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hanty: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hanty: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1 01:06]
최문정
doc:khanty: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1 01:20] (현재)
최문정 [명령법]
줄 18: 줄 18:
 - 오비강 중류 방언에서 아오리스트 형태는 모든 경우에 접미사 -т-로 만들고, 3인칭 단수는 예외이다. ​ - 오비강 중류 방언에서 아오리스트 형태는 모든 경우에 접미사 -т-로 만들고, 3인칭 단수는 예외이다. ​
 - 이 경우 현재-미래 시제의 지표는 접미사 -л-이다(단,​ 동사 어간이 전설, 중설 자음 н, нь, р, с, сь, т, ть, ш로 끝날 때).  - 이 경우 현재-미래 시제의 지표는 접미사 -л-이다(단,​ 동사 어간이 전설, 중설 자음 н, нь, р, с, сь, т, ть, ш로 끝날 때). 
- 
-(예) 
  
 ##### 과거시제 ​ ##### 과거시제 ​
줄 26: 줄 24:
 - 오비강 중류 방언의 북부지역에서는 종합적(synthetic)으로,​ 접미사 -c-의 힘을 빌어 만들고, ​ - 오비강 중류 방언의 북부지역에서는 종합적(synthetic)으로,​ 접미사 -c-의 힘을 빌어 만들고, ​
 - 남부지역에서는 분석적(analytic)으로,​ 즉, 접미사 없이 만든다. ​ - 남부지역에서는 분석적(analytic)으로,​ 즉, 접미사 없이 만든다. ​
-(예)+
  
 ### 두 가지 유형의 활용 ### 두 가지 유형의 활용
줄 33: 줄 31:
 - 목적어(object),​ 목적어 없는(objectless) 활용 - 목적어(object),​ 목적어 없는(objectless) 활용
 - 이 두 유형으로 활용하는 동사는 능동태 동사이고,​ 수동태 동사는 특별한 유형으로 활용한다. - 이 두 유형으로 활용하는 동사는 능동태 동사이고,​ 수동태 동사는 특별한 유형으로 활용한다.
-- 가장 단순한 활용은 목적어 없는 활용. ​ 
-- 이 활용의 인칭 형태는 문장에서 주어로 표현되는 행위의 주체만을 가리킨다. ​ 
  
-(330) 
  
-()접+- 가장 단순한 활용은 목적어 없는 활용.  
 +- 이 활용의 인칭 형태는 문장에서 주어로 ​현되는 행위의 주체만을 가리킨다. ​
  
 - 목적어 있는 활용은 더 복잡하다. ​ - 목적어 있는 활용은 더 복잡하다. ​
 - 주어로 표현되는 주체뿐 아니라 직접보어로 표현되는 목적어도 가리킨다. ​ - 주어로 표현되는 주체뿐 아니라 직접보어로 표현되는 목적어도 가리킨다. ​
 - 목적어 있는 횔용 접미사는 명사의 소유 접미사와 외적으로 거의 완전히 일치한다. ​ - 목적어 있는 횔용 접미사는 명사의 소유 접미사와 외적으로 거의 완전히 일치한다. ​
- 
-(표) 
  
 - 목적어 없는 활용은 타동사뿐 아니라 자동사도 해당한다. ​ - 목적어 없는 활용은 타동사뿐 아니라 자동사도 해당한다. ​
 - 자동사의 인칭 어미는 현재-미래,​ 과거 시제 동사 어간에 직접 붙는다. ​ - 자동사의 인칭 어미는 현재-미래,​ 과거 시제 동사 어간에 직접 붙는다. ​
 +- 동사 тута ‘가지고가다’와 понта ‘놓다’의 활용(331)
  
-###### 동사 тута ‘가지고가다’와 понта ‘놓다’의 ​활용+- 목적어 있는 ​활용은 타동사만.
  
-(표)+- тута 와 같이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목적어 있는 활용
  
-(331) 
  
-적어 있는 ​활용은 타동사.+형동사는 문법적 특징상 가장 복잡함 
 +- 동사적 속성(시제에 따라 구별되고 다른 단를 종속시킬 수 있는)과 더불어 일련의 체언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  
 +- 형동사는 인칭-소유 접미사를 가지고 일부 격표지와 후치사와 결합. 예를들어 처소-조격으로 쓰인 형동사의 인칭-소유 형태.
  
