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naxi: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6/10/08 21:37] 박진호 [(3) 표음문자(병음문자)] |
doc:naxi: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8/06/25 08:56] (현재) |
||
---|---|---|---|
줄 6: | 줄 6: | ||
## (1) 東巴문자 | ## (1) 東巴문자 | ||
+ | |||
+ | ###개관 | ||
꽤 오래 된 상형표의문자. | 꽤 오래 된 상형표의문자. | ||
줄 16: | 줄 18: | ||
東巴敎 經師는 평소에는 농업, 목축업 등에 종사하다가, 일이 있을 때 사람들을 위해 제사, 점복, 굿 등의 일을 한다. 東巴敎 經師가 이런 일을 할 때 동파문자로 經呪를 쓴다. | 東巴敎 經師는 평소에는 농업, 목축업 등에 종사하다가, 일이 있을 때 사람들을 위해 제사, 점복, 굿 등의 일을 한다. 東巴敎 經師가 이런 일을 할 때 동파문자로 經呪를 쓴다. | ||
+ | |||
+ | ###역사 | ||
이 문자의 발생, 발전은 동파교의 발생,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이 문자의 발생, 발전은 동파교의 발생,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
줄 22: | 줄 26: | ||
麗江 《木氏宦譜》의 牟保阿琮(即 麥宗??) 관련 전설에 "7세 때 배우지 않고도 문자를 알았고, 百蠻 各家 諸書에 널리 밝았다"라는 기사가 있다. 阿琮은 13세기 초(송나라 理宗 때)에 태어났다. 여기서 말하는 "배우지 않고도 알았다는" 문자가 나시 상형문자를 가리키는 듯. 그러나 "또 本方文字를 만들었다"고 했으므로 음절문자(즉 哥巴문자)를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 | 麗江 《木氏宦譜》의 牟保阿琮(即 麥宗??) 관련 전설에 "7세 때 배우지 않고도 문자를 알았고, 百蠻 各家 諸書에 널리 밝았다"라는 기사가 있다. 阿琮은 13세기 초(송나라 理宗 때)에 태어났다. 여기서 말하는 "배우지 않고도 알았다는" 문자가 나시 상형문자를 가리키는 듯. 그러나 "또 本方文字를 만들었다"고 했으므로 음절문자(즉 哥巴문자)를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 | ||
+ | |||
+ | ###상형문자 | ||
상형문자는 나시어 서부방언 지역에서, 雲南省 麗江 나시족 자치현의 山區, 中甸縣의 白地, 維西縣의 攀天閣 등지를 중심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의 나시족 동파 經師가 收藏하고 있는 상형문자 경서도 풍부하다. | 상형문자는 나시어 서부방언 지역에서, 雲南省 麗江 나시족 자치현의 山區, 中甸縣의 白地, 維西縣의 攀天閣 등지를 중심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의 나시족 동파 經師가 收藏하고 있는 상형문자 경서도 풍부하다. | ||
줄 28: | 줄 34: | ||
상형문자 가운데에는 그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문자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는 그림문자로부터 1자 1음의 상형문자로 변화하는 중간 단계에 있다. 문자라고 할 수도 있고 그림이라고 할 수도 있다. | 상형문자 가운데에는 그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문자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는 그림문자로부터 1자 1음의 상형문자로 변화하는 중간 단계에 있다. 문자라고 할 수도 있고 그림이라고 할 수도 있다. | ||
