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khanty:1_phonology:12_vowel:12_vowel [2021/08/30 22:21] 최문정 |
doc:khanty:1_phonology:12_vowel:12_vowel [2021/08/30 23:53] (현재) 최문정 |
||
---|---|---|---|
줄 23: | 줄 23: | ||
- 장모음도 단모음도 원순모음일 수 있다. | - 장모음도 단모음도 원순모음일 수 있다. | ||
- | #### 현재 모음을 표현하는 문자 | + | #### 각 모음 음소별 표현 문자와 예 |
###### /i/ | ###### /i/ | ||
줄 91: | 줄 91: | ||
}}} | }}} | ||
- | 모든 모음(장모음, 단모음)은 약화모음 [ə]에 대립하며, 약화모음은 오비강 중류 방언에서는 1음절이 아닌 음절에서만 가능하다. 이 약화모음은 주로 어말 자음군의 자음들을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wersəm (wersm 대신) (나는 하였다). () 물론 이 기능만 한다면 음소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약화모음은 의미구별 기능도 한다. 예를 들어 ar ‘많이’, arə ‘노래’. () | + | |
- | 이 모음은 문자로는 ы 와 и 로 나타낸다. | + | - 모든 모음(장모음, 단모음)은 약화모음 [ə]에 대립 |
+ | - 약화모음은 오비강 중류 방언에서는 1음절이 아닌 음절에서만 가능. | ||
+ | - 이 약화모음은 주로 어말 자음군의 자음들을 분리해 주는 역할. | ||
+ | |||
+ | {{{lex>khan1273 (tereshkin1966:321) | ||
+ | |||
+ | - wersəm : 나는 하였다 (wersm 이 아니라) | ||
+ | - toχət : 어망 (toχt이 아니라) | ||
+ | - toχtət : 어망(GEN) (toχtt이 아니라) | ||
+ | |||
+ | }}} | ||
+ | |||
+ | - 약화된 모음의 역할이 이것뿐이라면, 그것을 음소로 인정할 수 없을 것임. | ||
+ | - 그러나 이 약화모음은 의미구별 기능도 함. | ||
+ | |||
+ | {{{lex>khan1273 (tereshkin1966:321) | ||
+ | |||
+ | - ar : 많이 & arə : 노래 | ||
+ | - kurt : 시골 & kurət : 벽난로, 난로 | ||
+ | - tant : 밀가루, 고통 (мука) & tanət : 그의 지참금 | ||
+ | |||
+ | }}} | ||
+ | |||
+ | - 이 모음은 문자로는 ы 와 и 로 나타냄. и와 [ə]는 경구개음과 ш 뒤 | ||
+ | |||
+ | {{{lex>khan1273 (tereshkin1966:321) | ||
+ | |||
+ | - кати [kȧt'ə] : 고양이 | ||
+ | - аси [ās'ə] : 아버지 | ||
+ | - мони [mon'ə] : 남동생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