-###### тута 와 같이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목적어 있는 활용 
  
-()+- 형동사는 대개 시간을 ​현하는 상황어로 쓰인다. 또 상황어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형동사의 인칭-소유가 시간, 목적, 원인 후치사와 결합한 형태이다. ​
  
-понта와 같이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객체 활용은 아래와 같다.+- 후치사와 함께 처소-조격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단순 형동사, 즉 비소유 형태의 형동사 ​
  
-(표)+- 비소유 형태의 형동사는 주로 정어로 쓰인다.  
 +- понта와 같이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목적어 활용
  
-(332) 
 - 타동사의 경우 목적어 있는 활용, 목적어 없는 활용이 행위 대상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 - 타동사의 경우 목적어 있는 활용, 목적어 없는 활용이 행위 대상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
 - 문장에서 직접보어로 표현되는 행위의 대상이 구체적이거나 특정한 대상이면 목적어 있는 활용 ​ - 문장에서 직접보어로 표현되는 행위의 대상이 구체적이거나 특정한 대상이면 목적어 있는 활용 ​
줄 75: 줄 70:
 ###### 수동 활용 접미사 ###### 수동 활용 접미사
  
-(표) 
  
 - 수동 활용 접미사는 수동태를 만드는 접미사 -ай 또는 -ый-와 목적어 없는 활용 동사의 인칭어간인 접미사를 더한 것이다. ​ - 수동 활용 접미사는 수동태를 만드는 접미사 -ай 또는 -ый-와 목적어 없는 활용 동사의 인칭어간인 접미사를 더한 것이다. ​
 - 이러한 수동 활용 복합접미사들은 현재-미래,​ 과거 시제의 동사 어간에 붙는다. - 이러한 수동 활용 복합접미사들은 현재-미래,​ 과거 시제의 동사 어간에 붙는다.
  
-кит-та와 같이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 활용은 다음과 같다.+кит-та와 같이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 활용
  
-(표)+- ту-та와 같이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 활용
  
-(333) 
  
-ту-та와 같이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수동 활용은 다음과 같다. 
- 
-(표) 
  
 #### 명령법 #### 명령법
줄 98: 줄 88:
 - 2인칭 쌍수와 복수에서는 그 둘 사이에 형태적 차이가 없다. - 2인칭 쌍수와 복수에서는 그 둘 사이에 형태적 차이가 없다.
  
-(표) 
- 
-(334) 
  
 - 명령법 접미사는 동사의 어간에 직접 붙는다. ​ - 명령법 접미사는 동사의 어간에 직접 붙는다. ​
 - 동사의 어간이 단음절이고 자음으로 끝나면 명령법 접미사가 붙을 때 아무런 변화가 없다. ​ - 동사의 어간이 단음절이고 자음으로 끝나면 명령법 접미사가 붙을 때 아무런 변화가 없다. ​
-(예) +
 - 그런데 동사의 어간이 단음절이고 모음으로 끝나면 그 어간과 명령법 접미사 사이에 자음 в 나 й 가 들어간다. ​ - 그런데 동사의 어간이 단음절이고 모음으로 끝나면 그 어간과 명령법 접미사 사이에 자음 в 나 й 가 들어간다. ​
-(예) +
 - 후자와 같은 일부 단음절 동사는 명령법을 만들 때 어간의 모음이 바뀐다. ​ - 후자와 같은 일부 단음절 동사는 명령법을 만들 때 어간의 모음이 바뀐다. ​
-(예)+
  
 ### 동사의 변하지 않는 형태 ### 동사의 변하지 않는 형태
줄 118: 줄 105:
  
 - 접미사 -та가 동사의 순 어간에 붙는다. ​ - 접미사 -та가 동사의 순 어간에 붙는다. ​
-(예) 
  
