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 [2019/06/08 11:58]
최문정 [내재범주]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0:27] (현재)
유현조
줄 4: 줄 4:
  
 - 4개의 명사류 내재범주가 있다. - 4개의 명사류 내재범주가 있다.
-내재범주I사람 남성의 명칭, 전설적 존재+ 
 +###### ​내재범주I 
 + 
 +사람 남성의 명칭, 전설적 존재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줄 14: 줄 17:
 }}} }}}
  
-내재범주II사람 여성의 명칭+###### ​내재범주II 
 + 
 +사람 여성의 명칭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줄 24: 줄 29:
  
 - 내재범주III,​ IV: 그 외 명사들. 둘을 나누는 기준은 분명하지 않다. - 내재범주III,​ IV: 그 외 명사들. 둘을 나누는 기준은 분명하지 않다.
-내재범주III살아있는,​ 이성이 없는 존재, 사물, 물건. (여성을 가리키는 단어 중에 이 내재범주에 속하는 것도 있다.)+ 
 +###### ​내재범주III 
 + 
 +살아있는,​ 이성이 없는 존재, 사물, 물건. (여성을 가리키는 단어 중에 이 내재범주에 속하는 것도 있다.)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줄 37: 줄 45:
 }}} }}}
  
-내재범주IV추상적개념,​ 무정명사+###### ​내재범주IV 
 + 
 +추상적개념,​ 무정명사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줄 47: 줄 57:
 }}} }}}
  
