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naxi: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2016/10/08 20:59] 박진호 [문법상의 차이] |
doc:naxi: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2018/06/25 08:56] (현재) |
||
---|---|---|---|
줄 364: | 줄 364: | ||
서부방언: 본동사 + mə³³thɑ⁵⁵(=否定부사 mə³³ + 조동사 thɑ⁵⁵ "을 수 있") | 서부방언: 본동사 + mə³³thɑ⁵⁵(=否定부사 mə³³ + 조동사 thɑ⁵⁵ "을 수 있") | ||
- | ʂə⁵⁵ mə³³ thɑ⁵⁵ | + | {{{eg>naxi1245 (hejiren1985:115) |
- | 说 不 可以 | + | [ʂə⁵⁵ mə³³ thɑ⁵⁵] |
- | 말하 부정 을.수.있 | + | say NEG can |
+ | 说 不 可以 | ||
+ | 말하 부정 을.수.있 | ||
不可以说 | 不可以说 | ||
말할 수 없다 / 말해서는 안 된다 | 말할 수 없다 / 말해서는 안 된다 | ||
+ | }}} | ||
동부방언: thɑ⁵⁵ "别" + 본동사 | 동부방언: thɑ⁵⁵ "别" + 본동사 | ||
- | thɑ⁵⁵ ʐuə³³ | + | {{{eg>naxi1245 (hejiren1985:115) |
- | 别 说 | + | [thɑ⁵⁵ ʐuə³³] |
+ | 别 说 | ||
지.말라 말하 | 지.말라 말하 | ||
别说 | 别说 | ||
말하지 말라 | 말하지 말라 | ||
+ | }}} | ||
tɯ³³tʂɯ¹³ "说话" 같은 2음절 동사를 否定부사 mə³³가 수식할 때 | tɯ³³tʂɯ¹³ "说话" 같은 2음절 동사를 否定부사 mə³³가 수식할 때 | ||
줄 382: | 줄 387: | ||
서부방언: mə³³이 동사 앞에 옴. | 서부방언: mə³³이 동사 앞에 옴. | ||
- | mə³³ kɯ³³ tʂɯ¹³ | + | {{{eg>naxi1245 (hejiren1985:115) |
+ | [mə³³ kɯ³³ tʂɯ¹³] | ||
不 说 话 | 不 说 话 | ||
부정 말하 말 | 부정 말하 말 | ||
不说话 | 不说话 | ||
말하지 않다 | 말하지 않다 | ||
+ | }}} | ||
동부방언: mə³³이 2음절 동사 중간에 옴. | 동부방언: mə³³이 2음절 동사 중간에 옴. | ||
- | kə³³ mə³³ tʂɯ³¹ | + | {{{eg>naxi1245 (hejiren1985:115) |
+ | [kə³³ mə³³ tʂɯ³¹] | ||
说 不 话 | 说 不 话 | ||
말하 부정 말 | 말하 부정 말 | ||
不说话 | 不说话 | ||
말하지 않다 | 말하지 않다 | ||
+ | }}} | ||
+ | |||
### 사회 역사적 차이 | ### 사회 역사적 차이 | ||
줄 409: | 줄 419: | ||
동·서 두 방언의 차이는 하천의 흐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 동·서 두 방언의 차이는 하천의 흐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 ||
+ | |||
四川省 木里县境의 无量河, 云南省 丽江县境의 金沙江 以東, 永胜县 五郎河 以北의 나시족 지역에서는 동부방언이 사용됨. | 四川省 木里县境의 无量河, 云南省 丽江县境의 金沙江 以東, 永胜县 五郎河 以北의 나시족 지역에서는 동부방언이 사용됨. | ||
+ | |||
无量河·金沙江 以西, 五郎河 以南의 나시족 지역에서는 서부방언이 사용됨. | 无量河·金沙江 以西, 五郎河 以南의 나시족 지역에서는 서부방언이 사용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