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negidal:2_wordclass:22_noun:22_noun [2020/03/17 17:33] 최문정 |
doc:negidal: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2:56] (현재) 최문정 |
||
---|---|---|---|
줄 3: | 줄 3: | ||
#### 명사의 문법범주 | #### 명사의 문법범주 | ||
+ | - 수, 격, 소유 범주가 있다. | ||
- 성 범주는 없다. | - 성 범주는 없다. | ||
- 유정/무정 범주도 없다. | - 유정/무정 범주도 없다. | ||
줄 14: | 줄 15: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3) | {{{lex>negi1245 (tsintsius1997:193) | ||
- | - жо: 집 & жо:-л, жо:-сал : 집들 | + | - з̌ō 집 & з̌ō-л, з̌ō-сал : 집들 |
- мойин : 말 & мойи-л, мойи-сал : 말들 (PL) | - мойин : 말 & мойи-л, мойи-сал : 말들 (PL) | ||
}}} | }}} | ||
+ | |||
+ | 15 | ||
- 친족명사와 일부 명사의 특별한 복수 접미사 | - 친족명사와 일부 명사의 특별한 복수 접미사 | ||
줄 24: | 줄 27: | ||
- амин : 아버지 & ам-тил : 아버지들 (PL) | - амин : 아버지 & ам-тил : 아버지들 (PL) | ||
- | - эн’ин : 어머니 & эн-тил : 어머니들 - ахин : 손위 남자형제 & ах-нил : 손위 남자형제들 | + | - эн’ин : 어머니 & эн-тил : 어머니들 |
+ | - ахин : 손위 남자형제 & ах-нил : 손위 남자형제들 | ||
- эхин : 손위 여자형제 & эх-нил : 손위 여자형제들 | - эхин : 손위 여자형제 & эх-нил : 손위 여자형제들 | ||
- | - нэхун : 손아래 형제 & нэн,-нил : 손아래 형제들 | + | - нэхун : 손아래 형제 & нэӈ-нил : 손아래 형제들 |
- доха : 남자 친척 & доха-йил : 남자 친척들 | - доха : 남자 친척 & доха-йил : 남자 친척들 | ||
- | - те:ва : 씨족 내 여자 & те:ва-нил : 씨족 내 여자들 | + | - тēва : 씨족 내 여자 & тēва-нил : 씨족 내 여자들 |
- | - хона:т : 아가씨 & хонил : 아가씨들 | + | - хонāт : 아가씨 & хонил : 아가씨들 |
- анда : 친구 & анда-нил, анда-сал : 친구들 | - анда : 친구 & анда-нил, анда-сал : 친구들 | ||
- хутэ : 아이 & хуйил : 아이들 | - хутэ : 아이 & хуйил : 아이들 | ||
- | - аси: 여자, 아내 & асал : 여자들 | + | - аси : 여자, 아내 & асал : 여자들 |
- | - эди: 남편 & эдэл : 남편들 | + | - эди : 남편 & эдэл : 남편들 |
}}} | }}} | ||
+ | |||
+ | 16 | ||
+ | |||
+ | |||
+ | |||
+ | ### 명사의 격 | ||
+ | |||
+ | - 9개의 격이 있다. (비교: 어웡키어는 13개 격) | ||
+ | - 호격 | ||
+ | - 명사류(명사, 형용사, 대명사) 뿐 아니라 형동사 현재, 과거, 미래형에도 격 형태가 있다.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3) | ||
+ | |||
+ | - ама : 아버지 & амай : 아버지(호격) | ||
+ | - энэ : 어머니 $ энэй : 어머니(호격) | ||
+ | - аха : 손위 남자형제(형, 오빠) & ахай : 손위 남자형제(형, 오빠)(호격) | ||
+ | - эхэ : 손위 여자형제(언니, 누나) & эхэй : 손위 여자형제(언니, 누나)(호격) | ||
+ | - нэху : 손아래 형제 (남동생, 여동생) | ||
+ | |||
+ | }}} | ||
+ | |||
+ | ### 명사의 소유범주 | ||
+ | |||
+ | - 두 가지 소유 형태 неотчуждаемое (органическое) 일체?? / отчуждаемое (относительное) притяжение 분리?? | ||
+ | - 절대소유 абсолютная / 독립소유 самостоятель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 ~의 것?? | ||
