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yrgyz:0_general:04_genetic:04_genetic [2017/12/13 23:47] 127.0.0.1 바깥 편집 |
doc:kyrgyz:0_general:04_genetic:04_genetic [2021/08/29 10:53] (현재) 안대섭 |
||
|---|---|---|---|
| 줄 1: | 줄 1: | ||
| - | #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 + | #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
| + | |||
| + | |||
| + | - 키르기즈어는 알타이어족 가운데 튀르크어파에 속하는 언어로서 Glottolog 분류에 따라 기타 14개 언어와 함께 큽착어군을 이루고 있다. | ||
| + | |||
| + | |||
| + | - Glottolog의 분류: Turkic > Common Turkic > Kipchak > > East Kipchak Kirghiz | ||
| + | |||
| + | |||
| + | <Kipchak > | ||
| + | |||
| + | ^ East Kipchak ^ North Kipchak^South Kipchak ^West Kimchak ^Unclassified Kipchak^ | ||
| + | |- Kirghiz |- Bashkir |- Kara Kalpak |- Crimean Tatar |- Pecheneg| | ||
| + | |- Southern Altai|- Tatar |- Kazakh |- Urum | | | ||
| + | | | |- Nogai |- Krymchak | | | ||
| + | | | | |- Karaim | | | ||
| + | | | | |- Kumyk | | | ||
| + | | | | |- Karachay-Balk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큽착공통어 형성은 중국 문헌에서 기원전 201-203 년도에 큽착 부족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기록하는 시기로부터 5-10세기 전으로 거슬러 간다(Tenishev et.al 2002:216). 고대 튀르크 Selengin 비석(759년)에도 türk qypčaq 부족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에서 급착어-몽골어-페르시아어(1245년) 사전을 비롯하여 기타 유적이 보존되고 있으며 13세기에 크름에서 편찬된 쿠마니쿠스 사본(Codex Cumanicus, 큽착어 사전)은 베네치아에서 보존되고 있다. 황금군단(유럽에 원정한 몽골의 군단)에서 13-15 세기에 큽착어를 문어로 사용했다. | ||
| + | |||
| + | - 튀르크 공통어에서 qypčaq은 ‘현합’, ‘동맹’을 뜻했으며 qyp- ‘묶다’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현대 카자흐어 qɯpša bel ‘잘록한 허리’, 키르기즈어 qɯpčɯj- ‘꽉 끼다’ 등 동일한 어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