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yrgyz:2_wordclass:24_adj:24_adj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yrgyz:2_wordclass:24_adj:24_adj [2018/05/12 00:03]
Asel Talapova
doc:kyrgyz:2_wordclass:24_adj:24_adj [2021/08/29 10:55] (현재)
안대섭
줄 1: 줄 1: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100%+# 24_adj :  형용사 (adjective)
  
  
줄 15: 줄 15:
 | ABL | ʤakšɨ dos-ton | ʤakšɨ dos-tor-don | | ABL | ʤakšɨ dos-ton | ʤakšɨ dos-tor-don |
  
-### 형용사 파생+## 형용사 파생
  
 ##### 명사에 결합하는 파생접사 ​ ##### 명사에 결합하는 파생접사 ​
 +
  
 - [-lu: (-ly:, -du:, -dy:, -tu:, -ty:​)] ​ - [-lu: (-ly:, -du:, -dy:, -tu:, -ty:​)] ​
-bala ‘아이’ -> bala-lu: ‘아이가 있는’, ene ‘엄마’ -> ene-ly: ‘엄마가 있는’, akɨl ‘지혜’ -> akɨl-du: ‘지혜롭다’,​ køŋyl ‘기분’ -> køŋul-dy: ‘기쁘다’,​ taš ‘돌’ -> taš-tu: ‘돌이 많은’, es ‘지성’ -> es-tu: ‘현명한’+bala ‘아이’ -> bala-lu: ‘아이가 있는’, ene ‘엄마’ -> ene-ly: ‘엄마가 있는’, akɨl ‘지혜’ -> akɨl-du: ‘지혜롭다’,​ køŋyl ‘기분’ -> køŋul-dy: ‘기쁘다’,​ taš ‘돌’ -> taš-tu: ‘돌이 많은’, es ‘지성’ -> es-ty: ‘현명한’
  
 - [-sɨz (-siz, -suz, -syz)] ​ - [-sɨz (-siz, -suz, -syz)] ​
-bala-sɨz: ‘아이가 없는’, ene ‘엄마’ -> ene-ly: ‘엄마가 없는’, akɨl ‘지혜’ -> akɨl-sɨz: ‘지혜롭지 못한’, køŋyl ‘기분’ -> køŋul-sɨz: ‘기쁘지 않은’, taš ‘돌’ -> taš-sɨz: ‘돌이 없는’+bala-sɨz: ‘아이가 없는’, ene ‘엄마’ -> ene-siz: ‘엄마가 없는’, akɨl ‘지혜’ -> akɨl-sɨz: ‘지혜롭지 못한’, køŋyl ‘기분’ -> køŋul-syz: ‘기쁘지 않은’, taš ‘돌’ -> taš-sɨz: ‘돌이 없는’
  
 - [-čɨl (-čil, -čul, -čyl) ] - [-čɨl (-čil, -čul, -čyl) ]
줄 32: 줄 33:
  
 - [-gɨ (-gi, -gu, -gy, -kɨ, -ki, -ku, -ky)]  - [-gɨ (-gi, -gu, -gy, -kɨ, -ki, -ku, -ky)] 
-ʤaz ‘봄’ -> ʤaz-gɨ ‘봄의’,​ ič ‘내부’ -> ič-ki ‘내부의’,​ baš ‘머리’ -> baš-kɨ ‘시작의’,​ kyz ‘가을’ -> kyz-gy ‘가을의’,​ kijin ‘다음’ -> kijin-ki ‘다음의’,​ murun ‘이전’ -> murun-ku ‘이전의’ ​+ʤaz ‘봄’ -> ʤaz-gɨ ‘봄의’,​ ič ‘내부’ -> ič-ki ‘내부의’,​ baš ‘머리’ -> baš-kɨ ‘시작의’,​ kyz ‘가을’ -> kyz-gy ‘가을의’,​ kijin ‘다음’ -> kijin-ki ‘다음의’,​ murun ‘이전’ -> murun-ku ‘이전의’ 
 + 
  
 ##### 동사에 결합하는 파생접사 ​ ##### 동사에 결합하는 파생접사 ​
줄 49: 줄 52:
  
  
-### 비교급 +## 비교급 ​(Comparative form)
- +
-##### 비교급+
  
 -비교급은 사물의 속성에 대해서 작은 차이가 나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급은 사물의 속성에 대해서 작은 차이가 나는 것을 의미한다.
  