+ | - неотчуждаемое: 명사의 단수 또는 복수의 격형태에 인칭 또는 비인칭(재귀) 접미사가 붙는다. | ||
+ | - отчуждаемое: 명사의 어간에 접미사 -ӈ, -ӈи 를 붙인다.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дел-и-нин : 그의 머리 (그의 신체의 일부) | ||
+ | - дел-и-ӈи-нин : 그의 소유인 (잡은 짐승의) 머리 | ||
+ | |||
+ | }}} | ||
+ | |||
+ | - 독립소유형은 접미사 -ни ~ -ӈи를 명사의 어간에 첨가해서 만든다. 해당 명사가 술어 역할, 소유형태의 명사류를 대신하는 것 또는 도치된 수식어일 경우. ???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тай дел — мойин-ӈӣ | ||
+ | that head — horse-POSS | ||
+ | 그 머리는 말의 것이다 | ||
+ | }}} | ||
+ | |||
+ | - 대명사의 독립소유형도 똑같은 형태이다.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минни : 나의 것 | ||
+ | - синни : 너의 것 | ||
+ | |||
+ | }}} | ||
+ | |||
+ | - 소유형태(формы обладания): -лкāӈ -лкạ̄(PL -лкāсал, -лкạ̄саэл), -чӣ (PL -чӣл), -лгали, -лгэли를 붙여서 만든다.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омон боэйе асӣлкāн бичạ̄н | ||
+ | one man wife.POSS live.PST | ||
+ | 부인이 있는 한 사람이 살았다 Один человек с з̌еной (з̌енатый) з̌ил | ||
+ | }}}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тай з̌ōдӯ омон атихāн хутэчӣл | ||
+ | that house.LOC one old.woman chil.POSS | ||
+ | 그 집에 아이가 있는 할머니가 있다 В том доме одна старуха с ребенком (имеющая ребенка) | ||
+ | }}}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н’иуктэлгэливạ̄н чопал тагдичāл | ||
+ | UNK UNJ UNK | ||
+ | с волосами его вместе всего разорвали | ||
+ | }}} | ||
+ | |||
+ | ###### 인칭소유 | ||
+ | |||
+ | {{{eg>negi1245 (nedyalkov2001:340) | ||
+ | д’о:-вун | ||
+ | house-POSS.1PL | ||
+ | 우리의 집 | ||
+ | }}} | ||
+ | |||
+ | ###### 재귀소유 | ||
+ | |||
+ | {{{eg>negi1245 (nedyalkov2001:340) | ||
+ | кото-йи | ||
+ | knife-own.REFL.POSS. | ||
+ | 자신의 칼 | ||
+ | }}} | ||
+ | |||
+ | - 인칭소유 접미사, 재귀소유 접미사는 명사와 일부 대명사뿐 아니라 일부 분사, 부동사에도 첨가될 수 있다. | ||
+ | - 격표지, 소유표지, 복수접미사 -л은 명사류뿐 아니라 일부 동사류에도 붙는다. (예를 들어 정형동사의 시제형태) | ||
+ | |||
+ | |||
+ | ### 존재의 부정 | ||
+ | |||
+ | - 무언가가 없다는 것을 표현할 때에는 부정어 āчин이 술어가 된다.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асӣ āчин | ||
+ | woman be.NEG | ||
+ | 여자가 없다 женщины нет | ||
+ | }}} | ||
+ | |||
+ | ###### 대조 выделительно-уточнительная форма | ||
+ | |||
+ | - 접미사 -нма, -тма를 붙인다.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Олӣ — ахинмā, хуɣọ̄чạ̄н — нэхунмạ̄ | ||
+ | crow — elder.brother.UNK hawk — younger.brother.UNK | ||
+ | 까마귀는 형이고, 매는 동생이다 | ||
+ | }}} | ||
+ | |||
+ | ###### 비유 접미사 уподобительное значение | ||
+ | |||
