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hvarshi: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23 22:16] 김희연 |
doc:khvarshi: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5 22:50]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 + | # 22_noun : 명사 (noun) |
| - 명사는 수, 격, 명사 분류 체계 를 갖는다. | - 명사는 수, 격, 명사 분류 체계 를 갖는다. | ||
| 줄 24: | 줄 24: | ||
| - 불활동체는3, 4, 5, 분류체계에포함된다 | - 불활동체는3, 4, 5, 분류체계에포함된다 | ||
| - | ### 분류쳬계 표지 | + | ### 분류체계 표지 |
| - 형용사와 동사, 명사소유는 다음과 같은 분류체계 표지를 갖는다. | - 형용사와 동사, 명사소유는 다음과 같은 분류체계 표지를 갖는다. | ||
| 줄 135: | 줄 135: | ||
| - 몇몇의 대상과 현상이 분류체계 5에 포함된다. | - 몇몇의 대상과 현상이 분류체계 5에 포함된다. | ||
| - | - сыл : 이 | + | - сыл : 이 |
| - | - мону : 손톱 | + | - мону : 손톱 |
| - | - гид : 셔츠 | + | - гид : 셔츠 |
| - | - гъылІу : 바지 | + | - гъылІу : 바지 |
| - | - ац : 문 | + | - ац : 문 |
| - | - аку : 시골에서 사용하는 삽 | + | - аку : 시골에서 사용하는 삽 |
| - | - эсо : 눈 | + | - эсо : 눈 |
| - | - гутІ : 연기 | + | - гутІ : 연기 |
| - | - ца : 별 | + | - ца : 별 |
| - | - йицу : 침 | + | - йицу : 침 |
| - | - лІиб : 년도 | + | - лІиб : 년도 |
| - | - зебу : 일 | + | - зебу : 일 |
| - | - гье : 우유 | + | - гье : 우유 |
| - | - йолІу : 재 | + | - йолІу : 재 |
| - | - ам : 석탄 | + | - ам : 석탄 |
| - | - гьелІу : 꽃의 종류 (계관화) | + | - гьелІу : 꽃의 종류 (계관화) |
| + | |||
| + | |||
| + | ### 명사의 수 | ||
| + | |||
| + | - 단수와 복수가 있다. | ||
| + | - 복수의 경우 접미사 표지 –ба, -бо 로 나타낸다(а로 끝나는 단어에는 ба, -бо 는 나머지의 경우) | ||
| + | |||
| + | |||
| + | ###### 복수표지 –ба 를 갖는 경우 | ||
| + | |||
| + | - Яхъ ->Яхъ-ба :집 | ||
| + | - агьа -> агьа-ба : 귀(양쪽) | ||
| + | - тІыка -> тІыка-ба : 염소들 | ||
| + | - илба -> илба-ба : 비둘기들 | ||
| + | - ала -> ала-ба : 나뭇가지 | ||
| + | - ца –> цаба : 별들 | ||
| + | |||
| + | |||
| + | |||
| + | - 몇몇의 단어는 자음으로 끝나더라도 복수 표지 –ба 를 붙인다 | ||
| + | |||
| + | - ахъ -> ахъ-ба : 집들 | ||
| + | - алІ -> алІба : 마을 | ||
| + | - ац -> ацба : 문들 | ||
| + | |||
| + | |||
| + | |||
| + | ###### 복수표지 –бо 를 갖는 경우 | ||
| + | |||
| + | |||
| + | - маІкьу->маІкьу-бо :입들 | ||
| + | - гъве -> гъве-бо : 개들 | ||
| + | - хъе -> хъебо : 토끼 들 | ||
| + | - йху -> йху-бо : 강 들 | ||
| + | - соро -> соро-бо : 말들 | ||
| + | - обу -> обу-бо : 아버지들 | ||
| + | - зе -> зе-бо : 곰 | ||
| + | |||
| + | - 몇몇의 단어는 자음 뒤에 –бо 가 붙기도 한다. | ||
| + | - зор -> зор-бо : 여우들 | ||
| + | - гьун -> гьун-бо : 산들 | ||
| + | - ог -> ог-бо : 도끼들 | ||
| + | - ыш -> ыш-бо : 사과들 | ||
| + | |||
| + | |||
| + | - 복수의 나타낼 때, 표지 앞에 -о, -но, -ло 의 첨가하기도 한다. | ||
| + | |||
| + | - Гъон(나무) –> гъон-о-бо(나무들) | ||
| + | - Эзол(눈) -> эзол-а-ба(눈 들, 두개의 눈) | ||
| + | - Гид(셔츠) -> гид-но-бо(셔츠들) | ||
| + | - Ыс(남자형제) -> ыс-на-ба(남자형제들) | ||
| + | - Буцу(달(月) -> буцу-ло-бо | ||
