. (我不会喝酒。) | ||
| + | }}} | ||
| + | |||
| + | #### 2) 형용사술어문의 부정 | ||
| + | 단독으로(단음절 제외), 혹은 판단동사 ŋɤ31'이다'와 함께 술어 역할을 할 때 Adj+mʌ33ŋɤ44 '아니다'로 부정한다. | ||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48) | ||
| + | xji33 a44sɯ44 a44ŋjø54 mʌ44/33 ŋɤ31/44 a33. | ||
| + | this fruit empty NEG be DEC | ||
| + | 이 과일은 빈 것이 아니다. (这个果子是空的。) | ||
| + | }}} | ||
| + | |||
| + | 단음절 형용사가 술어 역할을 했을 때, mʌ44+Adj 형식으로 부정한다. | ||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48) | ||
| + | a44sɯ44 a33nɤ44 mʌ44 nɤ31/35 lɯ33 sɯ44 a33. | ||
| + | fruit red NEG red come yet DEC | ||
| + | 과일은 아직 붉어지지 않았다. (果子还没有红。)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