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arachay:2_wordclass:35_aux:35_aux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arachay:2_wordclass:35_aux:35_aux [2018/06/20 17:20]
Asel Talapova
doc:karachay:2_wordclass:35_aux:35_aux [2021/08/29 11:46]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35_aux : 보조사(auxiliary) ​: 100% :  +# 35_aux : 보조사(auxiliary) ​
  
 +- 아래 모든 예시는 ​ (Chechenov & Akhmatov 1997:​281)에서 인용 (나중에 반영해서 작성)
  
 ###### 구분 ###### 구분
 - 구분하여 제한을 나타내는 보조사는 ǰalanda - 구분하여 제한을 나타내는 보조사는 ǰalanda
  
-{{{eg>​kara1465 ​(Chechenov&​Akhmatov1997:​281)+{{{eg>​kara1465
 Arï ǰalanda sen bar-lïk-sa. Arï ǰalanda sen bar-lïk-sa.
-aa aa aa aa+there only you go-FUT-2SG
 ‘거기는 너만 갈것이다.’ ‘거기는 너만 갈것이다.’
 }}} }}}
줄 15: 줄 15:
 -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tüyüldü -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tüyüldü
  
-{{{eg>​kara1465 ​(Chechenov & Akhmatov 1997:281)+{{{eg>​kara1465
 Ol koyču tüyüldü. Ol koyču tüyüldü.
 0 0 0  0 0 0 
줄 24: 줄 24:
 - 의문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mï/mi, a(wa) - 의문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mï/mi, a(wa)
  
-{{{eg>​kara1465 ​(Chechenov & Akhmatov 1997:281)+{{{eg>​kara1465
 Tawda kar ǰaua-mï-dï?​ Tawda kar ǰaua-mï-dï?​
 0 0 0 0 0 0
줄 33: 줄 33:
 -청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čï(-či, -ču, -čü), a. -청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čï(-či, -ču, -čü), a.
  
-{{{eg>​kara1465 ​(Chechenov & Akhmatov 1997:281)+{{{eg>​kara1465
 Su: kel-tir-či Su: kel-tir-či
 0 0  0 0 
줄 39: 줄 39:
 }}} }}}
  
-{{{eg>​kara1465 ​(Chechenov & Akhmatov 1997:281)+{{{eg>​kara1465
 ïnna-ga bol-uš-saŋ a. ïnna-ga bol-uš-saŋ a.
 0 0 0  0 0 0 
줄 48: 줄 48:
 - 지시를 나타내는 보조사 ma - 지시를 나타내는 보조사 ma
  
-{{{eg>​kara1465 ​(Chechenov & Akhmatov 1997:281)+{{{eg>​kara1465
 Ma kitap Ma kitap
 0 0  0 0 
 ‘요 책이다.’ ‘요 책이다.’
 +}}}
doc/karachay/2_wordclass/35_aux/35_aux.152948285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0 17:20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