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miao:1_phonology:11_cons:11_cons [2017/01/21 19:44] 박은석 |
doc:miao: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22 15:45]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0% :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자음특징 | #### 자음특징 | ||
| 줄 39: | 줄 39: | ||
| #### 자음 설명 | #### 자음 설명 | ||
| - | 1. 연구개성모와 소설성모에 원순화가 일어난다. | + | 1.연구개성모와 소설성모에 원순화가 일어난다. |
|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줄 63: | 줄 63: | ||
| - | 4. ʈ,ʈh, ɖ의 실제 독음은 파찰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 4.ʈ,ʈh, ɖ의 실제 독음은 파찰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 | 5. 성모 m̥은 m̥aŋ³⁵ “夜” 한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 + | 5.성모 m̥은 m̥aŋ³⁵ “夜” 한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
| - | 6. 성모 d는 각 단어에서 무성음화시킬 수 있다. | + | 6.성모 d는 각 단어에서 무성음화시킬 수 있다. |
| | | ||
| 예) ‘件’은 [dE53]으로 읽는데 이것을 [d_0E53]으로 무성음화하여 읽을 수 있다. | 예) ‘件’은 [dE53]으로 읽는데 이것을 [d_0E53]으로 무성음화하여 읽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