-[-(ɨ)ra:k, -(i)re:k, -(u)ra:k, -(y)rø:k]+##### 굴절접사 ​-(ɨ)ra:k, -(i)re:k, -(u)ra:k, -(y)rø:​k ​
 -kyčty: ‘강한’ -> kyčty-rø:​k ‘더 강한’, o:r ‘무거운’ -> o:r-u:ra:k ‘더 무거운’,​ čoŋ ‘큰’ -> čoŋ-ura:k ‘더 큰’, kičine ‘작은’ -> kičine-re:​k ‘더 작은’. -kyčty: ‘강한’ -> kyčty-rø:​k ‘더 강한’, o:r ‘무거운’ -> o:r-u:ra:k ‘더 무거운’,​ čoŋ ‘큰’ -> čoŋ-ura:k ‘더 큰’, kičine ‘작은’ -> kičine-re:​k ‘더 작은’.
  
줄 65: 줄 66:
  
  
-탈격접사 –dan+##### 탈격접사 –dan
 -형용사의 비교급은 비교되는 사물을 뜻하는 명사구에 탈격접사가 결합되면서도 실현된다. 이때 형용사에 -(ɨ)ra:k 접사가 결합할 수도 있고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   -형용사의 비교급은 비교되는 사물을 뜻하는 명사구에 탈격접사가 결합되면서도 실현된다. 이때 형용사에 -(ɨ)ra:k 접사가 결합할 수도 있고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Kitep depter-den kalɨŋ. Kitep depter-den kalɨŋ.
 Book note-ABL thick Book note-ABL thick
줄 75: 줄 75: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Al men-den ulu:​-ra:​k. ​ Al men-den ulu:​-ra:​k. ​
 He I-ABL old-COMPAR He I-ABL old-COMPAR
줄 81: 줄 81:
 }}} }}}
  
-[ karaganda ​후치사]+##### 후치사 ​karaganda ​
  
 -비교 대상이 되는 명사구는 Ø형태를 취하고 비교되는 명사구는 여격접사를 취한다. -비교 대상이 되는 명사구는 Ø형태를 취하고 비교되는 명사구는 여격접사를 취한다.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Murunku suro:-go karaganda bul suro:-lor tata:​l-ɨra:​k. Murunku suro:-go karaganda bul suro:-lor tata:​l-ɨra:​k.
 last question-DAT in_comparison this question-PL difficult-COMPAR last question-DAT in_comparison this question-PL difficult-COMPAR
줄 91: 줄 91: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ša:r-ga karaganda ajɨl-dɨn aba-sɨ taza. ša:r-ga karaganda ajɨl-dɨn aba-sɨ taza.
 city-DAT in_comparison village-GEN air-REFL clean city-DAT in_comparison village-GEN air-REFL clean
줄 97: 줄 97:
 }}} }}}
  
-[kørø ​보조동사]+##### 보조동사 ​kørø ​
  
 -kørø 보조동사는 비교되는 명사구에 후행한다. 이 명사구는 탈격접사를 취한다.  ​ -kørø 보조동사는 비교되는 명사구에 후행한다. 이 명사구는 탈격접사를 취한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ʤaj-dan kørø ʤaz salkɨn. ʤaj-dan kørø ʤaz salkɨn.
 summer-ABL in_comparison spring cool summer-ABL in_comparison spring cool
-‘여름에 비해서 ​봄은 시원하다.’+‘여름보다 ​봄은 시원하다.’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Men-im boj-um sen-den kørø uzun-ura:k. Men-im boj-um sen-den kørø uzun-ura:k.
 I-GEN height-REFL you-ABL in_comparison long-COMPAR I-GEN height-REFL you-ABL in_comparison long-COMPAR
-‘내 키는 너에 비해서 ​더 크다.’+‘내 키는 너보다 ​더 크다.’
 }}} }}}
  
