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yrgyz: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yrgyz: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5/09 15:37]
Asel Talapova
doc:kyrgyz: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29 10:55]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23_verb :  동사 (verb) # 23_verb :  동사 (verb)
- 
  
 - 동사는 문장에서 서술어 기능을 담당하여 주어와 일치 관계에 있다. ​ - 동사는 문장에서 서술어 기능을 담당하여 주어와 일치 관계에 있다. ​
-- 따라서 ​시제, ​인칭수, 법을 나타다.  +- 따라서 ​주어와 ​인칭과 의 일치관계에 따라 활용된다. 동사는 시제, 법, 태, 상의 범주를 ​나타다. 
-- 동사의 사전적 기본 형태는 동사의 어근이며 2인칭 명령어 형태이기도 하다. ʤaz ‘써라’,​ oku ‘읽어라’. 기본형태에 접사가 결합하면서 동사가 활용된다. ʤaz-dɨ ‘썼다’,​ ʤaz-at ‘쓸 것이다’ +- 동사의 사전적 기본 형태는 동사의 어근이며 2인칭 명령어 형태이기도 하다. ʤaz ‘써라’,​ oku ‘읽어라’. 기본형태에 접사가 결합하면서 동사가 활용된다. ʤaz-dɨ ‘썼다’,​ ʤaz-at ‘쓸 것이다’. 
--부정 형태는 –o:, -u:, -y: 접사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ʤaz-u: ‘to write’, oku: ‘to study’.+- 부정 형태는 –o:, -u:, -y: 접사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ʤaz-u: ‘to write’, oku: ‘to study’.
  
  
줄 33: 줄 32:
 ###### 복합동사 ###### 복합동사
  
- ​-복합동사는 둘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선.후행 요소의 의미가 융합되어 단일한 개념을 나타내게 된다. til ‘혀’, al ‘갖다’,​ til al ‘말을 듣다’, kulak ‘귀’, sal ‘넣다’ -> kulak sal ‘듣다’. + - 복합동사는 둘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선.후행 요소의 의미가 융합되어 단일한 개념을 나타내게 된다. til ‘혀’, al ‘갖다’,​ til al ‘말을 듣다’, kulak ‘귀’, sal ‘넣다’ -> kulak sal ‘듣다’. 
- ​-선행 요소는 명사, 부사 등으로 실현되어 후행 요소는 경동사(light verb)인 구성도 복합동사 구성이다. 이러한 경동사 중에 et, kør, al, bol, sal이 있다.+ - 선행 요소는 명사, 부사 등으로 실현되어 후행 요소는 경동사(light verb)인 구성도 복합동사 구성이다. 이러한 경동사 중에 et, kør, al, bol, sal이 있다.
    
  
줄 45: 줄 44:
 | :::  | bala ‘아이’ ​   | bala kør ‘애 낳다’ ​          | | :::  | bala ‘아이’ ​   | bala kør ‘애 낳다’ ​          |
  
--현재 시제는 ​ ‘–a/j + 인칭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변이음 –e, -o, -ø)가 연결하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j-가 연결된다. ​ 
  
-^ 인칭 ^ 단수 ^^^^ 복수 ​^^^^ +## 시제 
-| :::    | 어근의 마지막 음절 모음 ​ ||||||| + 
-| :::    |  a, u, ɨ | e, i |  o  |  ø, y  |   a, u, ɨ | e, i |  o  |  ø, y  + 
-| 1인칭 | a+mɨn | e+min | o+mun | ø+myn | a+bɨz | e+biz | o+buz | ø+byz | +###### 현재시제 
-| 2인칭 | a+sɨn | e+sin | o+sun | ø+syn | a+sɨŋar | e+siŋer | o+suŋar | ø+syŋør | + 
-| 2인칭 존대 | a+sɨz | e+siz | o+suz | ø+syz | a+sɨzdar | e+sizder | o+suzdar | ø+syzdør | +- 현재 시제는 ​ ‘–a/j + 인칭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 
-| 3인칭 | a+t | e+t | o+t | ø+t | a+t | e+t | o+t | ø+t |+ 
 +-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변이음 –e, -o, -ø)가 연결하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j-가 연결된다. 
 + 
 +- 문장에 현재시제를 표시하는 부사어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미래시제로 사용된다. 
 + 
 +- 3인칭 복수는 현재시제 표시 –a/j에 Reciprocal 접사 -(ɨ)š가 선행할 수 있다. 
