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hanty: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khanty: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21/08/30 18:17]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05_writing : 문자 (writing) | # 05_writing : 문자 (writing) | ||
| - | 한티어의 문자는 소련 시기에 만들어졌다. 소련 이전에는 한티어 문자를 만들려는 시도를 선교사들이 했었다. () | + | - 한티어의 문자는 소련 시기에 만들어짐(소련 학자들의 주도 하에 한티인들이 적극 참여). 이전에는 선교사들이 문자 고안 시도 |
| + | - 1931-32년에 한티어로 된 교과서와 문헌들이 정기적으로 출판되기 시작. | ||
| + | - 첫 단계 한티어 문자의 토대: 카짐 방언 | ||
| + | - 1950. 극북제민족의 언어를 다룬 전소련회의에서 3개의 방언(바흐, 수르구트, 슈리시카리)을 위한 문자 제정 결정. 오비강 중류 방언을 위한 문자는 그 전에 만들어짐. | ||
| + | - 현재 실제로 한티어 문자는 다섯 개의 방언을 토대로 발전해 가고 있음. | ||
| + | - 처음에는 라틴 알파벳 토대. 1937년 키릴로 대체 | ||
| + | - 여기에서는 오비강 중류 방언만을 기술. 다른 방언에 비해 이 방언에 관한 문헌이 가장 많음. | ||
| + | - 오비강 중류 방언의 알파벳: 34개의 철자 (러시아어 알파벳 + ң) | ||
| - | 1931-32년에 한티어로 된 교과서와 문헌들이 정기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하였다. 한티어 문자는 소련 학자들의 주도 하에 한티인들이 적극 참여하여 만들었다. | + | ###### 2000년 이후 사용되는 한티어 키릴 알파벳 (위키피디아) |
| - | 첫 단계에서 한티어 문자의 토대가 된 것은 카짐 방언이었다. () | + | | 키릴 알파벳 | 알파벳 명칭 | IPA | |
| + | | А а | а | | | ||
| + | | Ӓ ӓ | ӓ | | | ||
| + | | Ӑ ӑ | ӑ | | | ||
| + | | Б б | бэ | b | | ||
| + | | В в | вэ | w, v | | ||
| + | | Г г | гэ | ɣ, ɡ | | ||
| + | | Д д | дэ | d | | ||
| + | | Е е | е | je, ʲe | | ||
| + | | Ё ё | ё | jo, ʲo | | ||
| + | | Ә ә | ә | ə̱ | | ||
| + | | Ӛ ӛ | ӛ | ɘ | | ||
| + | | Ж ж | жэ | ʒ | | ||
| + | | З з | зэ | z | | ||
| + | | И и | и | i, ʲi | | ||
| + | | Й й | | j | | ||
| + | | К к | кa | k | | ||
| + | | Қ қ (Ӄ ӄ) | қa | q | | ||
| + | | Л л | эл | ɫ, lʲ | | ||
| + | | Ӆ ӆ (Ԓ ԓ) | эӆ | ɬ | | ||
| + | | М м | эм | m | | ||
| + | | Н н | эн | n, nʲ | | ||
| + | | Ң ң (Ӈ ӈ) | эң | ŋ | | ||
| + | | Н’н' | эн' | | | ||
| + | | О о | о | o | | ||
| + | | Ӧ ӧ (Ŏ ŏ) | ӧ | ø | | ||
| + | | Ө ө | ө | ө̱ | | ||
| + | | Ӫ ӫ | ӫ | ɵ~ɞ | | ||
| + | | П п | пэ | p | | ||
| + | | Р р | эр | r | | ||
| + | | С с | эс | s,ɕ | | ||
| + | | Т т | тэ | t, tʲ | | ||
| + | | У у | у | u | | ||
| + | | Ӱ ӱ | ӱ | y | | ||
| + | | Ў ў | ў | | | ||
| + | | Ф ф | эф | f | | ||
| + | | Х х | хa | x | | ||
| + | | Ҳ ҳ (Ӽ ӽ) | ҳа | χ | | ||
| + | | Ц ц | цэ | ts | | ||
| + | | Ч ч | чэ | tɕ | | ||
| + | | Ҷ ҷ | ҷэ | tʃ | | ||
| + | | Ш ш | шa | ʃ | | ||
| + | | Щ щ | щa | ɕ, ɕː | | ||
| + | | Ъ ъ | | | | ||
| + | | Ы ы | ы | ə, i | | ||
| + | | Ь ь | | ʲ | | ||
| + | | Э э | э | e | | ||
| + | | Є є | є | | | ||
| + | | Є̈ є̈ | є̈ | | ||
| + | | Ю ю | ю | ju, ʲu | | ||
| + | | Ю̆ ю̆ | ю̆ | | ||
| + | | Я я | я | ja, ʲa | | ||
| + | | Я̆ я̆ | я̆ | | ||
| - | (321) | ||
| - | 1950년 극북제민족의 언어를 다룬 전소련회의에서 3개의 방언(바흐, 수르구트, 슈리시카리)을 위한 문자를 제정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전에 이미 오비강 중류 방언을 위한 문자도 만들어졌다. 그래서 현재 실제로 한티어 문자는 다섯 개의 방언을 토대로 발전해 가고 있다. | ||
| - | |||
| - | 한티어 문자는 처음에는 라틴 알파벳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는 러시아 문자와 달라서 학교 교육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1937년 러시아 알파벳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러시아 알파벳을 기초로 한 문자가 쓰인다. | ||
| - | |||
| - | 여기에서는 오비강 중류 방언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른 방언에 비해 이 방언에 관한 문헌이 가장 많기 때문이다. 이 방언의 알파벳은 34개의 철자로 이루어져있다. () (러시아어 알파벳 + n 비음) (* 위키피디아에 나온 모은 방언에 쓰이는 한티어 최근 알파벳은 훨씬 더 복잡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