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lisu: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lisu: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6/06/16 13:10]
127.0.0.1 바깥 편집
doc:lisu: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05_writing :  문자 (writing) ​ # 05_writing :  문자 (writing) ​
  
-대상 언어에 고유 ​문자가 있다면 설명. 참고문헌에 ​사용고 있는 전사법도 설명. ​헌이나 학다 전사법이 다르다면 대응표 형태로 제시. 가능하다면 IPA 대응 정보도 제시.+지금은 ​문자를 사용고 있지 않지만 리수족은 지역별 시기별로 4가지 ​문자를 해용해 왔었다. 
  
-러시아지역의 언어의 경우에는 각 언어마다 ​문자/전법 응표를 만들 필요 있음.+###(1) 라틴 대문자를 용한 병음문자 
 +1912년 –1914년 사이에 전도 목적으로 먄마 塞耶巴多가 라틴 ​문자를 거꾸로 또는 그대로 배열 조합하여 ​든 문자로 기독교 신자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2) "​格框式"​문자
 +1913년 영국 전도사 王慧仁이 운남성 무정(武定)현의 방언을 토대로 만든 문자이다. 이 문자는 종교적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3) 표음문자
 +20세기 초기 위서현(维西县) 농부 汪仁波가 만든 음성문자이다. 총 천개가 넘는 글자가 있는데, 상형문자도 있고, 의미가 비슷한 단어는 문형도 비슷한 모양으로 나타내는 문자도 있지만 일정한 체계에 따라 만든 문자로는 보이지 않는다. 叶枝, 康普 등 네 지역 16,​000여명의 리수족이 사용했던 문자이다.
 +
 +###(4) 병음문자
 +1954-1957년 사이에 중국 정부에서 알파벳을 중심으로 하되 리수어의 음성특성을 반영하여 음성문자를 만들었다. 리수어 특유의 탁음(浊音)인 浊塞音, 浊擦音은 알파벳을 중복하여 표현하였다. bb/b/, dd/d/, jj/dz/, ss/z/ 등이 그러하다. 55조는 l, 35조는 q, 33조는 x, 42조는 r, 31조는 t로 표시하고 44조는 성조를 따로 표시하지 않았다. 이 문자 체계로 많은 사전, 교과서 등 출판물이 출간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doc/lisu/0_general/05_writing/05_writing.146605020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8/19 11:04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