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 [2020/11/26 12:13]
최문정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0:27] (현재)
유현조
줄 78: 줄 78:
 형(남동생)이 왔다 형(남동생)이 왔다
 }}} }}}
- 
-<​note>​ #disqus @pjh 내재범주 글로스 약호 박진호 답변: 내재범주는 gloss에서 괄호 안에 제시하기로 했습니다. 전형적인 예: John comes. John(3SG) come-3SG. Maria est belle. Maria(FEM) be.3SG beautiful(FEM). 즉 일치가 일어날 때, 일치 유발자의 형태통사 자질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일치 담지자에 왜 그런 일치가 일어났는지 독자들이 보고 의아하게 생각할 것 같을 때, 일치 유발자의 내재 자질값을 괄호 안에 써 줌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는 것입니다. 이 언어의 경우 gender가 4개 있으므로,​ 주어 gloss 뒤에 괄호 속에 G1, G2, G3, G4와 같이 써 주면 될 것 같습니다. 욕심을 더 내자면 주어와 일치를 보이는 동사에 대해서도 이것이 G1 일치형이다,​ G2 일치형이다 하는 정보를 달아 주면 더 좋을 것입니다.</​note>​ 
  
 {{{eg>​lakk1252 (abdulayev2003:​209) {{{eg>​lakk1252 (abdulayev2003:​209)
줄 187: 줄 185:
  
 }}} }}}
- 
-<​note>​ #disqus@yhj 세 개를 &로 연결해도 되나요? 
-</​note>​ 
  
 ### 명사의 수 ### 명사의 수
doc/lak/2_wordclass/22_noun/22_noun.160636041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6 12:13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