+ | |||
+ | ###상형문자 텍스트 예시 | ||
아래에 동파 경전 tsho³¹mbər³³thv³³ 《人類遷徙記》의 한 부분을 소개한다. 이는 이야기 그림책(만화)과 비슷하다. 내용은 홍수가 극에 달한 후 인류의 시조 tsho³¹ze³³lɯ⁵⁵ɣɯ⁵⁵ "查热丽恩"가 하늘에 올라가 天女 tshe⁵⁵xɯ³¹bu³³bu¹³ "翠紅褒白"을 찾는 이야기. | 아래에 동파 경전 tsho³¹mbər³³thv³³ 《人類遷徙記》의 한 부분을 소개한다. 이는 이야기 그림책(만화)과 비슷하다. 내용은 홍수가 극에 달한 후 인류의 시조 tsho³¹ze³³lɯ⁵⁵ɣɯ⁵⁵ "查热丽恩"가 하늘에 올라가 天女 tshe⁵⁵xɯ³¹bu³³bu¹³ "翠紅褒白"을 찾는 이야기. | ||
줄 96: | 줄 104: | ||
이 밖에, 常用 單字 그림 부호 표시도 있다. 예컨대 동파 經呪 중간에, "板铃", "法螺" 그림이 있는데, 이는 이 부분을 읽을 때 板铃을 한 번 치라, 法螺를 한 번 불라는 뜻이다. | 이 밖에, 常用 單字 그림 부호 표시도 있다. 예컨대 동파 經呪 중간에, "板铃", "法螺" 그림이 있는데, 이는 이 부분을 읽을 때 板铃을 한 번 치라, 法螺를 한 번 불라는 뜻이다. | ||
- | 형성자 | + | ###형성자 |
a³¹ "山岩, 바위 산봉우리" | a³¹ "山岩, 바위 산봉우리" | ||
줄 110: | 줄 118: | ||
xɯ³³ "牙齿, 치아" "去"의 음을 注할 때 씀. 선을 하나 추가하여 가는 행동을 표시. | xɯ³³ "牙齿, 치아" "去"의 음을 注할 때 씀. 선을 하나 추가하여 가는 행동을 표시. | ||
- | 회의자 | + | ###회의자 |
bɑ³¹ "花, 꽃" | bɑ³¹ "花, 꽃" | ||
줄 124: | 줄 132: | ||
ʐu³¹ "夏天, 여름" 여름은 나시족 지역의 雨期이기 때문. | ʐu³¹ "夏天, 여름" 여름은 나시족 지역의 雨期이기 때문. | ||
- | 指示字 | + | ###指示字 |
uɑ³³ 5개의 갈고리 "5" | uɑ³³ 5개의 갈고리 "5" | ||
줄 132: | 줄 140: | ||
ʑi³¹ 사람이 오른손을 뻗는 모양 "오른쪽" | ʑi³¹ 사람이 오른손을 뻗는 모양 "오른쪽" | ||
- | 원래의 자형을 변화시켜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방법 | + | ###원래의 자형을 변화시켜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방법 |
- | 1. 자체 변화 | + | ####1. 자체 변화 |
- | (1) 기울이기 | + | #####(1) 기울이기 |
"天, 하늘" → "斜天, 기울어진 하늘", "地, 땅" → "斜地, 기울어진 땅" | "天, 하늘" → "斜天, 기울어진 하늘", "地, 땅" → "斜地, 기울어진 땅" | ||
줄 142: | 줄 150: | ||
東巴經師는 "鬼, 귀신"이 있는 곳을 "斜天斜地"라고 해석. | 東巴經師는 "鬼, 귀신"이 있는 곳을 "斜天斜地"라고 해석. | ||
- | (2) 도치: 항상 죽음 또는 부정의 의미를 지님. | + | #####(2) 도치: 항상 죽음 또는 부정의 의미를 지님. |
각종 새, 짐승은 도치의 형상으로 출현하여, 이미 죽었다는 의미를 표시. "살아 있는 사슴" 도치→ "죽은 사슴" | 각종 새, 짐승은 도치의 형상으로 출현하여, 이미 죽었다는 의미를 표시. "살아 있는 사슴" 도치→ "죽은 사슴" | ||
줄 150: | 줄 158: | ||
thv³³ "出现" 도치→ 부정 mə³³thv³³ "출현하지 않(았)음" | thv³³ "出现" 도치→ 부정 mə³³thv³³ "출현하지 않(았)음" | ||
- | (3) 꺾기: 꺾을 수 있는 물건에 대해, 꺾어진 모양으로, 물건이 꺾어짐을 표시. | + | #####(3) 꺾기: 꺾을 수 있는 물건에 대해, 꺾어진 모양으로, 물건이 꺾어짐을 표시. |
