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umyk:0_general:01_basic:01_basic [2016/12/10 18:02] 127.0.0.1 바깥 편집 |
doc:kumyk: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5 18:38]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0% :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 |||
| + | |||
| + | ### 코드 | ||
| + | |||
| + | - glottocode : kumy1244 | ||
| + | - iso-639-3 : kum | ||
| + | - walscode : kuq | ||
| + | |||
| + | ### 언어명 | ||
| + | |||
| + | - 영문 : Kumyk language | ||
| + | - 한글 : кумыкский язык | ||
| + | - 중국어/러시아어 : кумыкский язык | ||
| + | - 자칭 : къумукъ тил | ||
| + | |||
| + | ### 인구지리학적 정보 | ||
| + | |||
| + | - 쿠미크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 거주하는 쿠미크인이 사용하는 언어로, 튀르크어파 킵차크 그룹(북서쪽)에 속한 언어인다.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어와 카라이 언어와 비슷하다. 아구즈키(огузской группы) 와 비슷한 계열이다. | ||
| + | |||
| + | |||
| + | - 다게스탄 쿠미크어를 부르는 말 – мусульманский язык 인데, 무슬만 언어 라고 부르는데 다른 이슬람을 믿는 민족들의 언어와는 상관이 없이 무슬만 언어라는 표현을 한다. | ||
| + | |||
| + | - 쿠미크인의 대부분은 다게스탄에 살며, 일부는 체첸 공화국, 인구시공화국, 오세티야(러시아연방 영토) , 터키, 이란, 이라크에 살고있다. | ||
| + | 1989년에 인구조사 때 쿠미크인은 러시아 근방 영토에 277163 명, 다게스탄에 231805명으로 집계 되었다. 당시 쿠미크인 중 97.7%가 쿠미크어를 모국어로 생각하였다. 2010년 자료로 쿠미크어 화자 수는 426212명이다. | ||
| + | |||
| + | - 다게스탄에서는 지정학적 위치로 여러가지 언어를 구사하게 되는데, 쿠미크어를 국가 지정어로 사용하였다. | ||
| + | - 대부분(74.7%) 은 쿠미크어를 모국어로, 러시아어를 두번째 언어로 자유자재로 구사한다. | ||
| + | - 현재는 제한적으로 쿠미크어를 사용하는데, 다게스탄의 국가어로 지정하지 않고 라디오에서도 하루에 1시간 반정도만 쿠미크어로 방송한다.(2001년자료) | ||
| + | -공교육에서는 10가지의 언어를 가르치게 하는데, 초등학교에서 다게스탄어의 모국어로 가르치지만, 이후에는 하나의 과목으로 가르친다. | ||
| + | |||
| + | ### 역사 | ||
| + | |||
| + | - 1949년 러시아-쿠미크어 사전 발간 | ||
| + | - 1962년 쿠미크-러시아어 사전 발간 | ||
| + | - 쿠미크어 연구소로는 «다게스탄 국립 언어 문학 예술 연구소» «모스크바에 언어연구소» 등 에서 쿠미크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