+ | - -ɣачиӈ -ɣэчиӈ -качиӈ -кэчиӈ -ӈачиӈ -ӈэчин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бэойеɣэчин вāчā бимӣ | ||
+ | as.man UNK UNK | ||
+ | 남자처럼 (그녀가) 죽였던 거라면 как муз̌чина, если бы (она) убивала | ||
+ | }}} | ||
+ | |||
+ | - 크기를 비교할 때에는 후치사 дӣ-нин 이 사용된다. | ||
+ |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н’иуктэнин бичạ̄ чина дӣнин | ||
+ | her hair crow POST | ||
+ | 그녀의 머리는 까마귀 둥지였다 волосы у нее были воронье гнездо | ||
+ | }}} | ||
+ | |||
+ | ###### 지소형, 지대형 | ||
+ | |||
+ | - 지대형 접미사: -хāйā, хạ̄йạ̄ (-кāйā, кạ̄йạ̄), -нз̌а, -нз̌е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бэойехạ̄йạ̄ (бэойенз̌е) : 매우 큰 사람 | ||
+ | |||
+ | }}} | ||
+ | |||
+ | - 지소형 접미사: -хāӈ -хạ̄н (-кāӈ -кạ̄н), -хкāӈ -хкạ̄н (-ккāӈ -ккạ̄н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дэт : 늪 & дэткạ̄н : 작은 늪 | ||
+ | - бейа : 강 & бэйахкāн : 시내 | ||
+ | |||
+ | }}} | ||
+ | |||
+ | ### 인칭범주 Грамматическое лицо | ||
+ | |||
+ | - 인칭범주는 인칭대명사 외에 동사의 인칭활용형과 명사류의 인칭소유형으로 표현된다. | ||
+ | - 인칭활용형: 정형 — 직설법의 다양한 시제, 간접법косвенные наклонения, 미정형 — 부동사의 일부) | ||
+ | |||
+ | ###### 명사류의 인칭소유형 | ||
+ | |||
+ | | | 단수 | 복수 | | ||
+ | | 1인칭 | -(и)в/-м/-би | (배제형) -вун/-мун/-бун | | ||
+ | | | | (포함형) -(и)т | | ||
+ | | 2인칭 | -(и)с | -(и)сун | | ||
+ | | 3인칭 | -(и)нин | -(и)тин | | ||
+ | |||
+ | - ???명사류의 재귀소유접미사는 사물의 소유주가 해당명사를 지배하는 동사의 행위주(agent)와 일치함кореферентность을 표현한다. 이들 접미사는 모든 인칭에 공통이며 문법적 수만 구별된다. (단수: -йи/-ви/-ɣи/-ми/-би, 복수: -най/-вай/-ɣай/-май/-бай). 그러나 맥락에 따라 동사가 무엇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언제나 소유주의 인칭이 결정된다. | ||
+ | |||
+ | ### 명사의 곡용 | ||
+ | |||
+ | |||
+ | ###### 명사의 곡용 | ||
+ | |||
+ | | |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 -н-으로 끝나는 어간 | 복수 접미사가 붙은 어간 | | ||
+ | | | 집 | 사슴 | 집들 | | ||
+ | | 주격 | з̌ō | ойон | з̌ōл | | ||
+ | | 대격(특정)?? | з̌ō-ва | ойон-мо | з̌ōл-ба | | ||
+ | | 대격(불특정)?? | з̌ō-йа | ойон-о | з̌ōл-ла | | ||
+ | | 여격 | з̌ō-дӯ | ойон-дӯ | з̌ōл-лӯ | | ||
+ | | 향격 | з̌ō-ткӣ | ойон-тилӣ | з̌ōл-тихӣ | | ||
+ | | 처격 | з̌ō-лā | ойон-дулā | з̌ōл-дулā | | ||
+ | | 연격 | з̌ō-лӣ | ойон-дулӣ | з̌ōл-дулӣ | | ||
+ | | 탈격 | з̌ō-дуккой | ойон-дуккой | з̌ōл-дуккой | | ||
+ | | 조격 | з̌ō-зи | ойон-з̌и | з̌ōл-зи | | ||
+ | |||
+ | |||
+ | - 장소 관련 격(локативные падежи)?? - 향격(-тки/-ттӣ), 처격(-лā, -дулā), 연격(-лӣ/-дулӣ), 탈격(-дуккой). 어웡키어에도 이 격 형태가 약간의 음성적 변형이 있을 뿐 모두 존재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