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miao:4_ss:51_neg:51_neg [2016/12/10 17:30] 127.0.0.1 바깥 편집 |
doc:miao:4_ss:51_neg:51_neg [2021/08/22 16:00]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0% :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 + | - 먀오어는 대칭부정으로, 부정소를 서술어 성분의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
| + | |||
| + | ### (1) 부정소 | ||
| + | |||
| + | #### 1) [ts\u53] | ||
| + | 가장 빈도가 높은 부정부사이며 형용사, 동사, 술목구, 동보구의 앞에서 위치한다. 단독사용이 불가능하다. | ||
| + | |||
| + | {{{eg>west2430 (yujinzhi2011:154) | ||
| + | [te53te53 ts\u53 p@35] | ||
| + | children NEG sleep | ||
| + | 아이가 잠을 안 잔다. | ||
| + | }}} | ||
| + | |||
| + | #### 2) [s\aN44] | ||
| + | 발화시점을 기준으로 동작, 상태변화가 완성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시간의 일차원적 시각으로 볼 때 해당 현실의 진실가치가 부정된다. | ||
| + | |||
| + | {{{eg>west2430 (yujinzhi2011:155) | ||
| + | [ts\u35n@N44 s\aN44 ta31 be35] | ||
| + | year.this NEG down snow | ||
| + | 올해는 아직 눈이 내리지 않았다. | ||
| + | }}} | ||
| + | |||
| + | 문미에 [s\aN44]가 위치하면, 사건이나 상태의 변화를 묻는 표현의 부정형이다. | ||
| + | |||
| + | {{{eg>west2430 (yujinzhi2011:155) | ||
| + | [s\E44 l_0e35 s\aN44]? | ||
| + | cooked rice NEG | ||
| + | 밥 다 되지 않았니? | ||
| + | }}} | ||
| + | |||
| + | ### (2) 금지의 부정문 | ||
| + | |||
| + | 먀오어의 부정명령은 [qa53], [qa53maN22] ‘~하지 마라’으로 나타내는데, 단독사용이 불가능하며, [qa53maN22]의 어기가 좀 더 완곡하다. | ||
| + | |||
| + | {{{eg>west2430 (yujinzhi2011:155) | ||
| + | [m@N31 qa53maN33 m@N44]! | ||
| + | 2SG NEG go | ||
| + | 너 가지 마라!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