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et: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1/21 19:15] 동영은 |
doc:ket: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2/01 15:33] (현재) 동영은 |
||
|---|---|---|---|
| 줄 11: | 줄 11: | ||
| {{{eg>kett1243 (Verner1997:181) | {{{eg>kett1243 (Verner1997:181) | ||
| [qa:-du] | [qa:-du] | ||
| - | home.ADV-PRED.3SG.G1 | + | home.ADV-PRED.M.3SG.G1 |
| 그는 집에 있다 | 그는 집에 있다 | ||
| }}} | }}} | ||
| 줄 17: | 줄 17: | ||
| {{{eg>kett1243 (Verner1997:181) | {{{eg>kett1243 (Verner1997:181) | ||
| [qa:-da] | [qa:-da] | ||
| - | home.ADV-PRED.3SG.G2 | + | home.ADV-PRED.M.3SG.G2 |
| 그녀는 집에 있다 | 그녀는 집에 있다 | ||
| }}} | }}} | ||
| 줄 23: | 줄 23: | ||
| {{{eg>kett1243 (Verner1997:181) | {{{eg>kett1243 (Verner1997:181) | ||
| [qa:-Gam] | [qa:-Gam] | ||
| - | home.ADV-PRED.3SG.G3 | + | home.ADV-PRED.M.3SG.G3 |
| 그것은 집에 있다 | 그것은 집에 있다 | ||
| }}} | }}} | ||
| 줄 110: | 줄 110: | ||
| - 케트어에서는 문장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가 모두 주격(절대격)으로 표지된다. 그러나 행위주와 피의체 명사가 함께 쓰일 때는 항상 행위주가 앞에 나오기 때문에 어순으로 두 의미를 구분할 수 있다 | - 케트어에서는 문장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가 모두 주격(절대격)으로 표지된다. 그러나 행위주와 피의체 명사가 함께 쓰일 때는 항상 행위주가 앞에 나오기 때문에 어순으로 두 의미를 구분할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06) | + | {{{eg>kett1243 (Georg2007:106) |
| [d1\l du-k1\l-d-o-il-ted tib] | [d1\l du-k1\l-d-o-il-ted tib] | ||
| boy G3-beat-DET-TV-PST-beat dog(G3) | boy G3-beat-DET-TV-PST-beat dog(G3) | ||
| 줄 118: | 줄 118: | ||
|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를 주격으로 써서 부사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시간표현은 처격으로도 가능하다. |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를 주격으로 써서 부사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시간표현은 처격으로도 가능하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06) | + | {{{eg>kett1243 (Georg2007:106) |
| [kine s1\1\ bok-a-tn škola-diNa] | [kine s1\1\ bok-a-tn škola-diNa] | ||
| - | this year SUB.AGR.3SG-TV-go school-ALL | + | this year SBJ.AGR.3SG-TV-go school-ALL |
| 그는 올해 학교에 간다 | 그는 올해 학교에 간다 | ||
| }}} | }}} | ||
| 줄 129: | 줄 129: | ||
| - 속격은 물리적, 추상적 소유관계 및 전체-부분 관계를 표현한다 | - 속격은 물리적, 추상적 소유관계 및 전체-부분 관계를 표현한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07) | + | {{{eg>kett1243 (Georg2007:107) |
| [am-di d1\l] | [am-di d1\l] | ||
| mother(G2)-GEN.G2 child | mother(G2)-GEN.G2 child | ||
| 줄 137: | 줄 137: | ||
| - 단수 속격은 명사의 성에 따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남성 또는 여성을 지칭할 수 있는 명사의 경우 속격 변화형을 보고 지시체의 성을 구분할 수 있다 | - 단수 속격은 명사의 성에 따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남성 또는 여성을 지칭할 수 있는 명사의 경우 속격 변화형을 보고 지시체의 성을 구분할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07) | + | {{{eg>kett1243 (Georg2007:107) |
| [ab biseb-da do?n] | [ab biseb-da do?n] | ||
| 1SG.GEN sibling-GEN.G1 knife | 1SG.GEN sibling-GEN.G1 knife | ||
| 줄 143: | 줄 143: | ||
| }}} | }}} | ||
| - | {{{eg>kett1243 (Stefan2007:107) | + | {{{eg>kett1243 (Georg2007:107) |
| [ab biseb-di do?n] | [ab biseb-di do?n] | ||
| 1SG.GEN sibling-GEN.G2 knife | 1SG.GEN sibling-GEN.G2 knife | ||
| 줄 155: | 줄 155: | ||
|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ba?N] ‘place’ + 여격접미사를 쓰면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적 경계(until~)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 | -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ba?N] ‘place’ + 여격접미사를 쓰면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적 경계(until~)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08) | + | {{{eg>kett1243 (Georg2007:108) |
| [qonoks baN-diNa du-o-il-dam-in] | [qonoks baN-diNa du-o-il-dam-in] | ||
