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yrgyz: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yrgyz: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18/04/26 19:42]
Asel Talapova
doc:kyrgyz: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21/08/29 10:54]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줄 16: 줄 16:
 - 어근의 모음 유형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의 모음이 정해진다.  ​ - 어근의 모음 유형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의 모음이 정해진다.  ​
  
-- 어휘 파생.활용하는데 있어 두 개 모음조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모음 선택이 제한되어 있다. ​+- 어휘 파생.활용하는데 있어 두 개 모음조화가 동시에 일어나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모음 선택이 제한되어 있다. ​
 - 때문에 어근의 모음 유형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의 모음 유형은 기본적으로 2가지밖에 안 된다. ​ - 때문에 어근의 모음 유형에 따라 결합하는 접사의 모음 유형은 기본적으로 2가지밖에 안 된다. ​
 - 순 키르기즈어 어근은 다음절어인 경우 전/후설, 원순/​비원순 모음조화 규칙이 작용되어 2개 유형의 모음만 사용이 가능하다. ​ - 순 키르기즈어 어근은 다음절어인 경우 전/후설, 원순/​비원순 모음조화 규칙이 작용되어 2개 유형의 모음만 사용이 가능하다. ​
줄 43: 줄 43: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t[a]m[a]k-t[a]r-d[ɨ]n ​  ​k[a]l-g[a]n-d[a]r-[ɨ] t[a]m[a]k-t[a]r-d[ɨ]n ​  ​k[a]l-g[a]n-d[a]r-[ɨ]
 meal-PL-ABL ​       leave-NMZ-PL-RFL meal-PL-ABL ​       leave-NMZ-PL-RFL
줄 49: 줄 49: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ʤ[ɨ]l[a]ŋ[a]jl[a]k ​ b[a]s-k[a]n-[ɨ] ​ ʤ[a]kš[ɨ] ​ ʤ[ɨ]l[a]ŋ[a]jl[a]k ​ b[a]s-k[a]n-[ɨ] ​ ʤ[a]kš[ɨ] ​
 barefoot ​         step-NMZ-RFL ​  ​good ​ barefoot ​         step-NMZ-RFL ​  ​good ​
줄 56: 줄 56: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č[o]g[u]l[u]š-t[u] ​  ​[u]j[u]š-t[u]r-g[a]n ​  ​[a]d[a]m-d[a]r č[o]g[u]l[u]š-t[u] ​  ​[u]j[u]š-t[u]r-g[a]n ​  ​[a]d[a]m-d[a]r
 meeting-ACC ​        ​organize-PAST-DET ​   man-PL meeting-ACC ​        ​organize-PAST-DET ​   man-PL
줄 62: 줄 62: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š[a]:​r-d[a] ​ t[u]r[u]:​č[u]-l[a]r-g[a] ​ [ɨ]ŋg[a]j-s[ɨ]z-d[ɨ]k-t[ɨ] ​    ​ʤ[a]r[a]t-[a]t. š[a]:​r-d[a] ​ t[u]r[u]:​č[u]-l[a]r-g[a] ​ [ɨ]ŋg[a]j-s[ɨ]z-d[ɨ]k-t[ɨ] ​    ​ʤ[a]r[a]t-[a]t.
 city-LOC resident-PL-DAT ​       comfort-NEG-NMZ-ACC create-PRES.3SG city-LOC resident-PL-DAT ​       comfort-NEG-NMZ-ACC create-PRES.3SG
줄 72: 줄 72:
  
 - 키르기즈어에서 수, 격, 재귀 등의 변화에 관여하는 접사의 모음 유형은 전설모음 대 후설모음,​ 원순모음 대 비원순모음 이형태 중 하나가 선택된다. - 키르기즈어에서 수, 격, 재귀 등의 변화에 관여하는 접사의 모음 유형은 전설모음 대 후설모음,​ 원순모음 대 비원순모음 이형태 중 하나가 선택된다.
-- 또한 어근의 모음이 고모음이냐 저모음이냐에 따라서 ​걸려서 각각 형태마다 기본적으로 4개의 이형태가 발달되어 있다. +- 또한 어근의 모음이 고모음이냐 저모음이냐에 따라서 ​한번 더 선택이 일어나서 각각 형태마다 기본적으로 4개의 이형태가 발달되어 있다. 
