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anai: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5/30 11:41] 서취아 [자음의 체계] |
doc:nanai: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11/30 14:29] (현재) 서취아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줄 1: | 줄 1: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 |||
| + | iˇ ǐ ĭ ɚ | ||
| ### 자음의 체계 | ### 자음의 체계 | ||
| 줄 5: | 줄 7: | ||
| - 파열음과 파찰음이 무도 무성음이고 그들에 유기와 무기의 대립이 있다. | - 파열음과 파찰음이 무도 무성음이고 그들에 유기와 무기의 대립이 있다. | ||
| | | ||
| + |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 ||
| + | | bilabial | nasal | m | | ||
| + | | bilabial | plosive| p(b) pʰ(p)| | ||
| + | | bilabial | fricative| fʰ | | ||
| + | | bilabial | approximant| w| | ||
| + | | dental | plosive| t(d) tʰ(t) | | ||
| + | | dental | affricative | ts(dz) tsʰ(ts) | | ||
| + | | dental | fricative | sʰ(s) | | ||
| + | |palato-alveolar|nasal| n | | ||
| + | |palato-alveolar|affricative|tɕ(dʑ) tɕʰ(tɕ) | | ||
| + | |palato-alveolar|fricative| ɕ(j) ɕʰ(ɕ) | | ||
| + | |palato-alveolar|trill| r | | ||
| + | |palato-alveolar|lateral approximant| l | | ||
| + | |retroflex|affricative|tʂ(dʐ) tʂʰ(tʂ)| | ||
| + | |retroflex|fricative|ʂʰ(ʂ) ʂ(ʐ)| | ||
| + | |palatal|fricative|cʰ(x)| | ||
| + | |velar| nasal | ŋ | | ||
| + | |velar| plosive| k(g) kʰ(k) | | ||
| + | |velar| fricative| χʰ(χ) | | ||
| + | |uvular| plosive | q(ɢ) qʰ(q) | | ||
| + | |||
| + | - 편리 상 유기음을 IPA에서의 무성음(unvoiced) 표기로, 무기음을 IPA에서의 유성음(voiced) 표기로 표기한다. | ||
| + | |||
| + | 즉 유기음 pʰ, tʰ, kʰ, qʰ 등을 각각 p, t, k, q 등으로 표기하고, 무기음 p, t, k, q 등을 각각 b, d, g, ɢ 등으로 표기한다. | ||
| + | |||
| + | |||
| ^ ^양순음^치음^치조구개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 | ^ ^양순음^치음^치조구개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 | ||
| - | | 비음 |m| |n| | |ŋ| | | + | | 비음 | m | | n | | | ŋ | | |
| - | | 무성무기파열음|p(b)|t(d)| | | |k(g)|q(ɢ)| | + | | 무성무기파열음| p(b) | t(d) | | | | k(g) | q(ɢ) | |
| - | | 무성유기파열음|pʰ(p)|tʰ(t)| | | |kʰ(k)|qʰ(q)| | + | | 무성유기파열음| pʰ(p)| tʰ(t) | | | | kʰ(k) | qʰ(q) | |
| - | | 무성무기파찰음| |ts(dz)|tɕ(dʑ)|tʂ(dʐ)| | | | | + | | 무성무기파찰음| |ts (dz)| tɕ(dʑ) | tʂ(dʐ) | | | | |
| - | | 무성유기파찰음| |tsʰ(ts)|tɕʰ(tɕ)|tʂʰ(tʂ)| | | | | + | | 무성유기파찰음| |tsʰ(ts) | tɕʰ(tɕ) | tʂʰ(tʂ) | | | | |
| - | | 무성무기마찰음| |f|s|ʂ|ɕ|x|χ| | + | | 무성무기마찰음| | | ɕ(j) | ʂ(ʐ) | | | | |
| - | | 유성마찰음 | | | |ʐ| | | | | + | | 무성유기마찰음| fʰ | sʰ(s) | ɕʰ(ɕ)| ʂʰ(ʂ) | cʰ(x) | χʰ(χ)| | |
| - | | 전동음 | | | r| | | | | | + | | 전동음 | | | r | | | | | |
| - | | 접근음 | | | | |j| | | | + | | 설측 접근음 | | | l | | | | | |
| - | | 설측 접근음 |w(?)| |l| | | | | | + | | 접근음 | w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