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hanty:4_ss:41_cl:41_cl [2016/04/05 08:58] 127.0.0.1 바깥 편집 |
doc:khanty:4_ss:41_cl:41_cl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41_cl : 절(clause) | # 41_cl : 절(clause) | ||
| + | |||
| + | 문장 내 단어들의 관계는 종속 관계와 병렬 관계가 있다. 종속 관계는 일치, 지배, 부가로 표현된다. | ||
| + | 일치는 술어적 어결합의 특징이다. 술어는 주어와 인칭, 수가 일치된다. (예) | ||
| + | 지배는 격 지배와 후치사 지배가 있다. (예) | ||
| + | |||
| + | 부가는 체언과 동사의 정어적 어결합에 나타난다. 체언의 정어적 어결합에는 피수식어에 명사, 형용사, 비인칭 대명사, 수사, 형동사로 표현된 정어가 붙는다. (예) 동사의 정어적 결합에는 부사와 부동사가 붙는다. (예) | ||
| + | |||
| + | 한티어에서 지배적이고 거의 유일한 유형의 문장은 단문이다. 단문은 온갖 다양한 형태의 두개의 성분으로 된 문장, 하나의 성분으로 된 문장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성분으로 된 완전 단문 (예), 두 개의 성분으로 된 불완전 단문 (예), 하나의 성분으로 된 비인칭문 (예), 하나의 성분으로 된 명명문 (예), 하나의 성분으로 된 부정(indefinite)-인칭문 (예)이 있다. | ||
| + | |||
| + | |||
| + | 단문에는 또한 확장된(развернутые) 형동사 구문도 포함된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