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yrgyz: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yrgyz: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5/05 18:42]
Asel Talapova [목적격]
doc:kyrgyz: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0:25] (현재)
유현조
줄 2: 줄 2:
  
  
-### 수+## 수
  
 #### 단수 #### 단수
줄 28: 줄 28:
  
  
-### 격+## 격
  
 -  키르기즈어에서 6개의 격이 있으며 다른 튀르크 언어들과 마찬기지로 격접사에 의해서 굴곡적인 방법으로 실현된다. -  키르기즈어에서 6개의 격이 있으며 다른 튀르크 언어들과 마찬기지로 격접사에 의해서 굴곡적인 방법으로 실현된다.
줄 55: 줄 55:
 - 주격은 특정한 형태를 취하지 않으며 문장에서 주어를 나타내는 기능을 실현한다. - 주격은 특정한 형태를 취하지 않으며 문장에서 주어를 나타내는 기능을 실현한다.
  
-{{{eg>​kirg1245+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yz-Ø kel-di kyz-Ø kel-di
 autumn-Ø come-PST.3SG autumn-Ø come-PST.3SG
줄 63: 줄 65:
 -Ø형태는 명사로 나타나는 술어에 결합한다. 이 경우 엄격히 주어에 후행하는 순서에 의해서 실현된다. 키르기즈 전통문법에서 서술어 기능을 하는 Ø형태는 주격 접사로 분류한다. -Ø형태는 명사로 나타나는 술어에 결합한다. 이 경우 엄격히 주어에 후행하는 순서에 의해서 실현된다. 키르기즈 전통문법에서 서술어 기능을 하는 Ø형태는 주격 접사로 분류한다.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Bilim   ​talaj,​ bilim   ​ɨrɨs,​ bilim   ​kуč. Bilim   ​talaj,​ bilim   ​ɨrɨs,​ bilim   ​kуč.
 knowledge fortuneØ knowledge happinessØ knowledge strengthØ ​ knowledge fortuneØ knowledge happinessØ knowledge strengthØ ​
줄 71: 줄 73:
 -Ø형태는 호칭할 때 실현된다. -Ø형태는 호칭할 때 실현된다.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Bal-dar, køl tarap-ka bar-gɨla. Bal-dar, køl tarap-ka bar-gɨla.
 Guy-PL-Ø lake side-DAT go-IMP ​ Guy-PL-Ø lake side-DAT go-IMP ​
줄 79: 줄 81:
 -Ø형태는 고유명사,​ 지명 등을 수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Ø형태는 고유명사,​ 지명 등을 수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ʤazuchu:​- ​ Bajalinov ​  ​biz-din mektep-ke kel-di. ʤazuchu:​- ​ Bajalinov ​  ​biz-din mektep-ke kel-di.
 writer-Ø Bajalinov we-GEN school-DAT come-PST.3SG ​ writer-Ø Bajalinov we-GEN school-DAT come-PST.3SG ​
줄 87: 줄 89:
 -Ø형태는 bol ‘되다’ 동사와 함께 실현된다. -Ø형태는 bol ‘되다’ 동사와 함께 실현된다.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Muz toŋ-up su: bol-du. Muz toŋ-up su: bol-du.
 Ice melt-CONV waterØ become-PST.3SG Ice melt-CONV waterØ become-PST.3SG
줄 94: 줄 96:
  
