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6/18 14:53]
박은석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2 15:49] (현재)
박성하
줄 1: 줄 1:
-# 22_noun :  명사 (noun) ​: 100% : +# 22_noun :  명사 (noun) ​
  
 #### 명사 특징 개괄 ​ #### 명사 특징 개괄 ​
줄 56: 줄 56:
 3)둥근 형태의 신체부위 혹은 신체 관련 명칭 3)둥근 형태의 신체부위 혹은 신체 관련 명칭
  
 +(4) 접두사 a⁵³, te⁵³ 명사류
  
 +대부분은 사람의 칭호를 표시한다. 키다먀오어의 친족명칭은 we⁴⁴ '​나'​를 중심으로,​ 위아래 순서에 따라 구성된다. '​나'​보다 높은 친족명칭은 접두사 a⁵³을 붙이고, 낮은 친족명칭은 te⁵³을 붙인다. ​ te⁵³의 본래 뜻은 “자녀” 인데, 호칭명사 앞에서 이미 문법화 되었다.
  
 +(5) 접두사 pa⁴⁴ 명사류
  
 +수컷, 날카로운 형태의 물체, 단단한 물체, 뿌리 부분을 표시
  
 +(6) 접두사 ʨi⁵³ 명사류
  
 +마을 이름 표시
  
 +2. 접두사가 없는 명사
 +
 +키다먀오어에는 접두사가 없는 명사도 있다. 대부분의 시간명사,​ 몇몇 무생물 명사, 중국어의 새로운 차용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
 +#### 명사의 성
 +
 +키다먀오어의 명사 자체는 성 표시 범주의 형태변화는 없다. 주로 실질 형태소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동물, 식물의 성 표시는 주로 ne²¹ '​암컷의'​ pa⁴⁴ '​수컷의'​을 추가한다. 그러나 성을 표시하는 형태소들의 문법화 정도가 다르므로,​ 그 사용 역시 대칭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ba²² '​여자'​ 는 여성을 표시하지만,​ 남성을 표시할때는 ɳəŋ³⁵ '​남자'​를 사용하지 않고 pa⁴⁴ '​아버지,​ 수컷의'​를 사용한다. ​
 +
 +
 +#### 명사의 수
 +키다먀오어의 명사 자체에는 수의 형태변화가 없다. 수량을 나타내려면 "​수사+양사+명사"​ 구조를 사용하여 표시한다.(수사,​ 양사 부분 참고)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149776521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18 14:53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