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lakkja:2_wordclass:28_clf:28_clf [2017/05/11 21:23] 127.0.0.1 바깥 편집 |
doc:lakkja:2_wordclass:28_clf:28_clf [2021/08/24 10:51] (현재) 김나연 |
||
|---|---|---|---|
| 줄 1: | 줄 1: | ||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
| + | |||
| + | ##(1) 명량사 | ||
| + | |||
| + | - 명량사가 수사와 결합한 후 동사를 수식할 수 있음. | ||
| + | |||
| + | {{{eg>lakk1238 (sunhongkai2007:1316) | ||
| + | tsep⁸ tu⁴ ma⁴. | ||
| + | ten CL horse | ||
| + | 열 마리의 말 | ||
| + | }}} | ||
| + | |||
| + | ##(2) 동량사 | ||
| + | |||
| + | - 동량사는 수사와 결합한 후 동사를 수식하거나 부충할 수 있음. | ||
| + | |||
| + | {{{eg>lakk1238 (sunhongkai2007:1316) | ||
| + | jaːp⁷ in³ jaːp⁷ | ||
| + | 걷다 한 걸음 | ||
| + | 한 걸음을 걷는다. | ||
| + | }}} | ||
| + | |||
| + | ##(3) 양사의 중첩 | ||
| + | |||
| + | - 양사가 충첩한 후 ‘매’의 의미를 나타냄. | ||
| + | |||
| + | 예: lak⁷ ‘조각’ → lak⁷lak⁷ ‘매 조각’ | ||
| + | |||
| + | ##(4) 양사의 다른 기능 | ||
| + | |||
| + | - 양사는 형용사나 동사 앞에 붙어 해당 행동이나 성질과 관련된 사물을 가리킴. | ||
| + | |||
| + | - 인칭대명사 뒤에 붙어 소유 관계를 나타냄. | ||
| + | |||
| + | {{{eg>lakk1238 (sunhongkai2007:1316) | ||
| + | kan¹ kʰiaːŋ¹ | ||
| + | CL tall | ||
| + | 높은 것(나무) | ||
| + | }}} | ||
| + | |||
| + | {{{eg>lakk1238 (sunhongkai2007:1316) | ||
| + | lak⁷ tsen¹ | ||
| + | CL eat | ||
| + | 먹는 것 (물건) | ||
| + | }}} | ||
| + | |||
| + | {{{eg>lakk1238 (sunhongkai2007:1317) | ||
| + | tsi¹ pon³ | ||
| + | 1SG CL | ||
| + | 나의 (책)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