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arachay:2_wordclass:31_pro:31_pro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karachay:2_wordclass:31_pro:31_pro [2016/12/10 18:02]
127.0.0.1 바깥 편집
doc:karachay:2_wordclass:31_pro:31_pro [2021/08/29 11:46]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 0% :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 다음과 같은 대명사가 있다
 +- 인칭대명사
 +- 인칭재귀대명사
 +- 지시대명사
 +- 의문대명사
 +- 한정대명사
 +- 부정(否定) 대명사
 +- 비한정대명사
 +
 +
 +##### 인칭대명사
 +
 +- 카라차이-발카르어의 인칭대명사는 1.2.3 인칭이 있으며 성 범주가 없기 때문에 3인칭의 ol는 남성(he), 여성(she) 모두에 해당된다. ​
 +- 인칭대명사의 격에 따른 곡용에는 명사와 동일한 접사가 실현된다. ​
 +- 3인칭 대명사의 복수는 명사 복수표지 –le에 의해서 실현된다. ​
 +- 3인칭 대명사는 사실 지시대명사이기도 하다. ​
 +
 +
 +^  격   ​^ ​ 단수 ​                     ||^  복수 ​                         |||
 +| :::  |     ​1인칭 | 2인칭 ​    | 3인칭 ​   | 1인칭 ​    | 2인칭 ​      | 3인칭 ​     |
 +| NOM  | men     | sen     | ol     | biz     | siz     | ala    |
 +| GEN  | meni   | seni   | anɨ   | bizni  | sizni  | alanï ​ |
 +| DAT  | maŋŋa ​   | saŋŋa ​   | aŋŋa ​   | bizge   | sizge   | alaga   |
 +| ACC  | meni    | seni    | anɨ    | bizni   | sizndi ​  | alanɨ ​  |
 +| LOC  | mende   | sende   | anda   | bizde   | sizde   | alada   |
 +| ABL  | menden ​ | senden ​ | andan  | bizden ​ | sizden ​ | aladan ​ |
 +
 +
 +##### 의문대명사
 +
 +- 의문대명사는 kim ‘누구’,​ ne ‘무엇’,​ kaysï ‘어떠한’이다. ​
 +- 의문대명사에는 인칭대명사와 명사에 결합하는 소유 접사와 격접사와 동일한 표지들이 결합된다.  ​
 + - kim-ni (ACC, GEN),  ne-de (LOC), kaysïm (1SG POSS)
 +- 의문대명사 ne에 각각 다른 어휘의미를 나타내는 접사가 결합하여 여러 독립된 의문대명사로 파생되었다. ​
 +- neči ‘어떠한’,​ ‘어떤 특징이 있는’, nelik ‘무엇을 위한’, neli ‘무엇을 가지고 있는’, nerek ‘어떠한 면(특징)을 주고 가지고 있는’, nenča ‘얼마나’,​ nenčanči ‘몇번째’. ​
 +
 +| kačan ‘언제’ | kallay ‘어떤’ | nege, nek ‘왜’|
 +| kalay ‘어떻게’ | kayda ‘어디’ | nelley bir ‘얼마나’ |
 +| kalayda ‘어디에’ | kaydan ‘어디에서’ | nenča ‘얼마나’ |
 +| kalayga ‘어디로’ | kayrï ‘어디로’ | nenčašar ​ ‘얼마나 |
 +
 +
 +##### 재귀대명사
 +
 +- 재귀대명사 kesi는 규칙적으로 소유표지와 격표지를 취한다. ​
 +- kesiŋ ‘yourself’,​ kesibizge ‘to ourselves’.
 +- kesi는 강조의 뜻으로도 사용된다. 아래 Seegmiller 1996:16 차후 인용
 +
 +{{{eg>​kara1465 ​
 +Ol kesi-n-i kes-ti.
 +He self-3SG-ACC cut-PST
 +‘그는 스스로 머리를 잘랐다.’
 +}}}
 +
 +{{{eg>​kara1465 ​
 +A-nï men kesi-m kes-ti-m.
 +it-ACC I self-1SG cut-PST-1SG
 +‘나는 스스로 이것을 잘랐다.’
 +}}}
 +
 +##### 지시대명사
 +
 +- 지시대명사는 bu ‘이것’,​ ol/o ‘저것’이다. ​
 +- 수식하는 명사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ol, 자음으로 시작되면 o가 사용된다. o kiši ‘저 남자’, ol adam ‘저 사람’
 +- 카라차이-발카르어 지시대명사는 공간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지시를 할 뿐만 아니라 시간 관계도 지시한다. ​
 +- bu는 ‘이것’의 공간적 의미를 나타내며 ‘현재’,​ ‘현’과 같은 시간적 관계도 나타낸다. ​
 +- ol은 ‘저것’의 공간적 개념에서 ‘과거’,​ ‘당시’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낸다. ​
 +- 카라차이어에서는 지시대명사가 여러 가지의 어휘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와 통합하여 다양한 파생대명사를이 형성되었다. ​
 +- biyagï ‘바로 그것’, ‘그때 그것’, bergi ‘이쪽 이것’, argï ‘저쪽 저것’, bïlay ‘이러한’,​ ‘이처럼’,​ alay ‘저러한’,​ ‘저것처럼’,​ bïllqay ‘이와 같은’, allay ‘저것과 같은’, mïnča ‘이만큼’,​ anča ‘저만큼’,​ mïnčašar ‘이만큼씩’,​ ančašar ‘저만큼씩’. ​
 +
 +
 +##### 한정대명사
 +
 +- 한정대명사는 ​
 +- xar ‘every’, ​
 +- xar kim ‘everybody/​anybody’,  ​
 +- xar ne ‘everything/​anything’, ​
 +- har kaysï ‘whoever’, ​
 +- xar bir ‘everything’
 +- bütöw ‘all’ ​
 +- saw ‘all’
  
doc/karachay/2_wordclass/31_pro/31_pro.148136055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10 18:02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