  
  
-##### 최급 (Superlative form)+## 최급 (Superlative form)
  
--최급은 사물 속성의 최고/​최저 속성을 나타낸다. +- 최급은 사물 속성의 최고/​최저 속성을 나타낸다. 
--최급은 [eŋ] ‘가장’,​ [abdan] ‘너무’,​ [øtø] ‘최고로’ 등의 부사어와 같이 사용된다. ​+- 최급은 [eŋ] ‘가장’,​ [abdan] ‘너무’,​ [øtø] ‘최고로’ 등의 부사어와 같이 사용된다. ​
  
-[]+##### eŋ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Dyjnø-nyn eŋ bijik to: Everest. Dyjnø-nyn eŋ bijik to: Everest.
-world-GEN ​the_most ​high mountain Everest+world-GEN ​most high mountain Everest
 ‘세상의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 산이다.’ ‘세상의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 산이다.’
 }}} }}}
  
-[abdan] 
  
-{{{eg>​kirg1245 +##### abdan 
-Til yrøn-y: abdan kɨjɨn + 
-Language learn-NMZ very difficult +{{{eg>​kirg1245 ​(talapova2018:​000) 
-어를 배우기가 ​매우 ​힘들다.’ +Til   ​yrøn-y: ​ abdan  kɨjɨn. 
-}}} +Language learn-NMZ ​ very  difficult 
 +외국어를 배우기가 ​너무 ​힘들다.’ 
 +}}} 
 + 
 +## 정도 약화 (Weakened form)
  
-##### 정도 약화 (Weakened form) 
 -정도약화 접사는 명사에 결합하여 사물 속성의 약한 정도를 나타낸다. ​ -정도약화 접사는 명사에 결합하여 사물 속성의 약한 정도를 나타낸다. ​
  
-[-ɨš +##### -ɨš  
-ak ‘하얀’ -> ag-ɨš ‘약간 하얀’, køk ‘파란’ -> køg-yš ‘조금 파란’+ak ‘하얀’ -> agɨš ‘약간 하얀’, køk ‘파란’ -> køgyš ‘조금 파란’
  
-[-ɨlʤɨn, -ɨlʤɨm +##### -ɨlʤɨn, -ɨlʤɨm  
-køk ‘파란’ -> køg-ylʤym ‘조금 파란’, kara ‘검은’ -> kara-lʤɨn ‘거무스레한’+køk ‘파란’ -> køgylʤym ‘조금 파란’, kara ‘검은’ -> karalʤɨn ‘거무스레한’
  
-[-ɨltɨr] +##### -ɨltɨr 
-køk ‘파란’ -> køg-yltyr ​‘약간 파란’+køk ‘파란’ -> køgyltyr ​‘약간 파란’
  
-[-gɨlt]+##### -gɨlt
 kɨzɨl ‘빨간’ -> kɨzgɨlt ‘약간 빨간’, sarɨ ‘노란’ -> sargɨlt ‘약간 노란’, sur ‘회색’ -> surgult ‘약간 회색의’ kɨzɨl ‘빨간’ -> kɨzgɨlt ‘약간 빨간’, sarɨ ‘노란’ -> sargɨlt ‘약간 노란’, sur ‘회색’ -> surgult ‘약간 회색의’
  
-[-gɨltɨm]+##### -gɨltɨm
 kɨzɨl ‘빨간’ -> kɨzgɨltɨm ‘약간 빨간’ kɨzɨl ‘빨간’ -> kɨzgɨltɨm ‘약간 빨간’
  
doc/kyrgyz/2_wordclass/24_adj/24_adj.152605098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12 00:03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