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anai: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nanai: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5/29 10:10]
서취아
doc:nanai: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8/18 14:01] (현재)
서취아
줄 1: 줄 1:
 # 23_verb :  동사 (verb) # 23_verb :  동사 (verb)
 +
 - 나나이어는 교착어로 문법 요소가 매우 발달하다. 동사 뒤에 다양한 문법 요소가 붙어 여러 가지 문법적 의미가 나나난다. - 나나이어는 교착어로 문법 요소가 매우 발달하다. 동사 뒤에 다양한 문법 요소가 붙어 여러 가지 문법적 의미가 나나난다.
-- 나나이어의 동사는 일반 동사와 조동사로 분류할 수 있다. 동사는 종결형과 비종결형 그리고 다기능 형 세 가지 문법 범주가 있다. ​ 
  
-##동사의 태+- 나나이어의 ​동사는 일반 동사와 조동사로 분류할 수 있다. 동사는 종결형과 비종결형 그리고 다기능 형 세 가지 문법 범주가 있다.
  
-###(1) 능+사는 일반동사와 조동사 두 가지가 있다.
  
-태는 무이다.+일반 ​사 뒤에 부동사 ​지를 붙이면 동사의 비종결형인 부동사형이 형성되고,​ 시제를 붙이면 분사형이 형성된다.
  
-{{{lex>​nana1257 (anjun2009:​961)+- 일반 동사 뒤에 상 표지와 인칭 표지가 붙을 수 있다.
  
-- tati-공부하다 +{{{eg>​nana1257 (anjun2009:968) 
-buta-: 잡다 +əi imaχa-wə ɕiaχqu ɕin-du bu-xəi
-- əmərɡi-: 돌아오다+these fish-ACC all 2SG-DAT give-PFV 
 +이 물고기들을 전부 너한테 줬어. 
 +}}}
  
 +
 +####1) 동사의 분사형
 +
 +- 동사가 시제 표지와 결합한 후 다른 성분을 수식할 수 있게 된다.
 +
 +- 동사와 결합하는 시제 표지는 다음과 같다.
 +
 +#####① 과거 시제 표지 -χən
 +
 +{{{eg>​nana1257 (anjun2009:​963)
 +niani əmərɡi-χən-wə ədʑi χədzurə.
 +3SG come.back-PST-ACC PROH tell
 +그가 돌아오는 것을 얘기하지 마!
 }}} }}}
  
-###(2+#####② 현재시제 표지: -m(부동사 어미+ bi-ɕin(조사)
  
-피동태 ​표지는 -wə/-wu이다.+{{{eg>​nana1257 (anjun2009:​963) 
 +ti imaχa waχtɕi-m bi-ɕin nio ni? 
 +that fish catch-CVB be-PTCL people who 
 +물고기를 잡는 그 사람이 누가야?​ 
 +}}} 
 + 
 +#####③ 미래 시제 ​표지 -rən
  
-{{{eg>​nana1257 (anjun2009:961+{{{eg>​nana1257 (anjun2009:963
-ti xitə aɡə-du-ni tanta-wu-χəi-ni. +min-i ɕoχolo-wə doldi-rən ​ɡurun əm-χəi-ni-a? 
-that child elder.brother-DAT-3SG.POSS punch-PASS-PFV-3SG +1SG-GEN story-ACC listen-FUT 3PL come-PFV-3PL-Q 
-그 아는 형한테 맞았다.+내 이야기를 들을 사람들이 왔어?
 }}} }}}
  
-{{{eg>​nana1257 (anjun2009:961+####2) 동사의 부동사형 
-niani əiniŋ ɢasχutɕi-wu-χəi+ 
-3SG today curse-PASS-PFV +- 부동사는 주동사의 앞에 위치하여 주동사의 목적, 조건, 수반, 선후로 일어나는 두 동작 간의 계기적 관계 등을 나타낸다. 
-는 오늘 욕을 당했다. + 
 +- 부동사는 인칭 표지를 요구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인칭 표지를 요구하는 부동사 
 + 
 +#####① 부동사 -ki + 인칭표지 + lə(小詞) 
 + 
 +- 부동사의 의미: 앞의 동작이 발생한 후 뒤에 동작이 곧 발생함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ki와 인칭 표지를 부가한 후 lə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 
 +{{{eg>​nana1257 (anjun2009:964
 +ɕi əmərɡ-ki-ɕi lə bi sa-χə-jə
 +2SG come.back-CVB-2SG PTCL 1SG.NOM know-PFV-1SG 
 +네가 돌아오고 나서 나는 금방 알았다.
 }}} }}}
  
-###(3) 사+#####② 부사 -ki + 인칭 표지
  
-- 사동태 표지는 -wə와 -wu이다.+부동의 의미: 앞의 ​이 뒤의 동작의 조건을 나타낸다.
  
-{{{eg>​nana1257 (anjun2009:961+- 동사 어간 뒤에 -ki와 인칭 표지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ɕi əɕixtə umiŋji-wə χədzu-wə. + 
-2SG now wumingyi-ACC speak-CAUS +{{{eg>​nana1257 (anjun2009:964
-는 지금 오명의(사람 ​름)를 말하게 해.+ɕi jantqu-wə waχ-ki-ɕi niani dʑiu aɡdənə-χəi-ni
 +2SG racoon.dog-ACC kill-CVB-2SG 3SG then happy-PFV-3SG 
 +네가 ​구리를 잡으면 그가 기뻤을 것.
 }}} }}}
  
-###(4) 상호태+#####③ 부동사 -dʑi/​-ɡidʑi + 인칭 표지
  
-상호태 표지는 -matɕi이다.+부동사의 의미: 앞의 동작이 완료되자마자 뒤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낸다.
  