"칼" → "칼이 꺾임", "창" → "창이 꺾임" | "칼" → "칼이 꺾임", "창" → "창이 꺾임" | ||
- | (4) 줄이기 | + | #####(4) 줄이기 |
"神山" → "神山의 허리" → "神山의 기슭" | "神山" → "神山의 허리" → "神山의 기슭" | ||
- | (5) 늘이기 | + | #####(5) 늘이기 |
"水尾" → "水尾长远, 水尾가 장대하다" | "水尾" → "水尾长远, 水尾가 장대하다" | ||
줄 164: | 줄 172: | ||
"鬼, 귀신" 다리 늘이기 → "다리가 긴 귀신", 목 늘이기 → "목이 긴 귀신" | "鬼, 귀신" 다리 늘이기 → "다리가 긴 귀신", 목 늘이기 → "목이 긴 귀신" | ||
- | 2. 부가 변화 | + | ####2. 부가 변화 |
- | (1) 점 더하기: 많음(多衆), 다종다양함(雜色) | + | #####(1) 점 더하기: 많음(多衆), 다종다양함(雜色) |
kɯ³¹dzɯ³¹mɯ³³ʂər⁵⁵xə³¹ "하늘에 별이 쫙 깔려 있다" | kɯ³¹dzɯ³¹mɯ³³ʂər⁵⁵xə³¹ "하늘에 별이 쫙 깔려 있다" | ||
줄 180: | 줄 188: | ||
lv³³ndza³¹ "花石, 얼룩덜룩한 돌" | lv³³ndza³¹ "花石, 얼룩덜룩한 돌" | ||
- | (2) 선 더하기 | + | #####(2) 선 더하기 |
- | a. 단선: 방향, 관계를 가리킴. "올라가다", "내려오다", "保佑, 돕다", "둘러싸다", "입에서 소리를 내다" | + | ######a. 단선: 방향, 관계를 가리킴. "올라가다", "내려오다", "保佑, 돕다", "둘러싸다", "입에서 소리를 내다" |
- | b. 교차선: | + | ######b. 교차선: |
kv⁵⁵ne³¹sɯ³³ndzɯ³¹ŋɡuə³³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상의하는 모습. "能者와 智者가 상의하다" 그림 속의 꺾어진 교차선이 "상의", "토론"의 의미를 표시. | kv⁵⁵ne³¹sɯ³³ndzɯ³¹ŋɡuə³³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상의하는 모습. "能者와 智者가 상의하다" 그림 속의 꺾어진 교차선이 "상의", "토론"의 의미를 표시. | ||
줄 190: | 줄 198: | ||
du³¹(动)a³¹(战争)sɯ³¹(苏)a³¹(战争)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칼을 교차하는 모습. 그림 속의 교차선은 "打仗, 싸우다"의 의미. 神과 苏神이 싸운다는 뜻. | du³¹(动)a³¹(战争)sɯ³¹(苏)a³¹(战争)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칼을 교차하는 모습. 그림 속의 교차선은 "打仗, 싸우다"의 의미. 神과 苏神이 싸운다는 뜻. | ||
- | c. 양자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뜻. | + | ######c. 양자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뜻. |
- | (3) 색 더하기: 흑점을 찍거나 흑색을 칠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 부가 기호. | + | #####(3) 색 더하기: 흑점을 찍거나 흑색을 칠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 부가 기호. |
ndʑy³¹ "山" 흑점 추가 → "黑山" | ndʑy³¹ "山" 흑점 추가 → "黑山" | ||
줄 198: | 줄 206: | ||
tshɯ³³ "犁头, 쟁기날" 흑색 칠하기 → "黑犁头, 검은 쟁기날" | tshɯ³³ "犁头, 쟁기날" 흑색 칠하기 → "黑犁头, 검은 쟁기날" | ||
- | 부분합체자: 몇 개 글자를 합하여 하나의 자를 만듦. | + | ###부분합체자: 몇 개 글자를 합하여 하나의 자를 만듦. |
