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6/18 15:14]
박은석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2 15:49] (현재)
박성하
줄 1: 줄 1:
-# 22_noun :  명사 (noun) ​: 100% : +# 22_noun :  명사 (noun) ​
  
 #### 명사 특징 개괄 ​ #### 명사 특징 개괄 ​
줄 73: 줄 73:
  
  
-####명사의 성 +#### 명사의 성 
-  ​왜체 묘어의 명사 자체는 성 표시 범주의 형태변화는 없다. 주로 실질 형태소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동물, 식물의 성 표시는 주로 ne²¹ '​암컷의'​ pa⁴⁴ '​수컷의'​을 추가한다. 그러나 성을 표시하는 형태소들의 문법화 정도가 다르므로,​ 그 사용 역시 대칭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ba²² '​여자'​ 는 여성을 표시하지만,​ 남성을 표시할때는 ɳəŋ³⁵ '​남자'​를 사용하지 않고 pa⁴⁴ '​아버지,​ 수컷의'​를 사용한다. ​+ 
 +키다먀오어의 명사 자체는 성 표시 범주의 형태변화는 없다. 주로 실질 형태소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동물, 식물의 성 표시는 주로 ne²¹ '​암컷의'​ pa⁴⁴ '​수컷의'​을 추가한다. 그러나 성을 표시하는 형태소들의 문법화 정도가 다르므로,​ 그 사용 역시 대칭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ba²² '​여자'​ 는 여성을 표시하지만,​ 남성을 표시할때는 ɳəŋ³⁵ '​남자'​를 사용하지 않고 pa⁴⁴ '​아버지,​ 수컷의'​를 사용한다. ​ 
 + 
 + 
 +#### 명사의 수 
 +키다먀오어의 명사 자체에는 수의 형태변화가 없다. 수량을 나타내려면 "​수사+양사+명사"​ 구조를 사용하여 표시한다.(수사,​ 양사 부분 참고)
doc/miao/2_wordclass/22_noun/22_noun.149776648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18 15:14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