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kyrgyz: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kyrgyz:2_wordclass:27_num:27_num [2018/05/13 20:52]
Asel Talapova
doc:kyrgyz: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9 10:56] (현재)
안대섭
줄 2: 줄 2:
  
  
-#### 기수사+### 기수사 
 - 키르기즈어 기수사는 단순기수사(bir ‘하나’,​ eki ‘둘’, toguz ‘아홉’)과 합성수사(on ʤeti ‘열일곱’,​ ʤyz otuz beš ‘백삼십오’)로 나뉜다. ​ - 키르기즈어 기수사는 단순기수사(bir ‘하나’,​ eki ‘둘’, toguz ‘아홉’)과 합성수사(on ʤeti ‘열일곱’,​ ʤyz otuz beš ‘백삼십오’)로 나뉜다. ​
  
줄 17: 줄 18:
  
    
--기수사가 한정하는 명사구는 항상 단수 형태를 취한다. ​+- 기수사가 한정하는 명사구는 항상 단수 형태를 취한다.  
 +- 기수사는 한정하는 명사구의 격에 따라 굴절되지 않는다. 
  
--기수사는 한정하는 명사구의 격에 따라 굴절되지 않는다.  +{{{eg>​kirg1245 ​(talapova2018:​000)
- +
-{{{eg>​kirg1245+
 Biz-din klass-ta otuz yč oku:ču oku-j-t. Biz-din klass-ta otuz yč oku:ču oku-j-t.
 we-GEN class-LOC thirty three pupil-SG study-PRES.3SG we-GEN class-LOC thirty three pupil-SG study-PRES.3SG
줄 27: 줄 27: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otuz yč oku:ču-ga belek ber-il-di. otuz yč oku:ču-ga belek ber-il-di.
 thirty three pupil-DAT present give-PASS-PST.3SG thirty three pupil-DAT present give-PASS-PST.3SG
줄 35: 줄 35:
 - 합성수사는 격곡용시 마지막 요소만 변화된다. ​ - 합성수사는 격곡용시 마지막 요소만 변화된다.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Miŋ ʤyz ʤɨjɨrma beš-ke bøl-yn-øt. Miŋ ʤyz ʤɨjɨrma beš-ke bøl-yn-øt.
 thousand hundred twenty five-DAT devide-PASS-PRES-1SG thousand hundred twenty five-DAT devide-PASS-PRES-1SG
줄 41: 줄 41:
 }}} }}}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beš-ti eki ʤyz on segiz-ge købøjt-kylø. beš-ti eki ʤyz on segiz-ge købøjt-kylø.
 five-ACC two hundred ten eight-DAT multipy-IMP five-ACC two hundred ten eight-DAT multipy-IMP
줄 47: 줄 47:
 }}} }}}
  
-#### 서수사+### 서수사
  
 - 기수에 접사 –nčɨ(-nči,​ -nču, -nčy)를 붙여서 만든다.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모음이 삽입되어서 –ɨnčɨ(-inči,​ -unču, -ynčy)를 결합한다. ​ - 기수에 접사 –nčɨ(-nči,​ -nču, -nčy)를 붙여서 만든다.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모음이 삽입되어서 –ɨnčɨ(-inči,​ -unču, -ynčy)를 결합한다. ​
 - 서수사는 명사구를 수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합성수사인 경우 –nčɨ는 마지막 요소에 결합된다. 1911 bir miŋ toguz ʤyz on bir-[inči] ‘1911번째’ - 서수사는 명사구를 수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합성수사인 경우 –nčɨ는 마지막 요소에 결합된다. 1911 bir miŋ toguz ʤyz on bir-[inči] ‘1911번째’
  
-{{{eg>​kirg1245+{{{eg>​kirg1245 ​(talapova2018:​000)
 Bul istitut bir miŋ toguz ʤyz ely: eki-nči ʤɨl-ɨ ač-ɨl-gan. Bul istitut bir miŋ toguz ʤyz ely: eki-nči ʤɨl-ɨ ač-ɨl-gan.
 this institute one thousand nine hundred fifty two-NUM year-REFL open-PASS-PST this institute one thousand nine hundred fifty two-NUM year-REFL open-PASS-PST
줄 59: 줄 59:
  
  
-#### 집합수사+### 집합수사 
 + 
 +- 집합수사는 -ø:, -o: 접사를 붙여서 만든다.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이 모음이 탈락되고 집합수사 접사가 결합된다. yč ‘셋’ -> yčø: ‘셋이서’,​ altɨ ‘여섯’ -> alto: ‘여섯의 집합’.  
 +- 집합수사 접사는 1에서 7까지의 기수사에만 결합이 가능하다.  
 +-  bir(‘하나’)에서 파생된 birø:는 비한정 대명사의 의미를 나타낸다. birø:, kimdir birø: ‘누군가’,​ ‘한 명’ 등.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lar beš-ø: bol-up teatr-ga bar-ɨš-tɨ. 
 +they five-NUM become-CONV theatre-DAT go-MUT-PST-3PL  
 +‘그들 다섯 명 해서 극장에 (같이) 갔다.’ 
 +}}} 
 + 
 + 
 +### 어림수사 
 + 
 +- 어림수사는 -ča(-če, -čo, -čø), -daj/​taj(-dej/​tej,​ -doj/toj, -døj/tøj) 접사를 결합한다.  
 +- 또한 기수사 반복해서 사용하여 나타낸다. on-on beš ‘열에서 열다섯’,​ yč ʤyz-tørt ʤyz ‘삼-사백(가까이)’. 
 +- 접사 –lap, -lagan 분배의 의미를 나타낸다. ondop ‘열씩’,​ ʤyzdøp ‘백씩’,​ miŋdep ‘천씩’. 
 + 
 + 
 +{{{eg>​kirg1245 (talapova2018:​000) 
 +yj-go yč tørt-tøj adam-dar kir-ip kel-iš-ti. 
 +home-DAT three four-NUM man-PL enter-CONV come-MUT-PST.3PL 
 +‘집에 서너 명 정도 사람이 들어왔다.’ 
 +}}} 
  
  
doc/kyrgyz/2_wordclass/27_num/27_num.15262123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13 20:52 저자 Asel Talap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