갈고리 3개 "3" sɯ³¹라고 읽음. | 갈고리 3개 "3" sɯ³¹라고 읽음. | ||
줄 209: | 줄 217: | ||
이 4개 글자가 합쳐져서 tshɯ⁵⁵sɯ⁵⁵xe³³ "秋三月" 즉 "秋天, 가늘"을 의미. | 이 4개 글자가 합쳐져서 tshɯ⁵⁵sɯ⁵⁵xe³³ "秋三月" 즉 "秋天, 가늘"을 의미. | ||
+ | |||
+ | ###동음 가차 | ||
용자법에 있어서 동음 가차(유사음 가차 포함)의 습관이 있음. | 용자법에 있어서 동음 가차(유사음 가차 포함)의 습관이 있음. | ||
- | a. 불꽃 모양. "불" mi³³ 가차 → | + | ####a. 불꽃 모양. "불" mi³³ 가차 → |
mi⁵⁵ "익다", "잊다", "부녀자", "여자아이" 등 | mi⁵⁵ "익다", "잊다", "부녀자", "여자아이" 등 | ||
줄 220: | 줄 230: | ||
mi³¹ "이름", "명성" | mi³¹ "이름", "명성" | ||
- | b. 낫으로 물건을 베는 모양. khv³³ "收割, 수확(하다)" 가차 → "훔치다" | + | ####b. 낫으로 물건을 베는 모양. khv³³ "收割, 수확(하다)" 가차 → "훔치다" |
- | c. kv³³ "蛋, 알" 가차 → ɡv³³ "身体, 몸/신체" | + | ####c. kv³³ "蛋, 알" 가차 → ɡv³³ "身体, 몸/신체" |
+ | |||
+ | ###고대 나시어의 흔적 | ||
동파문자 가운데에는 고대 나시어 어휘를 보존하고 있는 것도 있음. 이런 경우 현대 나시어와 독음이 다름. | 동파문자 가운데에는 고대 나시어 어휘를 보존하고 있는 것도 있음. 이런 경우 현대 나시어와 독음이 다름. | ||
줄 231: | 줄 243: | ||
"人, 사람" 현대 나시어 ɕi³³, 동파 경서에서는 일반적으로 tsho³¹ | "人, 사람" 현대 나시어 ɕi³³, 동파 경서에서는 일반적으로 tsho³¹ | ||
+ | |||
+ | ###생략표기 | ||
동파 경서에서, 어떤 곳은 생략하고 중요한 글자만 써서 기억을 도움. 이런 경우 하나의 글자가 꽤 긴 음연쇄(심지어 하나의 문장)를 나타낼 수 있고, 몇 글자로 하나의 이야기를 나타낼 수 있음. | 동파 경서에서, 어떤 곳은 생략하고 중요한 글자만 써서 기억을 도움. 이런 경우 하나의 글자가 꽤 긴 음연쇄(심지어 하나의 문장)를 나타낼 수 있고, 몇 글자로 하나의 이야기를 나타낼 수 있음. | ||
예컨대 이야기의 첫머리에서 호랑이(lɑ³³)를 나타내는 글자 하나로 ɑ³³lɑ³³ʂər⁵⁵be³³thɯ³³dʐɯ³¹ "옛날옛적에"를 나타낼 수 있음. | 예컨대 이야기의 첫머리에서 호랑이(lɑ³³)를 나타내는 글자 하나로 ɑ³³lɑ³³ʂər⁵⁵be³³thɯ³³dʐɯ³¹ "옛날옛적에"를 나타낼 수 있음. | ||
+ | |||
+ | ###독음 없는 글자 | ||
동파 경서에서 어떤 글자는 기호의 역할만 할 뿐 일정한 독음이 없음. | 동파 경서에서 어떤 글자는 기호의 역할만 할 뿐 일정한 독음이 없음. | ||
줄 247: | 줄 263: | ||
여기에 "문"을 나타내는 글자가 들어 있어 khu³³로 읽으나, 여기서는 그 음을 빌려서 강가의 "가"라는 뜻을 나타냄. | 여기에 "문"을 나타내는 글자가 들어 있어 khu³³로 읽으나, 여기서는 그 음을 빌려서 강가의 "가"라는 뜻을 나타냄. | ||
+ | |||
+ | ###읽는 순서 | ||
동파문자 경서는 보통 좌에서 우로 가로쓰기를 하나, 몇 개 글자가 상하로 중첩되어 있으면 위에서 아래로 읽음. 때로 아래→위의 순서로 읽는 경우도 있다. | 동파문자 경서는 보통 좌에서 우로 가로쓰기를 하나, 몇 개 글자가 상하로 중첩되어 있으면 위에서 아래로 읽음. 때로 아래→위의 순서로 읽는 경우도 있다. | ||
줄 291: | 줄 309: | ||
1. 한자의 形, 義를 빌린 것 | 1. 한자의 形, 義를 빌린 것 | ||
- | |||