-{{{eg>​nana1257 (anjun2009:961+- 동사 어간 뒤에 -dʑi/​-ɡidʑi와 인칭 표지 그리고 부사 ɡəsə(동시에)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ti dʐy nio isxundu ​əldʐi-matɕi-ti+ 
-that two people each.other fight-RECP-PTCL +{{{eg>​nana1257 (anjun2009:964
-저 두 사람이 서로 경기한다. +ɕi dʑioχ-dulə iɕir-ɡidʑi-ci ɡəsə niani əm-χə-ni
 +2SG home-LOC arrive-CVB-2SG ​ at.the.same.time 3SG come-PFV-3SG 
 +네가 집에 도착하자마자 그가 왔다.
 }}} }}}
  
-###(5) 공+인칭 표지를 요구하지 않은 부
  
-- 공태 표지는 ​-tɕiwu이다.+#####④ 부사 -nəmi
  
-{{{eg>​nana1257 (anjun2009:961+- 부동사의 의미: 앞의 동작이 뒤의 동작의 목적임을 나타낸다. 
-bəti əi dʑoχdulə arki-tɕiwu-riə. + 
-1PL this room drink-공동태-PTCL +- 동사 어간에 -nəmi를 부가하는 방법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이 방에서 (술을) 마시자+ 
 +{{{eg>​nana1257 (anjun2009:964
 +ni imaχa waχtɕim-nəmi əm-χə-jə. 
 +1SG fish catch-CVB come-PFV-1SG 
 +는 물고기를 잡으러 왔다
 }}} }}}
 +
 +#####⑤ 연합(聯合) 부동사 -mi
 +
 +- 연합 부동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 앞의 동작이 뒤의 동작의 진행 방식임을 나타낸다.
 +
 +{{{eg>​nana1257 (anjun2009:​964)
 +niani min-tki nixtənə-mi χədzu-χəi-ni.
 +3SG 1SG-ALL smile-CVB say-PFV-3SG
 +그는 웃으면서 얘기했다.
 +}}}
 +
 +- 동사 어간에 부동사가 붙는 구성을 반복하면 앞의 동작이 한 동안 지속되었음을 나타낸다.
 +
 +{{{eg>​nana1257 (anjun2009:​965)
 +niani soŋo-mi soŋo-mi budə-xə-ni.
 +3SG cry-CVB cry-CVB die-PFV-3SG
 +그는 울고 운 후에 죽었다. ​
 +}}}
 +
 +- 앞의 동작과 뒤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
 +{{{eg>​nana1257 (anjun2009:​965)
 +ɕi əi xitə-wə xəlbə-mi ənə.
 +2SG this child-ACC take-CVB go
 +이 아이를 때리고 가.
 +}}}
 +
 +#####⑥ 부동사 -rə
 +
 +- 부동사의 의미: 하나의 동작 또는 여러 개의 동작이 시간적으로 뒤의 동작보다 먼저 일어남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에 -rə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
 +{{{eg>​nana1257 (anjun2009:​965)
 +ɕi dʑoχ-dulə ənə-rə matɕi təinə-rə təni əmə.
 +2SG home-LOC go-CVB a.while rest-CVB again come
 +너는 집에 가서 좀 쉬고 다시 와.
 +}}}
 +
 +#####⑦ 부동사 -dui
 +
 +- 부동사의 의미: 앞의 동작을 진행하는 계기(契機)로 뒤의 동작도 함께 진행함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에 -dui를 부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eg>​nana1257 (anjun2009:​965)
 +ɕi ənəi-dui əi dʑaqa-wə xəlbə.
 +2SG go-CVB this thing-ACC bring
 +너는 가는 김에 이 물건을 가져 가.
 +}}}
 +
 +#####⑧ 부동사 -dul
 +
 +- 부동사의 의미: 앞의 동작이 뒤의 동작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일어남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에 -dul를 부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eg>​nana1257 (anjun2009:​965)
 +ami-ni əi səksə wənə-xə-mə-ni itɕim-dul soŋo-m dəriw-χə-ni.
 +father-3SG.POSS this blood melt-PFV-ACC-3SG see-CVB cry-부동사어미 start-PFV-3SG
 +그의 아버지가 이 피가 녹아 버린 것을 보고 울기 시작했다.
 +}}}
 +
 +#####⑨ 부동사 -rdəm/​-rnəm
 +
 +- 부동사의 의미: 부동사가 붙는 동사의 동작은 뒤에 동작이 일어나기 전에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
 +- 동사 어간에 -rdəm/​-rnəm을 부가한다.
 +
 +{{{eg>​nana1257 (anjun2009:​965)
 +nixtə-i uldzə-wə-ni uɕia-rdəm ɡadʑirɡi-ni.
 +wild.boar-GEN meat-ACC-3SG.POSS draw-CVB bring.back-3SG
 +그는 멋 돼지의 고기를 끌어서 가져 온다. ​
 +}}}
 +
  
doc/nanai/2_wordclass/23_verb/23_verb.152755625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29 10:10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