 + 
 + 
 + 인칭 ​    ​ 단수 ​                                    ||| 복수 ​                                       |||| 
 + :::    |  어근의 마지막 음절 모음 ​                                                                     |||||||| 
 + :::    |         ​a, u, ɨ | e, i   ​|  o     ​|  ø, y  |   a, u, ɨ | e, i      |  o        |  ø, y     ​
 +| 1인칭 ​    ​| a+mɨn ​          ​| e+min  | o+mun  | ø+myn ​ | a+bɨz ​    ​| e+biz     ​| o+buz     ​| ø+byz ​    ​
 +| 2인칭 ​    ​| a+sɨn ​          ​| e+sin  | o+sun  | ø+syn ​ | a+sɨŋar ​  ​| e+siŋer ​  ​| o+suŋar ​  ​| ø+syŋør ​  ​
 +| 2인칭 존대 ​ | a+sɨz ​          ​| e+siz  | o+suz  | ø+syz ​ | a+sɨzdar ​ | e+sizder ​ | o+suzdar ​ | ø+syzdør ​ 
 +| 3인칭 ​    ​| a+t             ​| e+t    | o+t    | ø+t    | a+t       ​| e+t       ​| o+t       ​| ø+t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anɨšaj kijim-di øzy tig-ip kij-e-t. 
 +Kanyshajy cloth-ACC herself sew-CONV ​ wear-PRES.3SG 
 +‘카느샤이는 옷을 스스로 바느질해서 입는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lar eŋ erte tur-up ​ ʤumuš-ka bar-ɨš-a-t. 
 +They most early stand_up-CONV office-DAT go-RECP-PRES.3PL 
 +‘그들은 가장 먼저 일어나서 직장에 간다.’ 
 +}}} 
 + 
 +###### 미래시제 
 + 
 +- 키르기즈어에서 미래시제는 현재시제 –a/​j+인칭접사에 의해서 실현된다(현재시제 참조) 
 +- 키르기즈어 미래미정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 –ar가 있다.  
 +- 미래미정 시제는 ‘–(a)r+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인칭에 대한 활용 패러다임은 현재시제 참조). 
 +- 동사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가 삽입되며 모음인 경우 –r 하나만 실현된다.  
 +- 미래미정 시제는 추측, 가능성 등의 양태적 의미를 나타낸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Erteŋ kyn ačɨk bol-or. 
 +tomorrow day clear become-FUT.MOD 
 +‘내일 날씨가 맑아지겠다.’ 
 +}}} 
 + 
 +{{{eg>​kirg1245 
 +Emki čoguluš-ta sizder-ge søz ber-il-er. 
 +Next meeting-LOC you-DAT word give-PASS-FUT.MOD 
 +‘다음 모임 때 당신에게 이야기할 자리가 (아마도) 주어질 것이다.’ 
 +}}} 
 + 
 +###### 과거시제 
 + 
 +- 키르기즈어 과거는 정과거(Definite Past)와 부정과거(Indefinite Past)가 있다.  
 +- 정과거는 –dɨ+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 dɨ의 변이음은 유무성에 따라 –dɨ/​tɨ로 구분되며 어근 모음유형에 따라 -du/tu, -dy/ty, -di/ti 접사로 구분된다.  
 +- 정과거는 결과를 함의하며 구체적이고 분명한 사건을 묘사한다. 
 +- 정과거는 발화 시점 기준으로 과거의 동작을 의미하는데 이때 화자는 과거 사건의 참여자이거나 목격자 등 특정한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dɨ는 동사에 결합하여 최근의 과거를 나타내고 대부분의 경우 사건(동작)의 발생 시점을 분명히 표시하는 문맥에서 사용된다.  
 +- dɨ의 인칭에 따라 활용되는 자세한 패러다임은 명사의 재귀소유 표지 도표 참조. ​  
 + 
 +^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 | dɨ-m | dɨ+k | 
 +^ 2인칭 | dɨ-ŋ | dɨ+ɨŋar |   
 +^ 2인칭 존대 | dɨ-ŋɨz | dɨ-ɨŋɨzdar |  
 +^ 3인칭 | dɨ+Ø | dɨ+Ø |   
 + 
 +- 부정과거는 ‘–gan/​kan+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의 변이음은 –gen/ken, -gøn/køn, -gon/​kon이다. 
 +- 부정과거는 사건의 발생 시점에 대한 분명한 언급이 안 된 문맥에서 사용된다.  