 +- 내재범주I,​ II, III의 복수는 한 가지로 통일된다.
 +
 +##### 명사 내재범주의 소유
 +
 +- 내재범주 표지로 표현된다. 표지는 명사 자체가 아니라 그와 연관된 단어, 즉 동사, 형용사, 수사, 부사에 나타난다.
 +- в, б, д, р, й, Ø
 +- 내재범주 표지를 통해 문장성분의 일치, атрибутивная синтагма의 일치를 나타낸다.
 +
 +###### 내재범주 표지
 +
 +| | 단수 | 복수 |
 +| I | в, й, Ø | б (в, м) |
 +| II | д (р, н, л) | б (в, м) |
 +| III | б (в, м) | б (в, м) |
 +| IV | д (р, н, л) | д (р, н, л) |
 +
 +{{{eg>​lakk1252 (abdulayev2003:​209)
 +усс Ø-увкIунни
 +brother(G1) G1-come.PST
 +형(남동생)이 왔다
 +}}}
 +
 +{{{eg>​lakk1252 (abdulayev2003:​209)
 +нину д—уркIунни
 +mother(G2) G2-come.PST
 +어머니가 왔다
 +}}}
 +
 +{{{eg>​lakk1252 (abdulayev2003:​209)
 +бярч б-увкIунни
 +calf(G3) G3-come.PST
 +송아지가 왔다
 +}}}
 +
 +{{{eg>​lakk1252 (abdulayev2003:​209)
 +уссу-рвал б-увкIунни
 +brothers-PL(G1) G1.PL.come.PST
 +남자형제들이 왔다
 +}}}
 +
 +{{{eg>​lakk1252 (abdulayev2003:​209)
 +ни-ттихъул б-увкIунни
 +mothers-PL(G2) G2.PL.come.PST
 +어머니들이 왔다
 +}}}
 +
 +{{{eg>​lakk1252 (abdulayev2003:​209)
 +бярч-ру б-увкIунни
 +calves-PL(G3) G3.PL.come.PST
 +송아지들이 왔다
 +}}}
 +
 +
 +{{{eg>​lakk1252 (khaydakov1999:​92)
 +душ б-агъунни
 +girl(G3) G3-fell.PST
 +소녀가 넘어졌다
 +}}}
 +
 +{{{eg>​lakk1252 (khaydakov1999:​92)
 +чIи-в-сса арс
 +small-G1-UNK son(G1)
 +어린 아들
 +}}}
 +
 +{{{eg>​lakk1252 (khaydakov1999:​92)
 +чIи-р-исса къари
 +small-G2-UNK old.woman(G2)
 +작은 노파
 +}}}
 +
 +
 +###### 동사에 나타난 내재범주 표지
 +
 +{{{eg>​lakk1252 (khaydakov1999:​92)
 +Ø-увкIра
 +G1-come.PST
 +왔다(남성)
 +}}}
 +
 +{{{eg>​lakk1252 (khaydakov1999:​92)
 +д-увкIра
 +G2-come.PST
 +왔다(여성)
 +}}}
 +
 +###### 타동사-직접보어와 내재범주 일치
 +
 +{{{eg>​lakk1252 (khaydakov1999:​92)
 +арснал лу б-увккун-ни
 +son book.ACC(G4) G4-read.PST.
 +아들은 책을 다 읽었다
 +}}}
 +
 +###### 자동사-주어와 내재범주 일치
 +
 +{{{eg>​lakk1252 (khaydakov1999:​92)
 +душ б-ивзунни
 +daughter(G3) G3-stand.up.PST
 +딸은 일어섰다
 +}}}
 +
 +
 +###### 형용사에 나타난 내재범주 표지
 +
 +- 이하, 어휘용례가 아니라 글로스 달 것
 +
 +{{{lex>​lakk1252 (khaydakov1999:​92)
 +
 +- чIи-в-исса : 작은(남성명사 앞) & чIи-р-исса : 작은(여성명사 앞)
 +
 +}}}
 +
 +###### 수사에 나타난 내재범주 표지
 +
 +{{{lex>​lakk1252 (khaydakov1999:​92)
 +
 +- кIи-й-а : 둘(남성명사 앞) & кIи-р-а : 둘(여성명사 앞)
 +
 +}}}
 +
 +###### 부사에 나타난 내재범주 표지
 +
 +{{{lex>​lakk1252 (khaydakov1999:​92)
 +
 +- ша-в-а : 집에 & ша-рд-а : 집에 & ша-пп-а 집에 (<​ша-б-б-а) ​
 +
 +}}}
 +
 +### 명사의 수
 +
 +###### 복수 ​
 +
 +- 형태적으로 표현된다.
 +- 복수 접미사(약 40개): -ру, -ду,- лу, -тал, -рду, -хъул, -в, -т
 +
 +{{{lex>​lakk1252 (abdulayev2003:​209)
 +
 +- бяр-ду : 호수
 +- бакI—ру : 머리
 +- инсан-тал : 사람
 +- цIа-рду : 이름
 +- Муса-хъул : 무사예프
 +- ккаччи-в : 개
 +
 +}}}
 +
 +- 복수 접미사의 쓰임은 정해진 규칙에 항상 따르는 것은 아니다. 아래 두 경우는 예외이다.
 +- -тал: 내재범주I의 명사의 복수를 만든다.
 +- -хъул: 대개 고유명사의 대표복수를 만든다.
 +
 +### 명사의 곡용
 +
 +- 명사의 격어미는 단수와 복수가 같다.
 +- 직격, 사격(제2)어간에 붙는다. 즉, 두 개의 어간에 따라 곡용한다.
 +- 제2어간은 직격어간과 격어미 사이에 삽입하는 특별한 접사를 통해서 만든다.
 +
 +
 +{{{lex>​lakk1252 (abdulayev2003:​210)
 +
 +- мурхь : 나무 & мурхь-ира-л : 나무(GEN)
 +
 +}}}
 +
 +### 명사의 격
 +
 +- 주요격과 처격이 있다.
 +- 주요격: 주격(무표),​ 속격 또는 속-능격(-л),​ 여격(-н)
 +- 처격: 형태와 의미별로 공간내의 위치에 따라 7개의 계열로 나뉜다.
 +
 +###### 명사의 처격 7계열
 +
 +- -ву(안), -й(위), -лу(아래),​ -х(뒤), -чIа(나란히),​ -цI(가까이),​ -хь(при)
 +- 각각의 계열에 동작을 보여주는 격들이 포함된다. 향격(-н),​ 탈격(-а-ат),​ 통과격??​сквозной(-х)
 +
 +###### 명사 чIира(벽),​ мурхь(나무)의 곡용 패러다임
  
 +^ 격 ^ 단수 ^ 복수 ^
 +| 주격 | чIира | мурхь |
 +| 속격 | чIира-л | мурхь-ира-л |
 +| 여격 | чIира-н | мурхь-ира-н |
 +|   | -ву(안) 계열 | -й(위) 계열 |
 +| 처격 | чIира-ву | чIира-й |
 +| 향격 | чIира-ву-н | чIира-й-н |
 +| 탈격 | чIира-в-а(ту) | чIира-й-а(ту) |
 +| 통과격 | чIира-ву-х | чIира-й-х |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155996269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08 11:58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