| morning place(G3)-DAT.G3 3-TV-PST-bark-PL | morning place(G3)-DAT.G3 3-TV-PST-bark-PL | ||
| 줄 166: | 줄 166: | ||
| - 통상 사람이나 동물로서 행위의 수혜자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무정명사가 수혜격으로 쓰이면 물건의 용도를 나타낼 수 있다 | - 통상 사람이나 동물로서 행위의 수혜자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무정명사가 수혜격으로 쓰이면 물건의 용도를 나타낼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09) | + | {{{eg>kett1243 (Georg2007:109) |
| [kide e?l ul-dita] | [kide e?l ul-dita] | ||
| this pitcher water(G3)-BEN.G3 | this pitcher water(G3)-BEN.G3 | ||
| 줄 174: | 줄 174: | ||
| - 수혜격으로 이야기나 노래 등의 주제, 생각의 대상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 - 수혜격으로 이야기나 노래 등의 주제, 생각의 대상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10) | + | {{{eg>kett1243 (Georg2007:110) |
| [@t di-bil-in @t-na eNqoN-dita] | [@t di-bil-in @t-na eNqoN-dita] | ||
| 1PL SBJ.AGR.1-sing-PL 1PL-GEN.PL village(G3)-BEN.G3 | 1PL SBJ.AGR.1-sing-PL 1PL-GEN.PL village(G3)-BEN.G3 | ||
| 줄 189: | 줄 189: | ||
| -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용법으로 소유주를 지점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용법으로 소유주를 지점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12) | + | {{{eg>kett1243 (Georg2007:112) |
| [biseb-daNta sel on-aN] | [biseb-daNta sel on-aN] | ||
| - | brother(G1)-ADD.G1 reindeer.PL many-PL | + | brother(G1)-ADE.G1 reindeer.PL many-PL |
| 형은 사슴이 많다 | 형은 사슴이 많다 | ||
| }}} | }}} | ||
| 줄 200: | 줄 200: | ||
| - 연격의 추상적 용법으로 민족명의 복수명사를 연격으로 써서 그 민족의 언어를 구사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 - 연격의 추상적 용법으로 민족명의 복수명사를 연격으로 써서 그 민족의 언어를 구사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13) | + | {{{eg>kett1243 (Georg2007:113) |
| [@t os1\k-an-bes di-asqansa-n] | [@t os1\k-an-bes di-asqansa-n] | ||
| - | 1PL Ostyak-PL-PROS SBJ.AGR1-speak-PL | + | 1PL Ostyak-PL-PROS SBJ.AGR.1-speak-PL |
| 우리는 케트어(Ostyak)를 한다 | 우리는 케트어(Ostyak)를 한다 | ||
| }}} | }}} | ||
| 줄 208: | 줄 208: | ||
| - 정형동사에 연격 접미사를 써서 일종의 동시성을 나타내는 부동사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 - 정형동사에 연격 접미사를 써서 일종의 동시성을 나타내는 부동사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14) | + | {{{eg>kett1243 (Georg2007:114) |
| bu da-lobed-o-il-bed da-sesta-bes | bu da-lobed-o-il-bed da-sesta-bes | ||
| 3SG SBJ.AGR.3.G2-work-TV-PST-make SBJ.AGR.3.G2-sit-PROS | 3SG SBJ.AGR.3.G2-work-TV-PST-make SBJ.AGR.3.G2-sit-PROS | ||
| 줄 225: | 줄 225: | ||
| - wish, want류 동사의 부정사에 변성격 접미사를 쓰면 목적의 의미를 지닌 종속절을 만들 수 있다 | - wish, want류 동사의 부정사에 변성격 접미사를 쓰면 목적의 의미를 지닌 종속절을 만들 수 있다 | ||
| - | {{{eg>kett1243 (Stefan2007:116) | + | {{{eg>kett1243 (Georg2007:116) |
| [da-sijaq nan-esaN] | [da-sijaq nan-esaN] | ||
| - | 3SG.G2-ask bread-TRANS | + | 3SG.G2-ask bread-TRANSL |
| 그녀는 빵을 요청했다 | 그녀는 빵을 요청했다 | ||
| }}} | }}} | ||
| - | {{{eg>kett1243 (Stefan2007:116) | + | {{{eg>kett1243 (Georg2007:116) |
| [doctor-esaN da-lobed-a-bed] | [doctor-esaN da-lobed-a-bed] | ||
| - | doctor-TRANS 3SG.G2-work-TV-make | + | doctor-TRANSL 3SG.G2-work-TV-make |
| 그녀는 의사로 일한다 | 그녀는 의사로 일한다 | ||
| }}} | }}} | ||
| - | {{{eg>kett1243 (Stefan2007:116) | + | {{{eg>kett1243 (Georg2007:116) |
| [bu da-t-o-il-a-bak ileN-esaN] | [bu da-t-o-il-a-bak ileN-esaN] | ||
| - | 3SG 3SG.G2-DET-TV-PST-3-want eat-TRANS | + | 3SG 3SG.G2-DET-TV-PST-3-want eat-TRANSL |
| 그녀는 먹기를 원했다 | 그녀는 먹기를 원했다 | ||
| }}} | }}} | ||
| 줄 251: | 줄 251: | ||
| 케트어는 명사에 직접 접두사를 붙여서 소유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52_소유의 관형 소유 구성 문서를 참조하라. | 케트어는 명사에 직접 접두사를 붙여서 소유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52_소유의 관형 소유 구성 문서를 참조하라.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