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kyrgyz: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8/04/26 21:50] Asel Talapova |
doc:kyrgyz: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21/08/29 10:54] (현재) 안대섭 |
||
|---|---|---|---|
| 줄 1: | 줄 1: | ||
| -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 + | ### 키르기즈어 강세 | ||
| - 키르기즈 초분절 요소에는 강세를 들 수 있다. | - 키르기즈 초분절 요소에는 강세를 들 수 있다. | ||
| - 키르기즈어 강세는 expiratory(숨내쉬)는 강세에 속하며 해당 모음에 강도를 높여서 발음된다. | - 키르기즈어 강세는 expiratory(숨내쉬)는 강세에 속하며 해당 모음에 강도를 높여서 발음된다. | ||
| - | - 강세는 언제나 마지막 음절에 오게 되고 어휘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기능을 하지 않는다. | + | - 강세는 언제나 마지막 음절에 오게 되는데 음운론적 변별 기능을 하는 경우와 변별 기능을 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
| + | - 어느 기능이냐에 따라서 어휘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가 있다. | ||
| + | - 음운변별 기능을 하는 경우는 몇 가지의 형태소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진다. | ||
| + | |||
| + | #### 음운변별 기능 비실행 | ||
| + | |||
| + | - 키르기즈어에서 강세는 대부분의 경우 어휘 뜻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 ||
| - 해당 어휘의 형태변화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마다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넘어가게 된다. | - 해당 어휘의 형태변화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마다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넘어가게 된다. | ||
| + | |||
| + | | kɨš | k[‘ɨ]š | 겨울| | ||
| + | | kɨš-tak| kɨšt[á]k | 겨울-지내는곳 (마을)| | ||
| + | | kɨš-tak-tar| kɨštakt[á]r | 겨울-지내는곳-들 (마을들)| | ||
| + | | kɨš-tak-tar-ɨbɨz | kɨštartarɨb[‘ɨ]z | 겨울-지내는곳-들-우리의 (우리 마을들)| | ||
| + | | kɨš-tak-tak-ɨbɨz-da| kɨštaktarɨbɨzd[á] | 겨울-지내는곳-들-우리의-에 (우리 마을들에)| | ||
| + | |||
| + | #### 음운변별 기능 실행 | ||
| + | |||
| + | |||
| + | - 키르기즈어에서 강세를 못 받는 형태소 몇 개가 있다. | ||
| + | - 이와 관련하여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안 오는 경우가 있다. | ||
| + | - 이러한 형태는 강세를 받는 동음이의의 형태의 쌍을 갖는데 강세 유무에 따라 동일한 어휘가 나타내는 의미나 문법기능이 달라진다. | ||
| + | - 강세 음운변별 자질을 나타내는 형태소는 총 4개다. | ||
| + | |||
| + | |||
| + | ##### 1) 재귀표지 – 서술표지(3인칭) bɨz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Bizdin ata-b[‘ɨ]z kɨzmatker. | ||
| + | Our father-RFL official | ||
| + | ‘우리 아버지는 공무원이다.’ | ||
| + | }}}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Biz at[á]-bɨz. | ||
| + | We fater-COPULA | ||
| + | ‘우리는 아버지들이다.’ | ||
| + | }}} | ||
| + | |||
| + | ##### 2) 부정접사 – 서술표지(2인칭) sɨz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Bala-s[‘ɨ]z adam-ga bala ber. | ||
| + | Child-without person-DAT child give-IMP | ||
| + | ‘아이 없는 사람에게 아이를 주시오.’ | ||
| + | }}}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Siz dagɨele bal[á]-sɨz. | ||
| + | You still child-COPULA | ||
| + | ‘당신은 아직도 아이이다.’ | ||
| + | }}} | ||
| + | |||
| + | ##### 3) 2인칭재귀표지 – 명령표지 -ɨŋɨz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Siz-din at-ɨŋ[‘ɨ]z kajsɨ? | ||
| + | You-GEN horse-RFL which | ||
| + | ‘당신의 말은 어느 것입니까?’ | ||
| + | }}}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Azɨr [á]t-ɨŋɨz. | ||
| + | Now shoot-IMP | ||
| + | ‘지금 쏘시오.’ | ||
| + | }}} | ||
| + | |||
| + | ##### 4) Agentive – Imperative -ču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Menim bajke-m koj-č[ú] | ||
| + | My brother-RFL sheep-AGENTIVE | ||
| + | ‘내 오빠는 양치기다.’ | ||
| + | }}} | ||
| + | |||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 + | ʤøn ele k[ó]j-ču. | ||
| + | like this put-IMP | ||
| + | ‘그냥 (내버려) 두지.’ | ||
| + | }}} | ||
| + | |||
| + | |||
| - | | kɨš | k[‘ɨ]š | | ||
| - | | kɨš-tak| kɨšt[á]k | | ||
| - | | kɨš-tak-tar| kɨštakt[á]r | | ||
| - | | kɨš-tak-tar-ɨbɨz | kɨštartarɨb[‘ɨ]z | | ||
| - | | kɨš-tak-tak-ɨbɨz-da| kɨštaktarɨbɨzd[á]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