 +- 부정과거는 결과를 함의하는 구체적이고 분명한 사건을 묘사하지 않고 반대로 결과와 상관없는 과거 상황(사건) 나타내며 과거 일에 대한 일반적 사실을 전달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oku-du-m ‘내가 읽었다’(정과거)는 읽은 동작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도 존재함을 함의한다. bar-gan-mɨn ‘내가 읽었다’(부정과거)는 반대로 읽은 결과와 상관없이 ‘읽긴 읽었다’,​ ‘읽은 동작 자체가 있었다’의 의미로 이해된다.  
 +- gan 부정과거 접사는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dɨr(-dir,​ -dur, -dyr)과 결합해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부정의 의미가 더 강화된다. 즉 과거의 동작이 일어날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음을 표현한다. oku-gan-dɨr ‘아마도 읽었을 것이다’,​ '​읽었을지도 모른다'​. 
 +- gan/kan과 함쎄 실현되는 인칭접사의 활용 패러다임은 위의 현재시제 도표 참조. ​  
 + 
 +^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 | gan-mɨn | gan+bɨz | 
 +^ 2인칭 | gan-sɨŋ | gan+sɨŋar |   
 +^ 2인칭 존대 | gan-sɨz | gan-sɨzdar |  
 +^ 3인칭 | gan+Ø | gan+Ø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l ʤaš kez-de abdan kɨjɨnčɨlɨk-ta øs-ty. 
 +He young time-LOC very difficulty-LOC grow_up-PST.DEF 
 +‘그는 젊은 시절에 많이 힘든 상황에서 자랐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dyjnø-nyn ølkø-lør-dyn køb-yn-do sabatsɨzdɨk ʤoj-ul-gan. 
 +world-GEN country-PL-GEN many-REF-LOC illiteracy liquidate-PASS-PST.INDEF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문맹이 제거되었다.’ 
 +}}} 
 + 
 + 
 +## 법 
 + 
 +-키르기즈어에서 평서법, 명령법, 가정법, 기원법 4개의 법이 있다.  
 + 
 +##### 명령법 
 +-명령법은 1인칭, 2인칭, 3인칭에 대해서 모두 사용된다.  
 + 
 +^ 인칭 ^ 어근 ^ 단수 ^  복수 ^ 
 +| 1인칭 | 자음 | -ajɨn (-ejɨn, -ojun, -øjyn) | -alɨ(k) (-eli(k), -olu(k), -øly(k)) | 
 +| :::    | 모음 | -jɨn (-jin, -jun, -jyn) | -jlɨ(k) (-jli(k), -jlu(k), -jly(k)) |  
 +| 2인칭 | 반말 | -gɨn (-gin, -gin, -gun –gyn) | -gɨla (-gile, -gula, -gulø) | 
 +| :::    | 존대 | -(ɨ)ŋɨz (-(i)ŋiz, -(u)ŋuz, -(y)ŋyz | -(ɨ)ŋɨzdar (-(i)ŋizder,​ -(u)ŋuzdar,​ -(y)ŋyzdør | 
 +| 3인칭 |      | -sɨn (-sin, -syn, -sun) | -ɨšsɨn (-išsin, -yšsyn, -ušsun)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Men ʤaŋɨ kel-gen student-ter-ge ʤardamdaš-ajɨn. 
 +I  new come-REL student-PL-DAT help-IMP.1SG 
 +‘내가 새로 들어온 학생들을 도와주지.’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im dos kim kas ekeni aʤɨrata bil-gile. 
 +who friend who enemy wether separately know-IMP.3PL  
 +‘누가 친구인지 누가 적인지 변별해서 알거라.’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O:kattu: ʤašo: yčyn ba:rdɨk mymkynčylu-gyŋuz-dør-dy ʤumša-ŋɨzdar. 
 +wealthy liffe for all possibility-REF-PL-ACC use-IMP 
 +‘부유한 삶을 위해서 모든 가능성을 이용하세요.’ 
 +}}} 
 + 
 + 
 +##### 조건법 
 + 
 +- 키르기즈어 조건법은 ‘-sa+인칭접사’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 sa와 함께 실현되는 인칭접사의 자세한 활용 패러다임은 위의 현재시제 도표 참조.  
 + 
 +{{{eg>​kirg1245 (talapova2018:​000) 
 +Tokoj-go bar-sa-ŋar karɨškɨr-dɨ kør-yšy mymkyn. 
 +Forest-DAT go-COND-REF wolf-ACC see-NMZ possible 
 +‘숲에 가면 늑대를 보기가 가능하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øzy bil-be-se øzgø-nyn til-in al-ba-sa al kandaj adam? 
