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miao:2_wordclass:34_conj:34_conj [2016/12/10 17:30] 127.0.0.1 바깥 편집 |
doc:miao:2_wordclass:34_conj:34_conj [2021/08/22 15:53]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 # 34_conj : 접속사 (conjuction) : 0% : | + | # 34_conj : 접속사 (conjunction) |
| + | |||
| + | #### 키다먀오어 접속사의 특성 | ||
| + | |||
| + | (1) 접속사가 많지 않고 사용빈도도 높지 않다. | ||
| + | |||
| + | (2) 구조가 다양하다. | ||
| + | |||
| + | #### 키다먀오어 접속사의 문법 특성 | ||
| + | |||
| + | 비독립적이다. 접속사는 실제 어휘 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문법 의미와 문법 관계만을 나타낸다. 따라서 문장 성분을 담당하지 못하고 단독으로 문제에 대한 대답을 구성하지 못한다. 그리고 동류의 접속사간 중첩사용이 불가하다. | ||
| + | |||
| + | #### 키다먀오어 접속사의 문법 관계 분류 | ||
| + | |||
| + | (1) 병렬관계 접속사 | ||
| + | |||
| + | 1) phei44~phei44, dɯ31~dɯ31 (-면서 –하다) : 두 동사나 동목구 연결, 두 동작이 동시에 진행됨을 표현한다. | ||
| + | |||
| + | |||
| + | 2) ɳəŋ22, tɕi44/22ko44/ko44 (-와) : 명사, 대명사, 구를 연결한다. | ||
| + | |||
| + | (2) 선택관계 접속사 | ||
| + | |||
| + | pei35ᶇi22(아니면), dzəŋʐɛ21~la31(간절히 바랄지라도 그래도) : 선택과 양보를 모두 표현한다. | ||
| + | |||
| + | (3) 점진관계 접속사 | ||
| + | |||
| + | ~tɕu53phu22~tsɛ21kəŋ44~tshu53(~은 말할 것 없고고 오히려 또), ~tsɛ21kəŋ44~tshu53(~,오히려 또), tsɛ21kəŋ44(오히려) 등이 있다. | ||
| + | |||
| + | (4) 가설관계 접속사 | ||
| + | |||
| + | ta31ᶇi22~tsɿ(만약~이면 곧), ta31ᶇi21(만약), naŋ44tu35~tsɿ21(~한다면 곧) | ||
| + | |||
| + | (5) 인과관계 접속사 | ||
| + | |||
| + | qa31, qa31(ᶇi22)lje22, tsɿ(ᶇi22)lje22 등이 있다. | ||
| + | |||
| + | qa31는 두 번째 절 문두에 분포한다. 첫 번째 절이 사건을 유발한 원인이고 두 번째 절이 결과를 표현한다. qa31은 인과의미와 판단의미를 나타내서 인과관계 뿐 아니라 결과가 출현한 필연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중국어에는 여기에 딱 대응하는 단어가 없어서 문장마다 다르게 번역된다. | ||
| + | |||
| + | (6) 조건관계 접속사 | ||
| + | |||
| + | tɕu53kwɛ44~sa35(어떻든 간에~ 모두), tɕu53kwɛ44~la31(어떻든간에~ 모두), tɕu53kwɛ44~tsəŋ35(어떻든간에~ 모두), tsɿ21lje22~tsɿ(~하기만하면 바로~) 등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