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arachay:1_phonology:11_cons:11_con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arachay: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6/17 23:13]
Asel Talapova
doc:karachay: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29 11:29]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100% :+# 11_cons :  자음 (consonant)
  
 #### 카라차이-발카르어 자음 #### 카라차이-발카르어 자음
  
-- 현대 카라차이-발카르어 문어에서 23개의 자음이 있다. ​+- 현대 카라차이-발카르어 문어에서 23개의 자음이 있다(Seegmiller 1996 기준). ​
 - 음소: б, в, г, д, ж, дж, з, й, к, къ, л, м, н, нг, п, р, с, т, ф, х, ц, ч, ш, у - 음소: б, в, г, д, ж, дж, з, й, к, къ, л, м, н, нг, п, р, с, т, ф, х, ц, ч, ш, у
 - 음운: /f/, /c/ и /ž/ 차용어에서만 사용된다. - 음운: /f/, /c/ и /ž/ 차용어에서만 사용된다.
줄 29: 줄 29:
  
 ###### k와 g의 변이음 ###### k와 g의 변이음
 +
 - k와 g는 음운 환경에 따라 각각 다른 변이음으로 발음된다. - k와 g는 음운 환경에 따라 각각 다른 변이음으로 발음된다.
 - k는 전설음 앞에서 연구개음 k로 발음되며 후설음 전/​후행하는 경우 구개수음 q로 발음된다. - k는 전설음 앞에서 연구개음 k로 발음되며 후설음 전/​후행하는 경우 구개수음 q로 발음된다.
줄 45: 줄 46:
 - Seegmiller (1996)에서 이러한 특징이 있음에도 x를 음소로 설정하며 h를 이의 변이음으로 설정한다. - Seegmiller (1996)에서 이러한 특징이 있음에도 x를 음소로 설정하며 h를 이의 변이음으로 설정한다.
  
-###### ŋ+###### ŋ와 이의 변이음
  
 - ŋ가 나타나는 환경의 대부분은 n에 g가 후행하는 경우이다. - ŋ가 나타나는 환경의 대부분은 n에 g가 후행하는 경우이다.
doc/karachay/1_phonology/11_cons/11_cons.152924479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17 23:13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