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axi: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naxi: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6/10/08 21:48]
박진호 [(1) 東巴문자]
doc:naxi: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2018/06/25 08:56] (현재)
줄 318: 줄 318:
  
 나시족의 이 두 가지 문자는 역사상 일정한 역할을 했다. 중국 문화 보고 중의 진귀한 유산 중 하나이다.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두 문자의 자형은 상당히 원시적이어서,​ 현대 나시어의 특징을 분명히 나타낼 수 없다. 그래서 사회주의 건설 시기 나시족 인민의 생산, 생활, 과학기술,​ 문화 등 방면의 수요와 요구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가 어렵다. 나시족의 이 두 가지 문자는 역사상 일정한 역할을 했다. 중국 문화 보고 중의 진귀한 유산 중 하나이다.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두 문자의 자형은 상당히 원시적이어서,​ 현대 나시어의 특징을 분명히 나타낼 수 없다. 그래서 사회주의 건설 시기 나시족 인민의 생산, 생활, 과학기술,​ 문화 등 방면의 수요와 요구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가 어렵다.
 +
 +##(3) 玛丽玛萨 문자
  
 나시족은 예전부터 있었던 이 두 가지 문자 외에 玛丽玛萨 문자가 있다. 이 문자는 雲南省 維西縣 拉普公社의 玛丽玛萨 [mɑ³³li⁵⁵mɑ³³sɑ³³]라 자칭하는 100여 호 나시족이 사용하는 것이다. 그들의 조상은 200여년 전 木里, 拉塔 지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고 한다. (拉塔는 현재 四川省 鹽源縣의 左所區에 속함) 따라서 "​玛丽玛萨"​라는 자칭은 "​木里摩梭"​에서 온 말이고 "​木里로부터 이주해 온 摩梭人"​이라는 뜻인 듯하다. 이들이 拉塔로부터 이주해 온 초기에는 문자가 없었으나,​ 나중에 그곳의 동파 經師로부터 상형문자를 배웠고, 이로부터 100여 개 문자부호를 골라서 자기 방언을 기록(사건 기록, 장부 기재, 통신)하는 데 사용했다. 따라서 玛丽玛萨 문자는 동파문자의 파생 문자이다. 그 특징은 1개의 부호가 1개의 음절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哥巴문자와 비슷하다. 현재 常用하는 105개 문자부호는 아래에 제시한다. 나시족은 예전부터 있었던 이 두 가지 문자 외에 玛丽玛萨 문자가 있다. 이 문자는 雲南省 維西縣 拉普公社의 玛丽玛萨 [mɑ³³li⁵⁵mɑ³³sɑ³³]라 자칭하는 100여 호 나시족이 사용하는 것이다. 그들의 조상은 200여년 전 木里, 拉塔 지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고 한다. (拉塔는 현재 四川省 鹽源縣의 左所區에 속함) 따라서 "​玛丽玛萨"​라는 자칭은 "​木里摩梭"​에서 온 말이고 "​木里로부터 이주해 온 摩梭人"​이라는 뜻인 듯하다. 이들이 拉塔로부터 이주해 온 초기에는 문자가 없었으나,​ 나중에 그곳의 동파 經師로부터 상형문자를 배웠고, 이로부터 100여 개 문자부호를 골라서 자기 방언을 기록(사건 기록, 장부 기재, 통신)하는 데 사용했다. 따라서 玛丽玛萨 문자는 동파문자의 파생 문자이다. 그 특징은 1개의 부호가 1개의 음절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哥巴문자와 비슷하다. 현재 常用하는 105개 문자부호는 아래에 제시한다.
 +
 +##(4) 3가지 문자의 용도
  
 나시족 문자의 사용 양상에 대해 말하자면,​ 동파문자와 哥巴문자는 종교적 목적에 사용하고,​ 玛丽玛萨 문자는 일부 나시족 민중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해방 초기, 일부 나시족 기층 간부들은 여전히 이들 문자로 일을 기록하고 장부를 적고 필기를 했다. 그러나 이들 문자의 공통된 결함은 자형이 원시적이고 사용이 협소(面窄)하여 현재의 언어 현실을 반영해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민족 공통의 문자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 나시족 문자의 사용 양상에 대해 말하자면,​ 동파문자와 哥巴문자는 종교적 목적에 사용하고,​ 玛丽玛萨 문자는 일부 나시족 민중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해방 초기, 일부 나시족 기층 간부들은 여전히 이들 문자로 일을 기록하고 장부를 적고 필기를 했다. 그러나 이들 문자의 공통된 결함은 자형이 원시적이고 사용이 협소(面窄)하여 현재의 언어 현실을 반영해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민족 공통의 문자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
  
-##(3) 표음문자(병음문자)+##(5) 표음문자(병음문자)
  
 ###역사 ###역사
doc/naxi/0_general/05_writing/05_writing.147593090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0/08 21:48 저자 박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