| + | - кьІ(머리카락) -> кьІ-ла-ба (머리카락들) | ||
| + | |||
| + | |||
| + | - 명사의 단수 어간의 마지막 모음은 복수를 만들 때 때때로 탈락하기도 한다. | ||
| + | |||
| + | - гъаІде -> гъаІд-ба(까마귀들) | ||
| + | |||
| + | - 간접격의 복수 표지는 –за 이다 | ||
| + | - 복수표지 –за 뒤에 격표지를 붙인다. | ||
| + | |||
| + | |||
| + | ### 명사의 격 | ||
| + | |||
| + | |||
| + | - 명사의 격은 크게 두 그룹으로 , 기본적인 격의 그룹과 처격과 관련된 격으로 나뉜다. | ||
| + | - 첫번째 기본적인 격의 그룹에 포함되는 격은 주격, 속격1, 속격2 , 여격, 도구격(조격) 이다. | ||
| + | - 명사의 약50% 정도는 격을 나타낼 때 간접 어간 단수를 표지 없이 만든다. | ||
| + | - 명사의 약 40% 는 격접사 –а, -ы, -у, -о 를 붙여 격을 나타낸다. | ||
| + | - 나머지 명사의 약 10% 는 생산적이지 않은 접사 –и, -мо, -но, -до,-да, -ла, -ду, -лу, -тІи 등을 사용하여 격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주격 | ||
| + | |||
| + | - 주어, 직접목적어(타동사의 경우), 술어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 | |||
| + | #### 능격 | ||
| + | |||
| + | - 능격은 표지를 갖지 않거나, 간접 어간으로 부터 –и 를 붙여 나타낸다. | ||
| + | - 능격은 타동사와 주어로 쓰이거나, | ||
| + | |||
| + | #### 속격 | ||
| + | |||
| + | - 속격은 1 그룹과 2 그룹으로나뉜다 | ||
| + | - 속격 1 그룹은 간접적 어간의 어미 –с 로 형성된다. (주격 유지) | ||
| + | - 속격 2 그룹은 간접적 어간의 어미 가 –ло –ла가 되며, 주격을 제외한 다른 모든 격에서 쓰일 수 있다. 동사가 어느 격을 수반하느냐에 따라 그 격에 맞추어 대상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여격 | ||
| + | |||
| + | - 여격은 어미에 –л, -ли 의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조격(도구격) | ||
| + | |||
| + | - 조격의 표지는 어미에 –з, -зи 의 표지를 갖는다. | ||
| + | - 조격을 통해 도구와 시간을 나타낸다. | ||
| + | |||
| + | ### 격변화 예시 | ||
| + | |||
| + | ###### 명사 'кІыца' '새' 의 격변화 예시 | ||
| + | |||
| + | | |SG|PL| | ||
| + | |NOM|кІыца|кІьца-ба| | ||
| + | |ERG| кІыца|кІаца-за| | ||
| + | |GEN1| кІыца-с| кІаца-за-с| | ||
| + | |GEN2| кІыца-ла| кІаца-за-ла| | ||
| + | |DAT| кІыца-л| кІаца-за-л| | ||
| + | |INS| кІыца-з(и)| кІаца-за-з(и)| | ||
| + | |||
| + | |||
| + | ###### 명사 'гъаде' '까마귀' 의 격변화 예시 | ||
| + | |||
| + | |||
| + | | |SG|PL| | ||
| + | |NOM| гъаде|гъад-ба| | ||
| + | |ERG| гъады| гъад-за| | ||
| + | |GEN1| гъады-с| гъад-за-с| | ||
| + | |GEN2| гъады-ла| гъад-за-ла| | ||
| + | |DAT| гъады-л| гъад-за-л| | ||
| + | |INS| гъады-з| гъад-за-з| | ||
| + | |||
| + | |||
| + | ###### 명사 'тІухъ' '칼' 의 격변화 예시 | ||
| + | |||
| + | | |SG|PL| | ||
| + | |NOM|тІухъ| тІухъ-бо| | ||
| + | |ERG| тІухъа| тІухъ-за| | ||
| + | |GEN1| тІухъа-c| тІухъ-за-с| | ||
| + | |GEN2| тІухъа-ла|тІухъ-за-ла| | ||
| + | |DAT| тІухъа-л| тІухъ-за-л| | ||
| + | |INS| тІухъа-з| тІухъ-за-з| | ||
| + | |||
| + | |||
| + | |||
| + | #### 처격 | ||
| + | |||
| + | - 1966년 '민족언어 백과사전'에서는 E.A. Bokarev 는 처격을 6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6개의 그룹은 3 개의 격으로 분류 하였다. | ||
| + | |||
| + | |ESS|재격| | ||
| + | |ABL|탈격| | ||
| + | |LAT|방향격| | ||
| + | |||
