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hakas:0_general:01_basic:01_basic [2018/06/16 17:18] 최문정 |
doc:khakas: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8 21:04]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코드 | ### 코드 | ||
| 줄 13: | 줄 13: | ||
| - 러시아어 : хакасский язык (아바칸 타타르, 미누신스크 타타르인의 언어, 아바칸 튀르크, 예니세이 튀르크인의 언어) | - 러시아어 : хакасский язык (아바칸 타타르, 미누신스크 타타르인의 언어, 아바칸 튀르크, 예니세이 튀르크인의 언어) | ||
| - 자칭 : tadar tili (old), khakas tili | - 자칭 : tadar tili (old), khakas tili | ||
| - | - 민족 자칭 : sagay, khakas | + | |
| + | ### 민족명 | ||
| + | |||
| + | - 자칭 : sagay, khakas | ||
| + | |||
| + | ### 공식적 지위 | ||
| -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 내 하카스어의 지위: 국어 (러시아어도 국어) | -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 내 하카스어의 지위: 국어 (러시아어도 국어) | ||
| 줄 21: | 줄 26: | ||
| #### 사용인구 | #### 사용인구 | ||
| - | - 야쿠트어 화자수 : 63164 (1989년 인구총조사) | + | - 하카스어 화자수 : 63164 (1989년 인구총조사) |
| - | - 야쿠트인의 수 : 78500명 (그중 하카스에 62869) | + | - 하카스인의 수 : 78500명 (그중 하카스에 62869) |
| - | - 야쿠트어를 모어라고 생각하는 야쿠트인 : 60168 | + | - 하카스어를 모어라고 생각하는 하카스인 : 60168 |
| #### 사용지역 | #### 사용지역 | ||
| - | 러시아 하카스. 크라스노야르스크Krasnoyarsk 주(우주르Uzhurskiy 지구, 샤리포바Sharypovskiy 지구),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의 서부, 투바 공화국(2258), 중앙아시아 국가들 | + | 러시아 하카스. 크라스노야르스크Krasnoyarsk 주(우주르Uzhurskiy 지역, 샤리포바Sharypovskiy 지역),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의 서부, 투바 공화국(2258), 중앙아시아 국가들 |
| + | |||
| + | ### 연구 역사 | ||
| + | |||
| + | - 18세기-19세기 중반: 자료 수집 및 해석 | ||
| + | - 19세기 중반-20세기 초: 하카스어 방언들의 특징 및 튀르크 어족의 다른 언어들과의 상관 관계에 관한 분석이 발표되기 시작 | ||
| + | - 1920-1940년대: 문자 정립, 언어 표준화, 학교 언어 교육 조직 | ||
| + | - 1950년대 이후: 현대 하카스어의 방언, 어휘, 음성 구조, 문법 구조 연구 발전 | ||
| + | |||
| + | |||
| + | |||
| + | ### 주요 연구자 | ||
| + | |||
| + | - 카스트렌(M.A. Kastren) (러시아인) | ||
| + | - 라들로프(V.V. Radlov) (러시아인) | ||
| + | - 카타노프(N.F. Katanov) | ||
| + | - 말로프(S.Ye. Malov) | ||
| + | - 드미트리예프(N.K. Dmitriyev) | ||
| + | - 디렌코바(N.P. Dyrenkova) | ||
| + | - 이스하코프(F.G. Iskakov) | ||
| + | - 바스카코프(N.A. Baskakov) | ||
| + | - 카자나코프(A.T. Kazanakov) | ||
| + | - 파타차코바(D.F. Patachakova) | ||
| + | - 도모자코프(N.G. Domozhakov) | ||
| + | - 찬코프(D.I. Chankov) | ||
| + | - 보르고야코프(M.I. Borgoyakov) | ||
| + | - 인키제코바-그레쿨(A.I. Inkizhekova-Grekul) | ||
| + | - 도니제(G.I. Donidze) | ||
| + | - 카르포프(V.G. Karpov) | ||
| + | |||
| + | ### 주요 연구기관 | ||
| + | |||
| + | - 하카스 언어문학역사연구소(아바칸 소재. 1944년 설립) | ||
| + | - 하카스 국립대학교, 사얀알타이 튀르크학연구소 | ||
| + | - 하카스공화국 평생교육연구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