犬 [khɯ³³] "개", 牛 [ɣɯ³³] "소", [ʐuɑ³³] "말", 石 [lv³³] "돌" | 犬 [khɯ³³] "개", 牛 [ɣɯ³³] "소", [ʐuɑ³³] "말", 石 [lv³³] "돌" | ||
2. 한자의 形, 音을 빌린 것 | 2. 한자의 形, 音을 빌린 것 | ||
- | |||
上 [ʂə⁵⁵] "말하다", 下 [ɕə¹³] "닭", 主。[dzɯ³³] "두부", 丘 [tɕhy³³] "钻, 송곳/뚫다" | 上 [ʂə⁵⁵] "말하다", 下 [ɕə¹³] "닭", 主。[dzɯ³³] "두부", 丘 [tɕhy³³] "钻, 송곳/뚫다" | ||
3. 한자의 形만 빌린 것 | 3. 한자의 形만 빌린 것 | ||
- | |||
小 [nv³¹] "黃豆", [pu⁵⁵] "送, 보내다/주다", 而 [za³¹] "웃다", 升 [ə⁵⁵] "是否", 五 [ba³¹] "喜欢, 좋아하다", 甲 [to³³] "木板" | 小 [nv³¹] "黃豆", [pu⁵⁵] "送, 보내다/주다", 而 [za³¹] "웃다", 升 [ə⁵⁵] "是否", 五 [ba³¹] "喜欢, 좋아하다", 甲 [to³³] "木板" | ||
나시족의 이 두 가지 문자는 역사상 일정한 역할을 했다. 중국 문화 보고 중의 진귀한 유산 중 하나이다.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두 문자의 자형은 상당히 원시적이어서, 현대 나시어의 특징을 분명히 나타낼 수 없다. 그래서 사회주의 건설 시기 나시족 인민의 생산, 생활, 과학기술, 문화 등 방면의 수요와 요구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가 어렵다. | 나시족의 이 두 가지 문자는 역사상 일정한 역할을 했다. 중국 문화 보고 중의 진귀한 유산 중 하나이다.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두 문자의 자형은 상당히 원시적이어서, 현대 나시어의 특징을 분명히 나타낼 수 없다. 그래서 사회주의 건설 시기 나시족 인민의 생산, 생활, 과학기술, 문화 등 방면의 수요와 요구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가 어렵다. | ||
+ | |||
+ | ##(3) 玛丽玛萨 문자 | ||
나시족은 예전부터 있었던 이 두 가지 문자 외에 玛丽玛萨 문자가 있다. 이 문자는 雲南省 維西縣 拉普公社의 玛丽玛萨 [mɑ³³li⁵⁵mɑ³³sɑ³³]라 자칭하는 100여 호 나시족이 사용하는 것이다. 그들의 조상은 200여년 전 木里, 拉塔 지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고 한다. (拉塔는 현재 四川省 鹽源縣의 左所區에 속함) 따라서 "玛丽玛萨"라는 자칭은 "木里摩梭"에서 온 말이고 "木里로부터 이주해 온 摩梭人"이라는 뜻인 듯하다. 이들이 拉塔로부터 이주해 온 초기에는 문자가 없었으나, 나중에 그곳의 동파 經師로부터 상형문자를 배웠고, 이로부터 100여 개 문자부호를 골라서 자기 방언을 기록(사건 기록, 장부 기재, 통신)하는 데 사용했다. 따라서 玛丽玛萨 문자는 동파문자의 파생 문자이다. 그 특징은 1개의 부호가 1개의 음절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哥巴문자와 비슷하다. 현재 常用하는 105개 문자부호는 아래에 제시한다. | 나시족은 예전부터 있었던 이 두 가지 문자 외에 玛丽玛萨 문자가 있다. 이 문자는 雲南省 維西縣 拉普公社의 玛丽玛萨 [mɑ³³li⁵⁵mɑ³³sɑ³³]라 자칭하는 100여 호 나시족이 사용하는 것이다. 그들의 조상은 200여년 전 木里, 拉塔 지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고 한다. (拉塔는 현재 四川省 鹽源縣의 左所區에 속함) 따라서 "玛丽玛萨"라는 자칭은 "木里摩梭"에서 온 말이고 "木里로부터 이주해 온 摩梭人"이라는 뜻인 듯하다. 이들이 拉塔로부터 이주해 온 초기에는 문자가 없었으나, 나중에 그곳의 동파 經師로부터 상형문자를 배웠고, 이로부터 100여 개 문자부호를 골라서 자기 방언을 기록(사건 기록, 장부 기재, 통신)하는 데 사용했다. 따라서 玛丽玛萨 문자는 동파문자의 파생 문자이다. 그 특징은 1개의 부호가 1개의 음절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哥巴문자와 비슷하다. 현재 常用하는 105개 문자부호는 아래에 제시한다. | ||