| + | - 2005년 '러시아 연방의 이웃 민족들의 언어의 백과사전' 에서 Y.G.Testelets 는 6개의 그룹의 하위 범주를 '외향격' 을 포함하여 4개의 격으로 분류 하였다. | ||
| + | |||
| + | |ESS|재격| | ||
| + | |ELA|탈격| | ||
| + | |LAT|방향격| | ||
| + | |ALL|외향격| | ||
| + | |||
| + | |||
| + | - 탈격은 재격에서 –з(모음으로 끝날 때) , 또는 –и(자음으로 끝날 때 ) 표지를 갖는다. | ||
| + | - 방향격은 –л 또는 –гъул 의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처격안에 나뉘는 6개의 그룹 | ||
| + | |||
| + | |||
| + | ###### 첫번째 그룹 | ||
| + | |||
| + | - 첫번째 그룹은 재격 내에서 –лъ로 끝나며, 어느 공간 혹은 질량 안에 '가득찬, 꽉찬, 둘러싸인' 상황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숲에서', '숲으로', '물에서', '물안으로' '숲으로부터', '물로부터' 등의 뜻을 나타낸다. | ||
| + | |||
| + | - лъелъ : 물안에 | ||
| + | - лъелъи : 물로부터 | ||
| + | - лъелъгъул : 물안으로 | ||
| + | |||
| + | - гъонолъ : 숲안에서 | ||
| + | - гъонолъй : 숲으로부터 | ||
| + | - гъонолъгъул : 숲으로 | ||
| + | |||
| + | |||
| + | |첫번째 그룹의 하위격변화| чанта(주머니)| | ||
| + | |ESS|чанта-ма| | ||
| + | |ELA| чанта-ма-з| | ||
| + | |LAT| чанта-ма-л| | ||
| + | |ALL| чанта-ма-гьул| | ||
| + | |||
| + | |||
| + | |||
| + | ###### 두번째 그룹 | ||
| + | |||
| + | - 두번째 그룹은 제한적이고, 닫혀 있는 공간에 대해서나타내며 –а, -ма 의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Гьунема : 길위에 | ||
| + | - Гьунемази : 길 옆에 | ||
| + | - Гьунемали : 길을 따라 | ||
| + | |||
| + | |||
| + | |두번째 그룹의 하위격변화| гъон(숲)| | ||
| + | |ESS|гьоно-лъ| | ||
| + | |ELA|гъоно-лъ-и| | ||
| + | |LAT|гъоно-лъ-ул| | ||
| + | |ALL|гъоно-лъ-гьул| | ||
| + | |||
| + | |||
| + | |||
| + | |||
| + | ###### 세번째 그룹 | ||
| + | |||
| + | - 세번째 그룹은 '수평으로 위에' 의 의미를 갖는 그룹으로 어미 –кьо 로 나타낸다. | ||
| + | |||
| + | |||
| + | - Кьукьо : 지붕위에 | ||
| + | - кьукьози : 지붕으로부터 | ||
| + | |||
| + | |||
| + | |세번째 그룹의 하위격변화| устур(책상)| | ||
| + | |ESS|устур-къо| | ||
| + | |ELA|устур-къо-з| | ||
| + | |LAT| устур-къо-л| | ||
| + | |ALL| устур-къо -гьул| | ||
| + | |||
| + | |||
| + | ###### 네번째 그룹 | ||
| + | |||
| + | - 수직 혹은 측면의 공간의 의미를 가지며, 어미 –хъо 로 나타낸다. | ||
| + | |||
| + | |||
| + | - Хъодохъо : 벽에 | ||
| + | |||
| + | |||
| + | |ESS|хъодо-хъо| | ||
| + | |ELA| хъодо-хъо-з| | ||
| + | |LAT| хъодо-хъо-л| | ||
| + | |ALL| хъодо-хъо-гьул| | ||
| + | |||
| + | |||
| + | |||
| + | |||
| + | ###### 다섯번째그룹 | ||
| + | |||
| + | - 다섯번째그룹은 바로 곁에, 가깝게, 밀접한 공간을 나타낼 때쓴다 | ||
| + | |||
| + | |||
| + | |다섯번째 그룹의 하위격변화| устур(책상)| | ||
| + | |ESS|устур-гьо| | ||
| + | |ELA|устур-гьо-з| | ||
| + | |LAT| - | | ||
| + | |ALL| устур-гьо -гьул| | ||
| + | |||
| + | |||
| + | ###### 여섯번째 그룹은 –лІ 로 끝나며, '~아래의' 의미를 갖는다. | ||
| + | |||
| + | |여섯번째 그룹의 하위격변화)|гьон (나무)| | ||
| + | |ESS|гьоно-лІ| | ||
| + | |ELA| гьоно-лІ -и| | ||
| + | |LAT| гьоно-лІ -ул| | ||
| + | |ALL| гьоно-лІ --гьул|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