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amuyi:2_wordclass:23_verb:23_verb [2016/06/16 13:10] 127.0.0.1 바깥 편집 |
doc:namuyi: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8/18 10:56] (현재) 김나연 [존재동사] |
||
|---|---|---|---|
| 줄 1: | 줄 1: | ||
| # 23_verb : 동사 (verb) | # 23_verb : 동사 (verb) | ||
| - | - 동사 부류의 특징. | + | ## 존재동사 |
| - | - 폐쇄 부류 대 개방 부류 | + | 소유동사와 존재동사가 분화되었으면, 존재동사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
| - | - 하위 유형에 관한 내용 | + | - dzo55: 유생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존재동사. |
| - | - 자동사, 타동사 구분이 두드러지는 언어인지. 격체계가 완전히 다르다던지. | + | |
| - | - 접사 또는 첨사가 동사 어간 뒤에 어떻게 결합하는지 양상을 전반적인 틀을 보여줄 수 있도록. | + | |
| - | - 동사의 형태론적 구조. 동사 활용의 개괄적인 설명. | + | |
| - | - 동사의 finite와 nonfinite의 구분이 명확한지 아닌지. 구분이 있다면 어떤 식인지 개괄적으로. | + | |
| + | {{{eg>namu1246 (sunhongkai2007:975) | ||
| + | no53 ko53 vie31 tso31 ha31ȵi55 gu53 dzo55? | ||
| + | 2SG 조사 family person how.many CL EXIST | ||
| + | 너희 집에 사람이 몇 명 있니? | ||
| + | }}} | ||
| - | 중국 지역의 언어에 대한 참조 문법의 기술의 경우 형태론보다 단어 부류 또는 첨사로 기술하려는 경향이 있다. 아창어는 SOV 언어이고 동사 뒤에 오는 요소들을 교착어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서구나 일본 등의 학자들의 연구와도 비교하여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첨사로 기술할지 형태론으로 기술할지를 정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 첨사로 기술하더라도 동사에서 첨사가 어떤 식으로 결합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 + | - dʐɿ31gə53: 무생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존재동사. |
| - | 현재 참고 문헌에서 첨사가 여러 개 붙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정보를 찾기는 어렵다. 완벽하지 않더라도 예문 등에서 첨사가 2개 이상 붙는 것이 있다면 소개하는 정도로 할 수 있다. | + | {{{eg>namu1246 (sunhongkai2007:975) |
| + | tɕo31ho53 lu53qa53 ma53 dʐɿ31gə53. | ||
| + | 3PL bowl NOM EXIST | ||
| + | 그들에게 그릇이 없다. | ||
| + | }}} | ||
| + | - zɿ13: 액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존재동사. | ||
| - | 동사의 형태론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한다. | + | {{{eg>namu1246 (sunhongkai2007:975) |
| + | lu53qa53 qo31lo53 dzɿ55 zɿ13. | ||
| + | bowl in water EXIST | ||
| + | 그릇에 물이 있다. | ||
| + | }}} | ||
| - | 동사의 형태론이 발달한 경우에 태, 시제, 상, 법 등이 형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동사의 형태론 차원에서 이와 관계된 표지들을 기술한다. 한편 태와 관련된 내용은 valency에서 시제, 상, 법과 관련된 내용은 tame에서 다시 기술한다. 이때 valency, tame에서 기술하는 내용은 반드시 형태론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 + | - pa13: 소유를 나타내는 동사. |
| - | 동사의 형태론에서 기술하고 다른 곳에서는 중복되지 않는 주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 {{{eg>namu1246 (sunhongkai2007:975) |
| - | + | no53 bi53ji31 a53 pa13? | |
| - | - verb_conjugation : 활용부류(conjugation) | + | 2SG bag POSS EXIST |
| - | - verb_arg : 일치(agreement) | + | 너 가방 있어? |
| - | - verb_fin : 정형성(finiteness) | + | }}} |
| - | - nonverbal : 자격법 (nonverbal function of verbal conjugation) | + | |
| - | - nonverbal_cvb : 부동사 (converb) | + | |
| - | - nonverbal_noun : 동명사 (verbal noun) | + | |
| - | - nonverbal_ptcp : 분사 (participle) | + | |
| - | - infinitive : 부정사 | + | |
| + | - dʐa13, dʐe13: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의 존재를 나타낸다. | ||
| + | {{{eg>namu1246 (sunhongkai2007:975) | ||
| + | ɕi31po55 dia55 ka31la53 dʑe31. | ||
| + | tree above walnut EXIST | ||
| + | 나무에 호두가 열려 있다 | ||
| + | }}} | ||
| + | ## 판단동사 | ||
| + | 판단동사로는 dʑi13이 있는데 문말에 위치하고 형태 변화는 없다. | ||
| + | {{{eg>namu1246 (sunhongkai2007:975) | ||
| + | ŋa55 na55mu31ji31 tɕi31 gu53 dʑi13 | ||
| + | 1SG NaMuYi one CL COP | ||
| + | 나는 나무이인이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