+ | |||
+ | ##(4) 3가지 문자의 용도 | ||
나시족 문자의 사용 양상에 대해 말하자면, 동파문자와 哥巴문자는 종교적 목적에 사용하고, 玛丽玛萨 문자는 일부 나시족 민중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해방 초기, 일부 나시족 기층 간부들은 여전히 이들 문자로 일을 기록하고 장부를 적고 필기를 했다. 그러나 이들 문자의 공통된 결함은 자형이 원시적이고 사용이 협소(面窄)하여 현재의 언어 현실을 반영해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민족 공통의 문자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 | 나시족 문자의 사용 양상에 대해 말하자면, 동파문자와 哥巴문자는 종교적 목적에 사용하고, 玛丽玛萨 문자는 일부 나시족 민중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해방 초기, 일부 나시족 기층 간부들은 여전히 이들 문자로 일을 기록하고 장부를 적고 필기를 했다. 그러나 이들 문자의 공통된 결함은 자형이 원시적이고 사용이 협소(面窄)하여 현재의 언어 현실을 반영해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민족 공통의 문자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 | ||
- | ##(3) 표음문자(병음문자) | + | ##(5) 표음문자(병음문자) |
+ | |||
+ | ###역사 | ||
해방 후, 당 정부는 민족 문자를 창제하는 것을 돕기로 했다. 이는 중국 어문 정책의 중요한 일부이다. 당의 민족 정책과 나시족 인민의 희망, 요구에 따라 로마자를 바탕으로 한 나시 병음문자를 창제했다. | 해방 후, 당 정부는 민족 문자를 창제하는 것을 돕기로 했다. 이는 중국 어문 정책의 중요한 일부이다. 당의 민족 정책과 나시족 인민의 희망, 요구에 따라 로마자를 바탕으로 한 나시 병음문자를 창제했다. | ||
줄 320: | 줄 341: | ||
나시문자방안의 자모, 성모, 운모, 성조, 격음부호는 각각 다음과 같다. | 나시문자방안의 자모, 성모, 운모, 성조, 격음부호는 각각 다음과 같다. | ||
- | 자모표 | + | ###자모표 |
|자모형식|a|b|c|d|e|f|ɡ|h|i|j|k|l|m| | |자모형식|a|b|c|d|e|f|ɡ|h|i|j|k|l|m| | ||
|음성기호 대조|a|p|tsh|t|ə|f|k|x|i|tɕ|kh|l|m| | |음성기호 대조|a|p|tsh|t|ə|f|k|x|i|tɕ|kh|l|m| | ||
줄 326: | 줄 348: | ||
|음성기호 대조|n|o|ph|tɕh|ʐ|s|th|u|v|u|ɕ|ʑ|ts| | |음성기호 대조|n|o|ph|tɕh|ʐ|s|th|u|v|u|ɕ|ʑ|ts| | ||
- | 성모 | + | ###성모 |
|나시문자 성모||b|p|bb|m|f|d|t|dd|n|l|ɡ|k|ɡɡ|nɡ|h| | |나시문자 성모||b|p|bb|m|f|d|t|dd|n|l|ɡ|k|ɡɡ|nɡ|h| | ||
|독음|한어병음|b|p||m|f|d|t||n|l|g|k||ng|h| | |독음|한어병음|b|p||m|f|d|t||n|l|g|k||ng|h| | ||
줄 341: | 줄 364: | ||
2. 성모 r은 음절초 위치에 나타날 때 국제음성기호 [ʐ]로 발음한다. | 2. 성모 r은 음절초 위치에 나타날 때 국제음성기호 [ʐ]로 발음한다. | ||
예: ree "술", ruɑ "말", ru "점심". | 예: ree "술", ruɑ "말", ru "점심". | ||
