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langsu: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langsu: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0 15:43]
박은석
doc:langsu: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0 15:49] (현재)
박은석 [동사의 중첩]
줄 6: 줄 6:
 랑수어의 동사는 대부분 단음절이고,​ 이음절은 비교적 적다. 289개 상용 동사 중에서 단음절 동사는 264개이어서 91.3%를 차지한다. 동사의 단음절성이 문법 변화를 음성 면에서 표시하게끔 만든다. 랑쑤어의 동사 중 대부분은 음성적인 변화로 자동태와 사동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동사의 단음절성과 관련되는 것이다. ​ 랑수어의 동사는 대부분 단음절이고,​ 이음절은 비교적 적다. 289개 상용 동사 중에서 단음절 동사는 264개이어서 91.3%를 차지한다. 동사의 단음절성이 문법 변화를 음성 면에서 표시하게끔 만든다. 랑쑤어의 동사 중 대부분은 음성적인 변화로 자동태와 사동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동사의 단음절성과 관련되는 것이다. ​
  
-1) 이완모음 운모와 긴장모음 운모의 교체가 일어나는데,​ 이완모음은 자동태를 나타내고 긴장모음은 사동태를 나타낸다. ​+#### 1) 이완모음 운모와 긴장모음 운모의 교체 
 + 
 +이완모음 운모와 긴장모음 운모의 교체가 일어나는데,​ 이완모음은 자동태를 나타내고 긴장모음은 사동태를 나타낸다. ​
  
 {{{lex>​maru1249 (daiqingxia2007:​784) {{{lex>​maru1249 (daiqingxia2007:​784)
줄 15: 줄 17:
 }}} }}}
  
-2) 무기성모와 유기성모의 교체가 일어난다. 무기성모는 자동태를 나타내고 유기성모는 사동을 나타낸다.+#### 2) 무기성모와 유기성모의 교체 
 + 
 +무기성모와 유기성모의 교체가 일어난다. 무기성모는 자동태를 나타내고 유기성모는 사동을 나타낸다.
  
 {{{lex>​maru1249 (daiqingxia2007:​785) {{{lex>​maru1249 (daiqingxia2007:​785)
줄 24: 줄 28:
 }}} }}}
  
-3) 무성마찰음 성모와 유성마찰음 성모의 교체가 일어난다. 무성마찰음은 자동태를 나타내고 유성마찰음은 사동을 나타낸다. ​+#### 3) 무성마찰음 성모와 유성마찰음 성모의 교체 
 + 
 +무성마찰음 성모와 유성마찰음 성모의 교체가 일어난다. 무성마찰음은 자동태를 나타내고 유성마찰음은 사동을 나타낸다. ​
  
 {{{lex>​maru1249 (daiqingxia2007:​785) {{{lex>​maru1249 (daiqingxia2007:​785)
줄 48: 줄 54:
 }}} }}}
  
-4) 사동을 나타내는 조동사를 사용하는 사동 형식+#### 4) 사동을 나타내는 조동사를 사용
  
 자동태 앞에 사동 조동사 '​lɔʔ55 : 하게 하다'​ 를 써서 사동을 나타내는 방법도 있다. ​ 자동태 앞에 사동 조동사 '​lɔʔ55 : 하게 하다'​ 를 써서 사동을 나타내는 방법도 있다. ​
줄 58: 줄 64:
 }}} }}}
  
-5) 음성교체의 사동사를 사용하고도 또 사동조동사 '​lɔʔ55 : 하게 하다'​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동태를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5) 음성교체 + 사동조동사 사용 
 + 
 +음성교체의 사동사를 사용하고도 또 사동조동사 '​lɔʔ55 : 하게 하다'​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동태를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eg>​maru1249 (daiqingxia2007:​785) {{{eg>​maru1249 (daiqingxia2007:​785)
줄 85: 줄 93:
  
  
-2) 다른 하나는 접요사 mə̆ 를 부가하여 '​모든...것'​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동사를 명사화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낼 때 중한다. ​+2) 다른 하나는 접요사 mə̆ 를 부가하여 '​모든...것'​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동사를 명사화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낼 때 중한다. ​
 {{{eg>​maru1249 (daiqingxia2007:​785) {{{eg>​maru1249 (daiqingxia2007:​785)
 ʃauk55 ​ mə̆31 ​ ʃauk55 ​ ʃauk55 ​ mə̆31 ​ ʃauk55 ​
doc/langsu/2_wordclass/23_verb/23_verb.163030581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0 15:43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