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arachay:4_ss:42_np:42_np [2018/06/21 00:04] Asel Talapova [명사 구조] |
doc:karachay:4_ss:42_np:42_np [2021/08/31 10:28] (현재) 유현조 |
||
|---|---|---|---|
| 줄 1: | 줄 1: | ||
| - |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ture) : 100% : | + |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 줄 5: | 줄 5: | ||
| - 수식을 받는 명사는 수식어에 따른다. | - 수식을 받는 명사는 수식어에 따른다. | ||
| - 기본 순서는 Modifier – Complement – Head이다. | - 기본 순서는 Modifier – Complement – Head이다. | ||
| - | - 문장을 초점이나 문체론적인 방법으로 표현함에 따라 기본 어순이 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 | + | - 문장을 초점이나 문체론적인 목표로 달리 표현하는 경우 기본 어순이 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 |
| - | - 어형변화가 심한 기타 언어들에 비해서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 형용사, 수사, 지시대명사는 명사의 격과 수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 + | - 어형변화가 발달한 기타 언어들에 비해서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 형용사, 수사, 지시대명사는 명사의 격과 수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
| - | - 수와 인칭에 따른 유일한 일치 관계는 주어와 술어 사이이다. | + | - 수와 인칭에 따른 유일한 일치 관계는 주어와 술어 사이의 일치관계이다. |
| - 명사의 소유 관계에서는 소유 표지인 속격접사(GEN)는 소유자(possessor)에 나타나고 소유재귀표지는 소유물(noun possessed)에 나타난다. | - 명사의 소유 관계에서는 소유 표지인 속격접사(GEN)는 소유자(possessor)에 나타나고 소유재귀표지는 소유물(noun possessed)에 나타난다. | ||
| 줄 21: | 줄 21: | ||
| - 그러나 이러한 순서는 필수적이지 않다. 아래 예문에서 보듯이 수식어인 ariw는 수사 bir를 선행한다. | - 그러나 이러한 순서는 필수적이지 않다. 아래 예문에서 보듯이 수식어인 ariw는 수사 bir를 선행한다. | ||
| + | |||
| {{{eg>kara1465 | {{{eg>kara146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