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
doc:khanty: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khanty: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30 16:35]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 오비강 중류 방언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표) | + | - 오비강 중류 방언의 자음 체계. (표) |
| - | + | ||
| - | 오비강 중류 방언과 다른 방언들의 자음 체계는 두 가지 범주, 즉 장애음과 공명음으로 구별된다. 장애음에는 두 개의 상호 대립하는 음소 그룹이 있는데, 파열음(п, т, ть, к)과 마찰음(в, й, с, сь, ш, х)이 그것이다. 공명음에는 폐쇄-유음(м, н, нь, н,)(смычно-проходные)과 유음(л, р)(проходные)이 있다. 한티어 자음체계의 특징은 유무성음의 음운대립이 없다는 것이다. 모든 장애음-파열음은 유성음 쌍이 없는 무성음이다. 장애음-마찰음 с, сь, ш, х 도 유성음 쌍이 없는 무성음이다. 장애음-마찰음 в, й [j] 는 공명음과 마찬가지로 무성음 쌍이 없는 유성음이다. 장애음과 공명음 내의 각각의 음소는 한꺼번에 몇 가지 자질에 대해 모든 자음에 대립하거나, 아니면 어떤 특별한 자질에 대해 대립쌍을 이루게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음 개요 | + | |
| - | + | ||
| - | - 자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 구분되는 조음 위치의 수: 자음이 몇 종류의 조음위치로 구분되는가 기술. | + | |
| - | + | ||
| - | ### 장애음 | + | |
| - | + | ||
| - | - 장애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 장애음의 대립 유형 | + | |
| - | - 유성과 무성 대립의 존재 여부 | + | |
| - | - 유기와 무기 대립의 존재 여부 | + | |
| - | -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계열 대립의 존재 여부 | + | |
| - | - 변별되는 조음위치를 전체적으로 기술 | + | |
| - | - 변별되는 조음방식을 전체적으로 기술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례: | + | |
| - | + | ||
| - | - selkup에 자음이 one-focus, two-focus 구분이 있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명음 | + | |
| - | + | ||
| - | - 공명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 비음 | + | |
| - | - 비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 유음 | + | |
| - | - 유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 탄설음 r, 설측음 l, 전동음 ʀ 중 어느 것이 음운 목록으로 존재하는가를 제시. 참고문헌에 서술된 내용을 그대로 기술하면 됨. (참고사항: 음소의 차원에서는 변이음이지만 모어 화자들이 완전히 다른 소리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음) | + | |
| - | + | ||
| - | + | ||
| - | 유형론적 유의사항 | + | |
| - | + | ||
| - | - 유음이 어두에 올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할 것. | + | |
| - | - 비음이 장애음과 평행하게 모든 조음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음. 예) 어떤 언어에는 장애음은 p, t, k가 있는 반면 비음은 n밖에 없는 경우가 있음. | + | |
| - | - 비음이 초성과 종성에서 목록이 다른 경우. 예) 표준중국어에서는 초성에는 m, n이 올 수 있는데 종성에서는 n, ŋ만 올 수 있음. 일본어에서는 초성에서는 n, m을 구별하는데 종성에서는 n, m, ŋ을 구별하지 않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애음과 공명음으로 구별된다. | ||
| + | - 장애음: 파열음(п, т, ть, к)과 마찰음(в, й, с, сь, ш, х). | ||
| + | - 공명음: 폐쇄-유음(м, н, нь, н,)(смычно-проходные)과 유음(л, р)(проходные) | ||
| + | - 유무성음의 음운대립이 없음: 모든 장애음-파열음은 유성음 쌍이 없는 무성음. | ||
| + | - 마찰음 с, сь, ш, х 도 유성음 쌍이 없는 무성음. | ||
| + | - 마찰음 в, й [j] 는 공명음과 마찬가지로 무성음 쌍이 없는 유성음. | ||
| + | - 장애음과 공명음 내의 각각의 음소는 한꺼번에 몇 가지 자질에 대해 모든 자음에 대립하거나, 아니면 어떤 특별한 자질에 대해 대립쌍을 이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