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negidal:1_phonology:11_cons:11_cons [2020/03/17 16:43] 최문정 |
doc:negidal:1_phonology:11_cons:11_cons [2020/04/15 16:34] (현재) 최문정 [자음의 특성] |
||
---|---|---|---|
줄 1: | 줄 1: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 자음 음소 목록(18개) | ||
+ | |||
+ |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 ||
+ | | bilabial | plosive | [p], [b] | | ||
+ | | dental | plosive | [t], [d] | | ||
+ | | palatal | plosive | c, ɟ (ч з̌) | | ||
+ | | velar | plosive |[k], [g] | | ||
+ | | uvular | plosive | (q) | | ||
+ | | labio-dental | fricative | [v](w), [f] | | ||
+ | | alveolar | fricative |[s] | | ||
+ | | velar | fricative | x, (ɣ) | | ||
+ | | uvular | fricative | (χ) | | ||
+ | | bilabial | nasal |[m] | | ||
+ | | dental | nasal |[n] | | ||
+ | | palatal | nasal | ɲ | | ||
+ | | velar | nasal |[N] | | ||
+ | | palatal | approximant |[j] | | ||
+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l] | | ||
+ | | dental | trill | ([r]) | | ||
+ | |||
+ | - 괄호 안은 위치에 따른 변이음 | ||
+ | |||
+ | ##### 자음의 특성 | ||
+ | |||
+ | - г는 모음 사이에서 마찰음으로 발음된다.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
+ | |||
+ | - гоɣо : 짖다 | ||
+ | |||
+ | }}} | ||
+ | |||
+ | 11 | ||
+ | |||
+ | |||
+ | - 하류 방언. 모음 사이 파열음 к는 마찰음 х로 발음된다. | ||
+ | - 위 두 변이음은 모음 а, о, ē 와 만날 때 uvular 속성을 띤다.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
+ | |||
+ | - қачиҳāн : 강아지 | ||
+ | - қōқчāн : 발굽 | ||
+ | |||
+ | }}} | ||
+ | |||
+ | 12 | ||
##### 자음군 | ##### 자음군 | ||
줄 9: | 줄 55: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
- | - и:- : 들어가다 | + | - ӣ- : 들어가다 |
- | - и:-вка:.н- : 들여보내다 | + | - ӣ-вкạ̄н- : 들여보내다 |
}}} | }}} | ||
줄 20: | 줄 66: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