 -Ø(주격)형태는 menen ‘-와’, yčyn ‘위하여’,​ ʤønyndø ‘대하여’,​ bojunča ‘관하여’ 후치사를 선행 명사구에 할당된다. -Ø(주격)형태는 menen ‘-와’, yčyn ‘위하여’,​ ʤønyndø ‘대하여’,​ bojunča ‘관하여’ 후치사를 선행 명사구에 할당된다.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Al dos-tor menen čogu esal-gan-ga ket-ti. Al dos-tor menen čogu esal-gan-ga ket-ti.
 he friend-PL-Ø with together rest-NMS-for go-PST.3SG he friend-PL-Ø with together rest-NMS-for go-PST.3SG
줄 100: 줄 102: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Ar_bir adam yčyn ʤetkilikty:​ ʤumuš ber-il-et. Ar_bir adam yčyn ʤetkilikty:​ ʤumuš ber-il-et.
 Every  manØ  for   ​enough ​  ​work ​ give-PASS-PRES.3SG Every  manØ  for   ​enough ​  ​work ​ give-PASS-PRES.3SG
줄 106: 줄 108: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Al murdagɨ turmuš ʤønyndø ​ ajt-ɨp ber-di. Al murdagɨ turmuš ʤønyndø ​ ajt-ɨp ber-di.
 he past     ​life ​    ​about ​     say-CONV give-PST.3SG ​ he past     ​life ​    ​about ​     say-CONV give-PST.3SG ​
 ‘그는 과거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었다.’ ‘그는 과거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었다.’
 +}}}
 +
 +
 +#### 속격
 +-속격은 소유자를 나타낼 수도 있고 두 객체의 재료, 성분, 친족, 소속 등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수식을 받는 명사는 3인칭 재귀소유표지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g>​kirg1245 (talapova2018:​000)
 +Apa-m ɨramatɨlɨk kumurska-nɨn uja-si-n buz-ba de-ču ele.
 +Mom-RFL decedent ant-GEN house-RFL-ACC destroy-NEG say-PST.HAB ​ PTCL
 +‘돌아가신 어머님께서 개미의 집을 파괴하면 안 된다고 하곤 하셨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ijim-din topču-su ɨrgɨt-ɨl-ɨp ​ ket-ti.
 +Cloth-GEN button-RFL throw-PASS-CONV ​ go-PST.3SG ​
 +‘옷의 단추가 떨어져 나갔다.’
 +}}}
 +
 +-속격 접사는 여러 사물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구분하는 의미기능도 있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Okuču:​-lar-dɨn eŋ_ele oku-j-al-ba-gan-dar ​ emki klass-ka kotor-ul-ba-jt.
 +Student-PL-GET most study-CONV-MOD-NEG-NMZ-PL next class-DAT pass-PASS-NEG-PRES.3PL
 +‘학생 중에 가장 공부하지 못한 애들만 다음 클래스로 통과되지 못한다.’
 +}}}
 +- 키르기즈어 속격의 가장 특 특징은 속격접사가 재귀소유표지와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전자는 수식어에 결합하고 후자는 피수식어에 결합된다.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din mugalim-ibiz
 +We-GEN ​ teacher-RFL.1PL ​
 +‘우리의 선생님-(우리의).’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aldar-dɨn tob-u
 +children-GEN ball-RFL.3PL
 +‘아이들의 공-(그들의).’
 }}} }}}
  
줄 115: 줄 151:
 -목적격은 서술어의 직접 목적어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 -목적격은 서술어의 직접 목적어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 bygyn baktarak-tɨ oltur-guz-dik. 
 +we today tree-ACC sit-CAUS-PST.1PL  
 +‘우리는 오늘 나무를 심었다.’ 
 +}}} 
 + 
 + 
 +#### 목적격  
 +-목적격은 서술어의 직접 목적어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 bygyn baktarak-tɨ oltur-guz-dik. Biz bygyn baktarak-tɨ oltur-guz-dik.
 we today tree-ACC sit-CAUS-PST.1PL ​ we today tree-ACC sit-CAUS-PST.1PL ​
줄 122: 줄 168:
  
 -목적격 접사는 자동사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있다. ​ -목적격 접사는 자동사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있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šambet ​ tala:nɨ kɨdɨr-dɨ,​ kɨštak-tɨ arala-dɨ. šambet ​ tala:nɨ kɨdɨr-dɨ,​ kɨštak-tɨ arala-dɨ.
 Shambet field-ACC go_around village-ACC wander Shambet field-ACC go_around village-ACC wander
줄 129: 줄 175:
  
