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anchu:1_phonology:11_cons:11_con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manchu: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5/15 16:48]
김혜
doc:manchu: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23 22:50] (현재)
김혜
줄 1: 줄 1: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만주어 구어에서 총 26개의 자음이 있다. ​+#### 자음 
 + 
 +- 만주어 구어에서 총 21개의 자음이 있다. ​ 
 + 
 +|bilabial |nasal |[m] | 
 +|bilabial |plosive |[p b]| 
 +|labio-dental |fricative |[f v]| 
 +|coronal |nasal |[n]| 
 +|coronal |plosive |[t d]| 
 +|avelolar |affricative |[ts dz]| 
 +|alveolar |fricative |[s]| 
 +|coroal |trill |[r]| 
 +|coronal |lateral.approximant |[l]| 
 +|retroflex |affricative |[tʂ,​ dʐ]| 
 +|retroflex |fricative |[ʂ]| 
 +|retroflex |sibilant.fricative |[ʐ]| 
 +|velar |nasal |[ŋ]| 
 +|velar |plosive |[k g]| 
 +|velar |non-sibilant.fricative |[x]| 
 + 
 +#### 자음의 특징 
 - \[ɢ\], \[q\], \[χ\]는 ɡ, k, x의 변이음이며 양성 모음과 같이 나타난다. ​ - \[ɢ\], \[q\], \[χ\]는 ɡ, k, x의 변이음이며 양성 모음과 같이 나타난다. ​
 - 음절말의 b 앞에 단모음이 나타나는 경우에 b를 v로 읽는 경우가 있다. ​ - 음절말의 b 앞에 단모음이 나타나는 경우에 b를 v로 읽는 경우가 있다. ​
-- r이 l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 r이 l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r이 고유어의 어두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다. ​ - r이 고유어의 어두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다. ​
 - ŋ이 어두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다. ​ - ŋ이 어두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다. ​
-- 만주어 구어의 고유어 어휘에서 i 앞에 나타나는 dʐ, tʂ, ʂ를 ʥ, ʨ, ɕ로 읽는다. ​+- 만주어 구어의 고유어 어휘에서 i 앞에 나타나는 dʐ, tʂ, ʂ를 \[ʥ\]\[ʨ\]\[ɕ\]로 읽는다.  
 +- 어말 -n 탈락 현상이 발생한다. 
  
 +##### 구개음화
  
-^ ^ ^ ^ ^ ^ ^ ^ +어두와 어말 음절에 있는 ​bpmnlr, ɡ, k, x 등 자음이 뒤에 있는 전설 고모음 i의 영향을 받아 으로 bj, pj, mj, nj, lj, rj, ɡj, kj, xj로 읽는다.
-| |bilabial |labiodental |alveolar |retroflex |alveolo-palatal |velar(uvular) | +
-|unaspirated plosive || |d | | |ɡ\[ɢ\] | +
-|aspirated plosive || |t | | |k\[q\] | +
-|unaspirated affricate | | |dz |dʐ |ʥ | | +
-|aspirated affricate | | |ts |tʂ |ʨ | | +
-|unvoiced fricative | |f |s |ʂ |ɕ |x\[χ\] | +
-|voiced fricative | |v | |ʐ | | | +
-|nasal || || | |ŋ | +
-|lateral | | || | | | +
-|trill | | || | | | +
-|approximant |w | | | || |+
  
-#### 구개음화 +##### 순음화
- +
-- 어두와 어말 음절에 있는 b, p, m, n, l, r, ɡ, k, x 등 자음이 뒤에 있는 전설 고모음 i의 영향을 받아 으로 bj, pj, mj, nj, lj, rj, ɡj, kj, xj로 읽는다. ​  +
- +
-#### 순음화+
  
 - 어말에 있는 b, p, t, l, r, dʐ, ɡ, k, x, 자음 뒤에 원순 모음 u가 있으면, bw, pw, tw, lw, rw, dʐw, ɡw, kw, xw로 읽는다. - 어말에 있는 b, p, t, l, r, dʐ, ɡ, k, x, 자음 뒤에 원순 모음 u가 있으면, bw, pw, tw, lw, rw, dʐw, ɡw, kw, xw로 읽는다.
  
-#### 성문음+##### 성문음
  
 - 일부 어휘에서 성문음이 나타난다. - 일부 어휘에서 성문음이 나타난다.
  
-{{{manc1252 +{{{lex>manc1252 ​(wangqingfeng2009:​558) 
-- bəˀdən 지렁이  + 
-- muˀkə 물 +[bəˀdən]: 지렁이  
-- xoˀdoŋ 도시+[muˀkə]: 물 
 +[xoˀdoŋ]: 도시 
 }}} }}}
doc/manchu/1_phonology/11_cons/11_cons.152637049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15 16:48 저자 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