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arel: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2017/06/16 01:33] 김희연 |
doc:karel: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2021/08/24 23:15]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0% : | + |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 - | - 카렐리아어의 고유 방언은 세 가지로 나뉜다. | + | ### 방언의 분류 |
| - | 카렐리아어의 방언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분류를 카렐리아어의 시초 연구자인 А. Генетц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 | |
| + | - 방언이 나뉘는 것은 카렐리아 민족의 고대 부족인 корела 와 весь 에서부터 기원이 시작되었는데, 여기에서 카렐리아어와 벱스어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게 된다. | ||
| + | |||
| + | |||
| + | |||
| + | - 카렐리아 어는 고유방언(собственно-карельское наречие), 리비어(ливвиковское наречие), 루디어(людиковское наречие) 로 나뉜다. | ||
| + | |||
| + | - 고유방언(собственно-карельское наречие)은 다시 세 방언으로 나뉜다. | ||
| + | - 다음의 표는 고유방언에서 나뉜 세 방언과 하위 방언이다. | ||
| + | (대부분 지명이름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참고저서에 나온대로 러시아어(키릴문자 그대로 나타내었다.) | ||
| + | |||
| + | |북부|상호|남부| | ||
| + | |оулангский|юшкозерский|ругозерский| | ||
| + | |кестеньгский|панозерский|тунгдский| | ||
| + | |тихтозерский|подужемский|ребольский| | ||
| + | |вычетайбольский| |паданский| | ||
| + | |вокнаволоский| |поросозерский| | ||
| + | |ухтинский| |мяндусельгский| | ||
| + | |контокский| |тихвинский| | ||
| + | | | |толмачевский| | ||
| + | | | |весьегонский| | ||
| + | | | |валдафйский| | ||
| + | | | |держанский| | ||
| + | |||
| + | |||
| + | - 리비어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
| + | |сямозерский диалект| | ||
| + | |тулмозерский| | ||
| + | |ведлозерский| | ||
| + | |видлицкий| | ||
| + | |коткозерский| | ||
| + | |рыпушкальский| | ||
| + | |неккульский| | ||
| + | |кондушский| | ||
| + | |||
| + | |||
| + | - 루디어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
| + | |||
| + | (북부, 중부,남부, 미하일로 나뉨) | ||
| + | |||
| + | |северно-людиковский диалект| | ||
| + | |средне-людиковский| | ||
| + | |южно-людиковский| | ||
| + | |михайловский| | ||
| + | |||
| + | |||
| + | -카렐리아 고유 방언은 корела 부족에서 나왔으며 , 루디어에서 벱스어의 기질이 명백하게 나타난다. | ||
| + | |||
| + | |||
| + | ### 세 방언의 분류 및 분류기준 | ||
| + | |||
| + | - 카렐리아어의 방언은 크게 세 가지의 방언의 특징을 본다. | ||
| + | |||
| + | |||
| + | |||
| + | |||
| + | - 카렐리아어의 방언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분류를 카렐리아어의 시초 연구자인 А. Генетц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
| 줄 58: | 줄 114: | ||
| - | 2)리비방언은 후에 벱스어에 강하게 영향을 준 고대카렐리아어의 하나처럼 보인다. | + | 2) 리비방언은 후에 벱스어에 강하게 영향을 준 고대카렐리아어의 하나처럼 보인다. |
| 줄 64: | 줄 120: | ||
| + | ### 특징 | ||
| - Virtaranta P. 의 논문 Dialekte des karelischen 에서는 가장 특징적으로 방언에 대해 설명하였다. | - Virtaranta P. 의 논문 Dialekte des karelischen 에서는 가장 특징적으로 방언에 대해 설명하였다. | ||
| 줄 101: | 줄 157: | ||
| |kala 생선| | |kala 생선| | ||
| |pezä 보금자리| | |pezä 보금자리| | ||
| + | |||
| + | |||
| + | 고유카렐리아 어는 자음을 무성과 유성으로 나뉜다. | ||
| + | 북부 카렐리아 인들은 k, p,t,s,š 를 무성음으로 분류한다. | ||
| + | 남부 카렐리아인들은 k, p,t,s,š 의 대응 유성음으로 g, b,d, z, ž 로 둔다. | ||
| + | |||
| + | | |북부 방언| 남부방언| | ||
| + | | 강(river)|joki|jogi| | ||
| + | |항아리|pata|pada| | ||
| + | |암염소|kosa|koza| | ||
| + | |||
| + | 세 방언은 모음 기호(огласовка) 를 갖는다. | ||
| + | 첫번째 음절에서 단모음으로 오지 않을 경우 단어 끝에 a(ä)가 온다. | ||
| + | 리비어 에는 이런경우 u(ü) 가 온다. | ||
| + | 루디어에서는 e 또는 ø까지 약화 되어 발음되기도 한다. | ||
| + | |||
| + | |카렐리아|리비|루디| | ||
| + | |leppä(오리나무)| leppü |leppe| | ||
| + | |akka(여자,아내)|akku|akke| | ||
| + | |||
| + | |||
| + | |||
| + | ### 기타 특징 | ||
| + | |||
| + | - 많은 방언에서 인칭과 대명의 소유를 나타낼 때 속격으로 나타내나, 고대 카렐리아어 및 일부 방언에서는 소유 접사를 통해 나타낸다. | ||
| + | |||
| + | |||
| + | #### 속격으로 나타내는 경우 | ||
| + | |||
| + | |||
| + | {{{eg>kare1335 (Ryagoev2001:80) | ||
| + | tuaton kodi | ||
| + | father.GEN house | ||
| + | 아버지의 집 | ||
| + | }}} | ||
| + | |||
| + | |||
| + | |||
| + | {{{eg>kare1335 (Ryagoev2001:80) | ||
| + | mun lehmällä | ||
| + | I.GEN cow.GEN | ||
| + | 나의 소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방언에서 소유 표지로 나타나는 경우 | ||
| + | |||
| + | |||
| + | |||
| + | {{{eg>kare1335 (Ryagoev2001:80) | ||
| + | lehmä-ni | ||
| + | cow-1SG.POSS | ||
| + | 나의 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eg>kare1335 (Ryagoev2001:80) | ||
| + | lehmä-s | ||
| + | cow-2SG.POSS | ||
| + | 너의 소 | ||
| + | }}} | ||
| + | |||
| + | |||
| + | |||
| + | - 리비어 방언에서는 소유를 접사를 붙여 나타내는 경우는 가족(친족)의 경우만 해당된다. | ||
| + | |||
| + | |||
| + | {{{eg>kare1335 (Ryagoev2001:80) | ||
| + | sizäre-s | ||
| + | sister-2SG.POSS | ||
| + | 너의 언니(누나, 여자형제) | ||
| + | }}} | ||
| + | |||
| + | |||
| + | |||
| + | {{{eg>kare1335 (Ryagoev2001:80) | ||
| + | sizäre-h | ||
| + | sister-3SG.POSS | ||
| + | 그의 누나(누이) | ||
| + | }}} | ||
| - | |северно-карельские| | ||
| - | |оулангский| | ||
| - | |кестеньгский| | ||
| - | |тихтозерский | ||
| - | вычетайбольский | ||
| - | вокнаволоский | ||
| - | ухтинский | ||
| - | контокски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