 -목적격 접사는 목적어가 비한정 명사구를 나타내는 경우에 비실현된다. 사물의 일반성, 종합성 혹은 사물이 이루는 그룹, 다른 객체와 구분하지 않는 비슷한 사물과 나란히 표현할 때 목적격 접사가 규칙적으로 비실현된다. 아래는 구체적인 책을 읽는 것이 아니고 총칭적인 의미의 책을 읽는다는 뜻이다. ​ -목적격 접사는 목적어가 비한정 명사구를 나타내는 경우에 비실현된다. 사물의 일반성, 종합성 혹은 사물이 이루는 그룹, 다른 객체와 구분하지 않는 비슷한 사물과 나란히 표현할 때 목적격 접사가 규칙적으로 비실현된다. 아래는 구체적인 책을 읽는 것이 아니고 총칭적인 의미의 책을 읽는다는 뜻이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Adam-dar-ɨn kitep oku-gan-ɨ čɨndap_ele adeb-in-e ta:sir et-et. Adam-dar-ɨn kitep oku-gan-ɨ čɨndap_ele adeb-in-e ta:sir et-et.
 Man-PL-RFL book-Ø read-NMZ-RFL ​ really ​ breeding-RFL-DAT influence do-PRES.3SG Man-PL-RFL book-Ø read-NMZ-RFL ​ really ​ breeding-RFL-DAT influence do-PRES.3SG
줄 136: 줄 182:
  
 -목적어와 타동사 사이에 수식하는 성분이 많을 경우에 목적격 접사가 반드시 실현된다. ​ -목적어와 타동사 사이에 수식하는 성분이 많을 경우에 목적격 접사가 반드시 실현된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čoŋ_ata-m bu:daj-dɨ ʤaŋɨ sat-ɨp al-gan ʤer-ge ajda-dɨ. čoŋ_ata-m bu:daj-dɨ ʤaŋɨ sat-ɨp al-gan ʤer-ge ajda-dɨ.
 grandfather wheat-ACC new buy-CONV take-REL place-LOC plant-PST.3SG grandfather wheat-ACC new buy-CONV take-REL place-LOC plant-PST.3SG
줄 143: 줄 189:
  
