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lahu: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lahu:2_wordclass:27_num:27_num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doc:lahu:2_wordclass:27_num:27_num [2018/08/17 14:04] (현재)
김나연
줄 1: 줄 1:
 #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수의 명칭과 수 계산 체계는 현대 중국어와 같으며 당연히 라후어의 특색도 가지고 있다.+수의 명칭과 수 계산 체계는 현대 중국어와 같으며 당연히 라후어의 특색도 가지고 있다.
  
-###​기수사+##### 기수사
  
-{{{eg>​lahu1253 (changhongen1986:​29) +[te53] 1
-[te53] 1 +
-[ni53] 2 +
-[sE53] 3 +
-[ɔ53] 4 +
-}}}+
  
-###​서수사+- [ni53] 2
  
-라후어의 서수 표기법은,​ 제 1, 제 2 와 같은 표기 외에 기수에 양사 ​[ma31]을 붙여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E533
  
-{{{eg>​lahu1253 (changhongen1986:​29) +[ɔ53] ​4
-[ɣɔ53 lɔ35 te31 ɣa53 ] 1등 +
-[ni53 ma31 te53 ma31셋째 +
-}}}+
  
-###​분수사 
  
-- 분자와 분모 모두 ​로 표시한다.+##### 서수사
  
-{{{eg>​lahu1253 (changhongen1986:​33) +라후어의 서수 표기법은,​ 제 1, 제 2 와 같은 표기 외에 기수에 양사 ​[ma31]을 붙여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ni53pv33te53pv33] 2분의1 +
-[Na53pv33ni53pv535분의2 +
-}}}+
  
-###​배수사+- [ɣɔ53 lɔ35 te31 ɣa53 ] 1등
  
-기수에 ​[pui35]나 [p_hɤ31]를 붙이면 배수를 표시할 수 있다.+- [ni53 ma31 te53 ma31셋째
  
-{{{eg>​lahu1253 (changhongen1986:​33) + 
-[sE54pui35] 3배 +##### 분수사 
-[Na53p_hɤ31] 5배 + 
-}}}+분자와 분모 모두 수량사로 표시한다. 
 + 
 +- [ni53pv33te53pv33] 2분의1 
 + 
 +- [Na53pv33ni53pv53] 5분의2 
 + 
 + 
 +##### 배수사 
 + 
 +기수에 [pui35]나 [p_hɤ31]를 붙이면 배수를 표시할 수 있다. 
 + 
 +[sE54pui35] 3배 
 + 
 +[Na53p_hɤ31] 5배
  
doc/lahu/2_wordclass/27_num/27_num.152988461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