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am:9_etc:91_borrowing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am:9_etc:91_borrowing [2018/01/14 16:47]
서취아
doc:kam:9_etc:91_borrowing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차용어는 ​ +차용어는 이른 시기의 차용어와 늦은 시기의 차용어 두 가지가 있다.
-이른 시기의 차용어와 늦은 시기의 차용어 두 가지가 있다.  +
-- 북부 방언 중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비교적으로 많고, 남부 방언은 비교적으로 적다. +
  
-##### 차용어의 특징 +- 북부 방언 중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비교적으로 많고, 남부 방언은 비교적으로 적다. 
-이른 시기의 차용어의 특징 + 
-- 대부분 1음절 단어이다. ​+###(1) 차용어의 특징 
 + 
 +####​1) ​이른 시기의 차용어의 특징
 + 
 +- 대부분 1음절 단어이다.
 - 실사(實詞)가 상당히 많다. - 실사(實詞)가 상당히 많다.
-- 허사의 비율도 주목할 만하다. ​+- 허사의 비율도 주목할 만하다.
 -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들이다. -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들이다.
  
 예: ɕu³ ‘주인’,​ ek⁹′ ‘손님’,​ səm¹′ ‘마음’,​ pjiŋ⁶ ‘병’, ɕən¹′ ‘봄’, ha⁵′‘여름’ su¹′‘가을’ toŋ¹‘겨울’ 등 예: ɕu³ ‘주인’,​ ek⁹′ ‘손님’,​ səm¹′ ‘마음’,​ pjiŋ⁶ ‘병’, ɕən¹′ ‘봄’, ha⁵′‘여름’ su¹′‘가을’ toŋ¹‘겨울’ 등
  
-늦은 시기의 차용어의 특징. ​+####​2) ​늦은 시기의 차용어의 특징. 
 - 다음절, 특히 2음절 단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 다음절, 특히 2음절 단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 차용어 중 명사가 가장 많다.  +- 차용어 중 명사가 가장 많다. 
-- 의미가 추상적인 형용사와 동사들도 적지 않다. ​+- 의미가 추상적인 형용사와 동사들도 적지 않다.
 - 정치, 경제, 문화, 과학 용어 등이 많다. - 정치, 경제, 문화, 과학 용어 등이 많다.
  
 예: tsən¹tsɿ¹ ‘정치’,​ sɿ⁶ɕaːŋ⁴ ‘사상’,​ lji² tsʰaːŋ² ‘입장’ 등 예: tsən¹tsɿ¹ ‘정치’,​ sɿ⁶ɕaːŋ⁴ ‘사상’,​ lji² tsʰaːŋ² ‘입장’ 등
  
-- 동어에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있는데도 중국어로부터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단어를 차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해당 고유어와 차용어가 의미적 차이나 사용 상황에 따른 차이가 생겼기 때문에 동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2) 고유어와 차용어 공존 
 + 
 +- 동어에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있는데도 중국어로부터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단어를 차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해당 고유어와 차용어가 의미적 차이나 사용 상황에 따른 차이가 생겼기 때문에 동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예: 
 |단어|고유어|단어|차용어| |단어|고유어|단어|차용어|
 |mjaːi¹|(마,​면)실|ɕin⁶|(철)실| |mjaːi¹|(마,​면)실|ɕin⁶|(철)실|
줄 31: 줄 35:
 |po⁵|간장|taːm³|담력/​용기| |po⁵|간장|taːm³|담력/​용기|
  
-##### 같거나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이른 시기의 차용어와 늦은 시기의 차용어가 공존한 현상+###(3) 이른 시기의 차용어와 늦은 시기의 차용어 공존 
 + 
 +같거나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이른 시기의 차용어와 늦은 시기의 차용어가 공존한 현상
  
 |a¹| 노래(민요)|ko⁶|새로운 노래| |a¹| 노래(민요)|ko⁶|새로운 노래|
doc/kam/9_etc/91_borrowing.151591603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1/14 16:47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