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mulam: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8/06/24 14:14] 박성하 |
doc:mulam: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2: | 줄 2: | ||
| - | - 무라오어의 성조는 '평성, 상성, 거성'과 '입성'의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파열운미 -p, -t, -k의 음절은 입성에 속하고 나머지는 모두 평성, 상성, 거성에 속한다. | + | - 무라오어의 성조는 평성조(평성, 상성, 거성)와 촉성조(입성)의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
| - | - '평성, 상성, 거성'은 총 6개로 제1성, 제2성, 제3성, 제4성, 제5성, 제6성이다. | + | - 파열운미 -p, -t, -k의 음절은 입성에 속하고 나머지는 모두 평성조에 속한다. |
| - | - '입성'은 총 2개로 제7성, 제8성이다. | + | - 평성조는 총 6개로 제1성, 제2성, 제3성, 제4성, 제5성, 제6성이다. |
| + | |||
| + | - 촉성은 총 2개로 제7성, 제8성이다. | ||
| - 제7성과 제8성은 종종 원음의 장단에 따라 그 성조값이 달라진다. 따라서 입성의 성조값은 4개라 할 수 있다. | - 제7성과 제8성은 종종 원음의 장단에 따라 그 성조값이 달라진다. 따라서 입성의 성조값은 4개라 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