- | |||
성모 r이 모음 e 뒤에 나타날 때는 e에 권설현상이 일어남을 표시할 따름이다. | 성모 r이 모음 e 뒤에 나타날 때는 e에 권설현상이 일어남을 표시할 따름이다. | ||
예: cer "덥다", ser "장작", bber "옮기다" | 예: cer "덥다", ser "장작", bber "옮기다" | ||
- | 운모 | + | ###운모 |
|나시문자 운모||i|u|iu|ei|ai|a|o|e|er|ee|v| | |나시문자 운모||i|u|iu|ei|ai|a|o|e|er|ee|v| | ||
줄 363: | 줄 385: | ||
2. 운모 ee는 치조음 성모 z, c, zz, s, ss 뒤에서 국제음성기호 [ɿ]로 발음한다. | 2. 운모 ee는 치조음 성모 z, c, zz, s, ss 뒤에서 국제음성기호 [ɿ]로 발음한다. | ||
예: zeel [tsɿ⁵⁵] "塞", ceeq [tshɿ³¹] "오다", zzee [ndzɿ³³] "먹다", see [sɿ³³] "갈다", ssee [zɿ³³] "풀" | 예: zeel [tsɿ⁵⁵] "塞", ceeq [tshɿ³¹] "오다", zzee [ndzɿ³³] "먹다", see [sɿ³³] "갈다", ssee [zɿ³³] "풀" | ||
- | |||
권설음 성모 zh, ch, rh, sh, r 뒤에서는 국제음성기호 [ʅ]로 발음한다. | 권설음 성모 zh, ch, rh, sh, r 뒤에서는 국제음성기호 [ʅ]로 발음한다. | ||
예: zhee [tʂʅ³³] "흙", chee [tʂhʅ³³] "吊, 걸다/매달다", rhee [ndʐʅ³³] "豹, 표범", shee [ʂʅ³³] "고기", ree [ʐʅ³³] "술" | 예: zhee [tʂʅ³³] "흙", chee [tʂhʅ³³] "吊, 걸다/매달다", rhee [ndʐʅ³³] "豹, 표범", shee [ʂʅ³³] "고기", ree [ʐʅ³³] "술" | ||
줄 369: | 줄 390: | ||
3. v가 성모 뒤에 출현할 때 국제음성기호 [v]로 발음한다. | 3. v가 성모 뒤에 출현할 때 국제음성기호 [v]로 발음한다. | ||
예: tv [thv³³] "나다", bvl [pv⁵⁵] "보내다/주다", ɡvl [kv⁵⁵] "会". | 예: tv [thv³³] "나다", bvl [pv⁵⁵] "보내다/주다", ɡvl [kv⁵⁵] "会". | ||
- | |||
v가 운모 e, ee 앞에 출현할 때는 국제음성기호 [ɣ]로 발음한다. | v가 운모 e, ee 앞에 출현할 때는 국제음성기호 [ɣ]로 발음한다. | ||
예: vee [ɣɯ³³] "소", veq [ɣə³¹] "捞, 건지다" | 예: vee [ɣɯ³³] "소", veq [ɣə³¹] "捞, 건지다" | ||
줄 377: | 줄 397: | ||
5. u행의 운모가 홀로 음절을 구성할 때 wu "肿, 붓다", wi "煨, 굽다", wɑi "弯, 구부러지다", wɑq "是", we "마을/촌락", wei "喂, 여보세요"와 같이 표기한다. | 5. u행의 운모가 홀로 음절을 구성할 때 wu "肿, 붓다", wi "煨, 굽다", wɑi "弯, 구부러지다", wɑq "是", we "마을/촌락", wei "喂, 여보세요"와 같이 표기한다. | ||
- | 성조 | + | ###성조 |
나시어에는 고평, 중평, 저강, 저승의 4개 성조가 있다. | 나시어에는 고평, 중평, 저강, 저승의 4개 성조가 있다. | ||
줄 391: | 줄 411: | ||
|제4 성조|저승조 13|f|thɑf 他家|tvf 毒| | |제4 성조|저승조 13|f|thɑf 他家|tvf 毒| | ||
- | 격음부호 | + | ###격음부호 |
운모가 홀로 음절을 구성하여 기타 음절 뒤에 올 때, 음절 경계의 중의성이 발생하면, 격음부호로 구분한다. | 운모가 홀로 음절을 구성하여 기타 음절 뒤에 올 때, 음절 경계의 중의성이 발생하면, 격음부호로 구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