-- 예를 들어 목적격 접사 [-nɨ]는 고모음 계열의 모음이니 이의 이형태들은 [-ni], [-ny], [-nu] 고모음만 사용된다(자음동화에 따른 이형태 제외).+- 예를 들어 목적격 접사 [-nɨ]는 고모음 계열의 모음이니 이의 이형태들은 [-ni], [-ny], [-nu], [-nɨ] 고모음만 사용된다(자음동화에 따른 이형태 제외).
 - 여격 접사 [-ga]는 저모음 계열의 모음 유형이니 이형태들에 [-ge], [-gø], [-ga], [-go]에서와 같이 저모음만 사용된다. - 여격 접사 [-ga]는 저모음 계열의 모음 유형이니 이형태들에 [-ge], [-gø], [-ga], [-go]에서와 같이 저모음만 사용된다.
  
줄 84: 줄 84: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m[e]kt[e]p-t[e]r-d[e] ​ k[i]t[e]p-t[e]r ʤ[e]t[i]š-s[i]z ​ m[e]kt[e]p-t[e]r-d[e] ​ k[i]t[e]p-t[e]r ʤ[e]t[i]š-s[i]z ​
 school-PL-LOC ​     book-PL ​   enough-NEG ​ school-PL-LOC ​     book-PL ​   enough-NEG ​
줄 90: 줄 90: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g[e] b[i]l-g[i]z-d[i]r-b[e]-j [ø]t-[y]p k[e]t-t[i] b[i]z-g[e] b[i]l-g[i]z-d[i]r-b[e]-j [ø]t-[y]p k[e]t-t[i]
 we-DAT know-CAUS-NEG-CONV pass-CONV go-PAST.3SG we-DAT know-CAUS-NEG-CONV pass-CONV go-PAST.3SG
줄 96: 줄 96: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k[ø]r-b[ø]-g[ø]n-[y]b[y]z-g[ø] ​ [e]k[i] ​ k[y]n bol-du. ​ k[ø]r-b[ø]-g[ø]n-[y]b[y]z-g[ø] ​ [e]k[i] ​ k[y]n bol-du. ​
 see-NEG-NMZ-RFL-DAT two  day  become-PAST.3SG see-NEG-NMZ-RFL-DAT two  day  become-PAST.3SG
줄 102: 줄 102: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t[y]š[y]n-b[ø]-g[ø]n-d[ø]r-[y]ŋ[ø]r-d[y] ​ sura-gɨla. t[y]š[y]n-b[ø]-g[ø]n-d[ø]r-[y]ŋ[ø]r-d[y] ​ sura-gɨla.
 understand-NEG-NMZ-PL-RFL-ACC ​ ask-IMP understand-NEG-NMZ-PL-RFL-ACC ​ ask-IMP
줄 134: 줄 134:
 ^ 몽골어 차용어 | ʤuta ‘굶주림’,​ kujkala ‘굽다’,​ kulan ‘망아지(3살)’,​ kunaʤɨn ‘암소’,​ šumkar ‘(사냥)독수리’,​ kuda ‘사돈’ ​ || ^ 몽골어 차용어 | ʤuta ‘굶주림’,​ kujkala ‘굽다’,​ kulan ‘망아지(3살)’,​ kunaʤɨn ‘암소’,​ šumkar ‘(사냥)독수리’,​ kuda ‘사돈’ ​ ||
 ^ 러시아어 차용어 | komandir ‘지휘관’,​ televizor ‘텔레비전’,​ radio ‘라디오’,​ gubernator ‘도지사’ ​ || ^ 러시아어 차용어 | komandir ‘지휘관’,​ televizor ‘텔레비전’,​ radio ‘라디오’,​ gubernator ‘도지사’ ​ ||
 +
 +
 +
 +### 자음동화
 +
 +- 키르기즈어 음운과정 중에 자음의 유/무성 대립에 따라 자음동화(assimilation)와 자음이화(dissimilation)가 일어난다.
 +- 키르기즈어세어 어휘파생(합성어 생성)과 어형변화(명사곡용,​ 동사활용)에 관여하는 접사는 언제나 선행하는 요소의 마지막 음운의 자질에 따라 변이형태가 채택된다. ​
 +- 따라서 동일한 의미소를 갖는 각기 다른 변이형태들이 발달되어 있다. ​
 +
 +##### 동화
 +
 +###### b, d, g -> p, t, k
 +- [b, d, g]로 시작되는 접사가 인접한 선행어의 마지막 음운이 무성음인 경우의 무성음화되어 각각 [p, t, k]로 시작되는 이형태로 실현된다.
