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lingao:9_etc:91_borrowing [2018/05/13 22:31] 127.0.0.1 바깥 편집 |
doc:lingao:9_etc:91_borrowing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 |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 + | - 린가오어의 차용어는 주로 중국어에서 온 것이다. | ||
| + | - 차용된 시기로 봤을 때 옛날 차용어와 새로운 차용어로 나눌 수 있다. | ||
| + | ### 옛날 차용어 | ||
| + | |||
| + | - 옛날 차용어는 주로 한당(汉唐)시기부터 송나라까지 오랜 세월 동안 차용된 것들이다. | ||
| + | - 린청 린가오어, 청마이 린가오어, 츙산 린가오어 등의 성조 유형이 거의 일치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 ||
| + | - 린청 린가오어 중에 옛날 차용어의 성조 유형이 고유어와 같다. | ||
| + | |||
| + | {{{lex>ling1262 (liangmin1997:62) | ||
| + | |||
| + | - [ka213] : 집(제1조) | ||
| + | - [fiŋ55] : 평평하다(제2조) | ||
| + | - [tia33] : 쓰다(write, 제3조) | ||
| + | - [van44] : 만(ten thousand, 제4조) | ||
| + | - [ɔk33] : 악하다(제7조) | ||
| + | - [lap55] : 납, 초(제8조) | ||
| + | |||
| + | }}} | ||
| + | |||
| + | |||
| + | ### 새로운 차용어 | ||
| + | |||
| + | - 각 지역 린가오어의 새로운 차용어는 음운적으로 차이가 있다. | ||
| + | - 츙산, 청마이의 린가오어의 새로운 차용어는 보통 하이난방언에서 차용되고 린청 린가오어의 새로운 차용어는 현지의 독서음(读书音)에서 차용된다. | ||
| + | - 독어음은 서난관화와 비슷한 중국어 방언인 ‘군화(军话)’에 가깝다. | ||
| + | - 린청 린가오어 중에 새로운 차용어의 성조에는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 ||
| + | |||
| + | ^ 새로운 차용어의 성조 값 ^ 린청 린가오어의 성조 유형 ^ 예 ^ 하이난 군화의 성조 값^ | ||
| + | | 33 | 제3조 | [fuŋ33siu33] 풍작 | 33 | | ||
| + | | 213 | 제1조 | [jin213min213] 인민 | 31 | | ||
| + | | 44 | 제4조 | [kuan11li11] 관리 | 42 | | ||
| + | | 55 | 제2조 | [jun55duŋ55] 운동 | 55 | | ||
| + | | 55 | 제8조 | [tsik55kik55] 적극적이다 | 21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