 +Himself know-NEG-COND ​ other-GEN tongue take-NEG-COND he what man  
 +‘본인도 모르면서 다른 사람의 말도 안 들으면 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입니까?​’ 
 +}}} 
 + 
 + 
 +##### 기원법 
 + 
 +- 기원법은 ‘-sa+인칭접사 eken’ 구성에 의해서 실현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ygyn sabak-tɨ dajarda-ba-j kel-dim. Mugalim sura-ba-sa_eken. 
 +Today class-ACC prepare-NEG-CONV come-PST.1SG teacher question-NEG-OPT ​  
 +‘오늘 수업을 준비하지 않고 왔다. 선생님이 묻지 않았으면 한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Kečik-be-j øzyn ubag-in-da ​ bar-sa_eken. 
 +late-NEG-CONV itself time-REF-LOC go-OPT 
 +‘늦지 않고 제시간에 갔으면 좋을텐데.’ 
 +}}} 
 + 
 + 
 + 
 + 
 +## 태 
 + 
 +- 키르기즈어에서 기본태, 상호태, 재귀태, 수동태, 사동태가 있다. 기본태는 평서법 참조. 
 + 
 + 
 +##### 상호태 
 + 
 +- 상호태(Mutuality Voice)는 -ɨš 표지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의 변이음은 –iš, -uš, -yš이다.  
 +-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š가 연결된다.  
 +- 상호태는 공동으로 하는 행위 그리고 상호 재귀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 bir biribiz menen telefon arkɨlu: bajlan-ɨs-tɨk 
 +we one another with telephone through contact-MUT-PST.3PL 
 +‘우리는 서로에게 전화로 연락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ʤumušču-lar ʤamgɨr-ga kara-ba-j ište-š-ti. 
 +worker-PL rain-CON see-NEG-CONV work-MUT-PST.3PL 
 +‘노동자들이 비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했다.’ 
 +}}} 
 + 
 +##### 재귀태 
 + 
 +- 재귀태는 -ɨn(-in, -un, -yn)에 의해서 실현된다.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n 하나만 실현된다.  
 +- 재귀태는 동작이 행동주에게 재귀되는 의미를 나타낸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zɨr ele kɨs-ɨn-ɨp tur-gan kelin-din kabag-ɨ ač-ɨl-dɨ. 
 +Now just restrain-REFL-CONV stand-REL daughter_in_law-GEN eyebrow open-PASS-PST.3SG 
 +‘방금 긴장해서 서고 있던 며느리의 눈썹이 펴졌다(표정이 펴졌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Men kyn-y-gø sa:t altɨ-da tur-up kij-in-ip ʤu-un-am. 
 +I day-REF-DAT hour six-LOC stand_up-CONV wear-REFL-CONV wash-REFL-PRES.1SG 
 +‘나는 매일 6시에 일어나서 옷을 입고 세수한다.’ 
 +}}} 
 + 
 + 
 +##### 수동태 
 + 
 +- 수동태는 -ɨl과 이의 변이음 –il, -ul, -yl 형태에 의해서 실현된다.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l] 하나만 연결된다. ​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ul ʤer-de ʤemiš bak-tar østyr-yl-øt. 
 +this place-LOC fruit tree-PL cultivate-PASS-PRES.3PL 
 +‘이 곳에서 과수가 재배된다.’ 
 +}}} 
 + 
 +{{{eg>​kirg1245 
 +Katu: ʤarɨlu:​-nun yn-y ug-ul-du. 
 +Strong explosion-GEN sound-REFL listen-PASS-PST.3SG 
 +‘시끄러운 폭발의 소리가 들렸다.’ 
 +}}} 
 + 
 +##### 사동태 
 + 
 +- 사동태는 –dɨr(-tɨr),​ -t, -kɨr(kir), -kar(-kør),​ -kɨz, -ɨr, -ɨz, -søt이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Men karɨndaš-ɨm-a kitep-ti oku-t-tum. 
 +I sister-REFL-DAT book-ACC study-CAUS-PST.1SG 
 +‘나는 동생에게 책을 읽게 했다.’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di kyt-tyr-bø-j ​ bat kel. 
 +we-ACC wait-CAUS-NEG-CONV quickly come.IMP 
 +‘우리를 기다리게 하지 말고 빨리 와라’ 
 +}}} 
doc/kyrgyz/2_wordclass/23_verb/23_verb.152584785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09 15:37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