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mulam:2_wordclass:24_adj:24_adj [2018/05/13 22:32] 127.0.0.1 바깥 편집 |
doc:mulam:2_wordclass:24_adj:24_adj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100% |
| + | |||
| + | - 형용사는 부정부사 ŋ의 수식을 받으며, 정도 부사 hən3, kai5, thaː15, tshwəi4, sik8tai6의 수식을 받는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시간부사의 수식을 받지 않으며, 일부 형용사는 성질의 상태 변화를 나타낼 때 시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는 뒤에 종종 어기조사 ljeu4가 공기하여 쓰인다. | ||
| + | |||
| + |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79) | ||
| + | fa5 mai4 haːi3 həu1 ljeu4 | ||
| + | leaf tree will green FP | ||
| + | 나무잎들이 곧 초록색이 되려고 한다. | ||
| + | }}} | ||
| + | |||
| + | - 형용사의 긍정식과 부정식을 병렬하여 의문을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형용사의 명사의 뒤에 놓이며, 명사 혹은 명사의 성질 상태를 묘사하거나 설명할 수 있다. | ||
| + | |||
| + |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79) | ||
| + | na3 mɔ6 na3 l̻aːn3 | ||
| + | face 3SG face red | ||
| + | 그의 얼굴은 붉은 얼굴이다. | ||
| + | }}} | ||
| + | |||
| + | - 형용사의 뒤에는 수량사가 올 수 있다. 그러나 수량사구 뒤에는 다시 명사가 올 수 없다. 형용사 뒤의 수량사는 보충성분이다. | ||
| + | |||
| + |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0) | ||
| + | çan1 ŋɔ4 can1 | ||
| + | heavy five CL | ||
| + | 다섯 근의 무게(무겁다) | ||
| + | }}} | ||
| + | |||
| + | - 많은 형용사들이 중첩할 수 있으며, 형용사 중첩 후에는 어기 강화의 의미를 나타낸다. 중첩식의 형용사는 종종 경성의 구조조사 kɔ를 가진다. | ||
| + | |||
| + |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0) | ||
| + | kuk7 khwaːŋ3 khwaːŋ3 kɔ | ||
| + | clothes wide wide FP | ||
| + | 옷이 널널하다. | ||
| + | }}} | ||
| + | |||
| + | - 형용사의 뒤에는 1,2음절의 부가음절이 올 수 있는데, 이때는 각기 다른 정도의 성질상태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