 #### 형동사 #### 형동사
줄 124: 줄 110:
 - 접미사 -ты 와 -ым으로 만든다. ​ - 접미사 -ты 와 -ым으로 만든다. ​
 - 접미사 -ты는 현재시제 형동사를 만들고, 접미사 -ым은 과거시제 형동사를 만든다. ​ - 접미사 -ты는 현재시제 형동사를 만들고, 접미사 -ым은 과거시제 형동사를 만든다. ​
-(예) 
 - 문법적 특징상 가장 복잡한 것은 형동사 - 문법적 특징상 가장 복잡한 것은 형동사
 - 동사적 속성(시제에 따라 구별되고 다른 단어를 종속시킬 수 있는)과 더불어 일련의 체언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 동사적 속성(시제에 따라 구별되고 다른 단어를 종속시킬 수 있는)과 더불어 일련의 체언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 형동사는 인칭-소유 접미사를 가지고 일부 격표지와 후치사와 결합한다. 예를들어 처소-조격으로 쓰인 형동사의 인칭-소유 형태. - 형동사는 인칭-소유 접미사를 가지고 일부 격표지와 후치사와 결합한다. 예를들어 처소-조격으로 쓰인 형동사의 인칭-소유 형태.
  
-(표) 
- 
-(335)  
  
-- 형동사는 대개 시간을 표현하는 상황어로 쓰인다. 또 상황어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형동사의 인칭-소유가 시간, 목적, 원인 후치사와 결합한 형태이다. ​(예)+- 형동사는 대개 시간을 표현하는 상황어로 쓰인다. 또 상황어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형동사의 인칭-소유가 시간, 목적, 원인 후치사와 결합한 형태이다. ​
  
-- 또 후치사와 함께 처소-조격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단순 형동사, 즉 비소유 형태의 형동사이다. ​(예)+- 또 후치사와 함께 처소-조격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단순 형동사, 즉 비소유 형태의 형동사이다. ​
  
-- 그러나 비소유 형태의 형동사는 주로 정어(수식어)로 쓰인다. ​(예)+- 그러나 비소유 형태의 형동사는 주로 정어(수식어)로 쓰인다. ​
  
  
 #### 부동사 ​ #### 부동사 ​
  
-- 접미사 -ман이 붙는다. ​(예) +- 접미사 -ман이 붙는다. 
-- 부동사는 대개 주된 행위에 의존된 부가적 행위를 의미한다. 부동사의 주요한 기능은 행위의 방식을 표현하는 상황어이다. ​(예)  +- 부동사는 대개 주된 행위에 의존된 부가적 행위를 의미한다. 부동사의 주요한 기능은 행위의 방식을 표현하는 상황어이다.  
-- 드물게 부동사는 술어로 쓰일 수 있다. ​(예)+- 드물게 부동사는 술어로 쓰일 수 있다. ​
 - 명사와 달리 동사는 상당히 광범위한 조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가장 다양한 것은 태 및 상과 관련한 동사 파생 조어이다. ​ - 명사와 달리 동사는 상당히 광범위한 조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가장 다양한 것은 태 및 상과 관련한 동사 파생 조어이다. ​
  
줄 150: 줄 132:
  
 - 재귀동사와 사동사 - 재귀동사와 사동사
-- 재귀동사는 접미사 -с-, -аньсь-,​ ант-로 만든다. ​(예) +- 재귀동사는 접미사 -с-, -аньсь-,​ ант-로 만든다.
  
-- 사동사는 주로 접미사 -лты-, -ытты-와 -ыпты-로 만든다. ​(예)+- 사동사는 주로 접미사 -лты-, -ытты-와 -ыпты-로 만든다. ​
  
 ### 상과 관련한 동사 ### 상과 관련한 동사
줄 158: 줄 140:
 - 미상 매우 다양하다.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다음과 같다. - 미상 매우 다양하다.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다음과 같다.
  
-- 1) 시작상 동사 - 접미사 -мы로 만든다 ​(예) +- 1) 시작상 동사 - 접미사 -мы로 만든다  
-- 2) 순간적 행위 상 - 접미사 -ымт-(-имт),​ -эмы-(-емы)로 만든다 ​(예) +- 2) 순간적 행위 상 - 접미사 -ымт-(-имт),​ -эмы-(-емы)로 만든다 
-- 3) 다회상 - 접미사 -ийт-, -ти-로 만든다 ​(예) +- 3) 다회상 - 접미사 -ийт-, -ти-로 만든다 ​
  
  
  
doc/khanty/2_wordclass/23_verb/23_verb.163033956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1 01:06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