  
 +#### 여격
 +-여격접사는 상대(수혜),​ 방향, 변화, 비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을 실현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pa-sɨ baldar-ga ʤomok-tu oku-p ber-di.
 +Mother-RFL children-DAT fairy_tale-ACC read-CONV give-PST.3SG
 +‘엄마는 아이들에게 동화를 읽어 주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Tɨškɨ išter ministr el-din suro:​-lor-go ʤo:p ber-di.
 +outside affair minister people-GEN question-PL-DAT answer give-PST.3SG
 +‘외무부 장관은 국민의 질문에 대답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Muz-du kyn-gø koj-so su:-ga ajlan-at.
 +Ice-ACC sun-DAT put-if water-DAT change-PRES.3SG
 +‘얼음은 햇빛에 놓으면 물로 바뀐다.’
 +}}}
 +
 +-키르기즈어에서 방향과 함깨 목표가 되는 장소 및 도달점을 나타내는 명사구에 여격접사가 사용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portsmen-der meldeš øt-yp ʤat-kan ša:r-ga bar-a ʤat-ɨš-at.
 +sportsman-PL contest go-CONV lie-REL city-DAT go-CONV lie-RESP-PRES.3PL
 +‘선수들이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도시로 가고 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man kol-u-nun ʤara bol-gon ʤer-ge bint-ti bajla-dɨ.  ​
 +Aman hand-RFL-GEN wound become-REL place-DAT bandage-ACC ​ tie-PST.3SG
 +‘아만은 손의 상처가 된 곳에 붕대를 감았다.’
 +}}}
 +
 +-여격접사는 +상태의 의미자잘을 포함한 otur ‘앉다’,​ ʤat ‘눕다’ 등의 동사와 결합할 때 동작을 나타낸다. 처격 접사가 실현되는 경우 상태를 나타내게 되는데 키르기즈어에서 이러한 동사에 한하여 상태와 동작의 구분은 여격접사와 처격접사에 의해서 구분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onok stul-ga otur-du.
 +guest  seat-DAT sit-PST.3SG ​
 +‘손님은 의자에 앉았다.’ (동작의 의미)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onok stul-da otur-du.
 +guest  seat-LOC sit-PST.3SG ​
 +‘손님은 의자에 앉아 있었다.’ (상태의 의미)
 +}}}
 +
 +
 +#### 처격
 +-키르기즈어에서 ‘위치’와 ‘처소’의 의미는 처소격접사 –da와 이의 10개 이형태에 의해서 실현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ajke-m Orusija-nɨn Moskva ša:r-ɨn dyjkøn-dør-dyn bir-in-de ište-jt.
 +Brother-RFL Russia-GEN Moscow city-RFL shop-PL-GEN one-RFL-LOC work-PRES.3SG
 +‘나의 오빠는 러시아의 모스크바시 가계들 중 하나에서 일한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ølkø-nyn ko:ptu: ajmak-tar-ɨn-da ʤaša-gan koʤoluk-tar-dɨn sanɨ bir miŋ-ge ʤakɨn.
 +Country-GEN dangerous region-PL-RFL-LOC live-REL household-PL-GEN number one thousand-DAT close.
 +‘나라의 위험한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들의 수는 천(구)에 가깝다.’
 +}}}
 +
 +-처격접사는 일정한 시점을 나타낸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Tynky sa:t yč-tø ojgon-up al-dɨm.
 +night  clock three-LOC wake_up-CONV take-PST.1SG
 +‘밤 3시에 (잠에서) 깨었다.’
 +}}}
 +
 +#### 탈격
 +-탈격은 ‘재료’,​ ‘원인’,​ ‘출처’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구에 탈격접사가 결합하여 실현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oro-nun darbaza-sɨ temir-den ʤas-al-gan.
 +yard-GEN moon-POSS ion-ABL make-PASS-PST
 +‘마당에서의 문은 쇠로 만들어졌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l ʤo:​pker-siz-dig-i-nen kɨzmat-ɨ-nan bošot-ul-du. ​
 +He response-NEG-NMZ-POSS-ABL duty-RFL-ABL relieve-PASS-PST.3SG
 +‘그는 무책임으로 의무에서 해고당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u kabar-dɨ ʤakɨn dos-um-dan uk-tu-m.
 +this news-ACC close friend-POSS-ABL hear-PST-1SG
 +‘이 소식은 가까운 친구에게로 들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 erteŋki sa:t  segiz-den ​ on_eki-ge čejin ​ oku-j-buz.
 +we morning clock eight-ABL twelve-DAT till study-PRES-1PL
 +‘우리는 아침 8시부터 12시까지 공부한다.’
 +}}}
 +
 +## 재귀소유
 +-키르기즈어에서 다음과 같은 인칭 재귀소유표지들이 있다. ​
 +
 +^  인칭 ​    ​^ ​ 단수 ​                                                 |^  복수 ​                                                                           ||
 +| :::     ​^ ​ 모음 ​                    ​^ ​ 자음 ​                        ​^ ​ 모음 ​                                 ^  자음 ​                                     ^
 +^ 1인칭 ​    | -m                      | -ɨm, -im, -um, -ym          | -bɨz, -biz, -buz, -byz               | -ɨbɨz, -ibiz, -ubuz, -ybyz               |
 +^ 2인칭 ​    | -ŋ                      | -ɨŋ, -iŋ, -uŋ, -yŋ          | -ŋar, -ŋer, -ŋor, -ŋør ​              | -ɨŋar, -iŋer, -uŋor, -yŋør ​              |
 +^ 2인칭 존대 ​ | -ŋɨz, -ŋiz, -ŋuz, -ŋyz  | -ɨŋɨz, -iŋiz, -uŋuz, -yŋyz ​ | -ŋɨzdar, -ŋizder, -ŋuzdar, ​ -ŋyzdør ​ |  -ɨŋɨzdar,​ -iŋizder, -uŋuzdar, ​ -yŋyzdør |
 +^ 3인칭 ​    | -sɨ, -si, -su, -sy      | -ɨ, -i, -u, y               | -sɨ, -si, -su, -sy                   | -ɨ, -i, -u, y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iz-din bala-ŋɨz kajak-ta tur-at?
 +you-GEN son-POSS where stand-PRES.3SG
 +‘당신의 아들은 어디서 삽니까?​’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Men-de bir u:l-um ʤana eki kɨz-ɨm bar.
 +I-LOC one son-POSS and two daughter-RFL be
 +‘나는 아들 하나 그리고 딸 둘이 있다.’
 +}}}
doc/kyrgyz/2_wordclass/22_noun/22_noun.152551337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05 18:42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