 +
 +- b -> p
 +- ʤa[š]+[b]ɨ -> ʤaš[p]ɨ ‘젊습니까?​’,​ tar[t]+[b]a -> tart[p]a ‘댕기지 마’, u[k]+[b]a -> uk[p]a ‘듣지 마’, a[t]+[b]ɨ -> at[p]ɨ ‘말입니까?​’.
 +- d -> t
 +- ʤumu[š]+[d]an -> ʤumuš[t]an ‘직장에서’,​ tyndy[k]+[d]ø -> tyndyk[t]ø ‘북에서’,​ mekte[p]+[d]e -> mektep[t]e ‘학교에서’.
 +- g -> k
 +- ba[k]+[g]a -> bak[k]a ‘나무로’,​ sa:[t]+[g]a -> sa:t[k]a ‘(몇)시에’,​ a[t]+[g]ɨč -> at[k]ɨč ‘사격수’,​ tɨ[š]+[g]arɨ -> tɨš[k]arɨ ‘밖에’.
 +
 +
 +###### z -> s
 +-[z]는 무성음 앞에서 규칙적으로 무성음화되어 [s]의 변이음으로 발음된다. [s]는 ​ 따로 이형태가 존재하지 않으며 변이음으로만 실현된다. 이는 선행요소가 무성음화되는 역행동화의 경우이다. ​
 +
 +- sø[z]+[s]yz -> 발음: sø[ss]yz, 표기: sø[zs]yz ‘말 없이’, tu[z]+[s]uz -> 발음: tu[ss]uz, 표기: tu[z]suz ‘소금 없이’, so[z]+[s]o -> 발음: so[ss]o, 표기: so[z]so ‘끌면’,​ kø[z] [s]al -> 발음: kø[s s]al, 표기: kø[z] sal ‘보살펴 보다’, ka[z]+ [s]a -> 발음: ka[ss]a, 표기: ka[z]sa ‘(땅을) 파면’. ​
 +
 +
 +###### n -> ŋ
 +-[n]은 [g], [k] 앞에서 연구개음화되어 [ŋ]로 발음된다. ​
 +
 +- køry[n]+[g]øn -> køry[ŋ]gøn ‘보였던’,​ mu:[n]+[g]a -> mu:[ŋ]ga ‘음절에’,​ ʤu:[n]+gan -> ʤu:[ŋ]gan ‘목욕했던’,​ kuba[n]+[g]an -> kuba[ŋ]gan ‘기뻤던’,​ ty[n]+ky -> ty[ŋ]ky ‘밤의’.
 +
 +
 +###### p, t, k -> b, d, g
 +-[p, t, k]로 끝나는 어근이나 접사는 모음사이에 유성음화되어 [b, d, g]로 발음된다. 이때 표기는 변화된 변이음으로 바뀌어서 쓴다. ​
 +
 +- kite[p]+[i]m -> kite[b]im ‘나의 책’, ba[k]+[ɨ] -> ba[g]ɨ ‘그의 나무’, ʤu[k]+[u]: -> ʤu[g]u: ‘옮음’,​ čɨ[k]+[a]r -> čɨ[g]ar ‘나가겠다’,​ ti[k]+[u]: -> ti[g]u: ‘심는 것’, kø[k]+[a]r -> kø[g]ør ‘파래지다’,​ to[p]+[u]m -> to[b]um ‘나의 공’, ​
 +
 +
 +
 +
 +##### 이화
 +- 키르기즈어에서 어근 안에서 혹은 접사와 인접되는 자리에 두 개 비음이 조합되는 경우 이화가 일어난다. 이때 후행 요소가 대부분의 경우 유성음화된다. [ll], [nl], [rl]의 따위이다. ​
 +
 +- ll, nl, rl -> ld, nd, rd
 +- ka[m]+[l]a -> kam[d]a ‘챙기다’,​ ʤɨ[l]+[l]ar -> ʤɨl[d]ar ‘세월’,​ sa[n]+[l]ar -> san[d]ar ‘허벅지들’,​ ma[l]+[l]u: -> mal[d]u: ‘가축이 많은’, čene[m]+[l]y:​ -> čenem[d]y: ‘제한된’,​ ʤɨ[l]+[l]ɨk -> ʤɨl[d]ɨk ‘주년’,​ øky[m]+[l]yk -> økym[d]yk ‘화’, kalɨ[ŋ]+[l]ɨk -> kalɨŋ[d]ɨk ‘두께’. ​
 +
 +
 +
doc/kyrgyz/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152473932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4/26 19:42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