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negidal:2_wordclass:23_verb:23_verb [2020/04/04 17:54] 최문정 [시제] |
doc:negidal: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1 12:56] (현재) 최문정 |
||
|---|---|---|---|
| 줄 20: | 줄 20: | ||
| }}} | }}} | ||
| - | ### 수동태 | + | ### 동사의 태 |
| + | |||
| + | | 태 | 접미사 | | ||
| + | | 상호태 | -мāт | | ||
| + | | 공동태 | -лды | | ||
| + | | 수동태 | -в(у) | | ||
| + | | 사동태 | -вкан | | ||
| + | |||
| + | ##### 수동태 | ||
| - 동사의 어간에 접미사 -в, -му를 첨가하여 만든다. | - 동사의 어간에 접미사 -в, -му를 첨가하여 만든다. | ||
| 줄 31: | 줄 39: | ||
| }}} | }}} | ||
| - | ### 동사의 태 | + | - -пла |
| + | - 어웡키어에는 없다. 남부퉁구스어에는 여러 이형태로 존재. | ||
| + | 오로크어 -пула, 나나이어. | ||
| + | |||
| + | {{{lex>negi1245 (nedyalkov2001:341) | ||
| + | |||
| + | - вā-пла : 죽임을 당한 | ||
| + | |||
| + | }}} | ||
| - | ##### средне-возвратный залог ???재귀태 | + | ##### 중동태 mediopassive voice (средневозвратный залог) |
| - 접미사 -п를 붙인다. | - 접미사 -п를 붙인다. | ||
| 줄 76: | 줄 93: | ||
| ### 동사의 상 | ### 동사의 상 | ||
| + | |||
| + | - 다수의 상 형태 | ||
| + | - 어웡키어와 같은 형태가 많음 | ||
| + | |||
| ##### 완료상/불완료상 | ##### 완료상/불완료상 | ||
| 줄 203: | 줄 224: | ||
| }}} | }}} | ||
| + | |||
| + | - 부정의 의미를 가지는 특수한 양상동사들이 있다. 할 수 없다, 원하지 않는다, 할 줄 모른다 등 | ||
| ### 동사(정형동사, 미정형동사)의 형태 만드는 방법 | ### 동사(정형동사, 미정형동사)의 형태 만드는 방법 | ||
| 줄 215: | 줄 238: | ||
| - 1) 직설법(현재, 과거, 과거완망상, 원격과거완망상?? Давнопрошедшее результативное, 미래시제) | - 1) 직설법(현재, 과거, 과거완망상, 원격과거완망상?? Давнопрошедшее результативное, 미래시제) | ||
| - 2) 명령법 (현재, 미래) | - 2) 명령법 (현재, 미래) | ||
| - | - 3) 경고법 предостерегательное | + | - 3) 경고법 предостерегательное: д’эққэс/-чэққэс |
| - | - 4) 접속법 (두 가지 형태) | + | - 4) 접속법 (두 가지 형태): -мчā |
| - | - 5) 과거추론предполоз̌ительно-вероятное наклонение (두 가지 형태) | + | - 5) 과거추론предположительно-вероятное наклонение (두 가지 형태): -нā |
| - 6) потенциа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현재, 과거, 미래시제) - 7) 당위법 (현재, 미래시제) | - 6) потенциа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현재, 과거, 미래시제) - 7) 당위법 (현재, 미래시제) | ||
| 줄 239: | 줄 262: | ||
| - 분석적인 방법: 부정조동사 э- + 불변분사 + 접미사 -йа, -йе 와 이형태 | - 분석적인 방법: 부정조동사 э- + 불변분사 + 접미사 -йа, -йе 와 이형태 | ||
| + | - 어웡키어는 -ра. -йа < -ра | ||
| {{{eg>negi1245 (tsintsius1997:195) | {{{eg>negi1245 (tsintsius1997:195) | ||
| 줄 275: | 줄 299: | ||
| 죽이지 않는 не убивающий | 죽이지 않는 не убивающий | ||
| }}} | }}} | ||
| + | |||
| + | {{{eg>negi1245 (nedyalkov2001:341) | ||
| + | э-си-м сā-йа | ||
| + | AUX.NEG.PRESP know.PTCP.NEG | ||
| + | 나는 모른다 | ||
| + | }}} | ||
| + | |||
| + | {{{eg>negi1245 (nedyalkov2001:341) | ||
| + | э-хэл бӯ-йэ! | ||
| + | AUX.NEG. give.PTCP.NEG | ||
| + | 주지 마! Не давай! | ||
| + | }}} | ||
| + | |||
| - 양상의미 부정 동사: 부대상황 부동사 + 접미사 -мӣ | - 양상의미 부정 동사: 부대상황 부동사 + 접미사 -мӣ | ||
| 줄 284: | 줄 321: | ||
| }}} | }}} | ||
| - | - 부동사 CNV GER?? | + | |
| + | |||
| + | - 부동사 | ||
| #### 무인칭(재귀) 목적형 | #### 무인칭(재귀) 목적형 | ||
| 줄 316: | 줄 355: | ||
| - 분사(-чā) + 조동사 би- (быть)의 과거형 -чā | - 분사(-чā) + 조동사 би- (быть)의 과거형 -чā | ||
| - | + | ||
| #### 공간적 방향성 | #### 공간적 방향성 | ||
| 줄 441: | 줄 480: | ||
| | | 현재 (죽임을 당하는) | 과거(죽임을 당한) | 원격과거(오래전에 죽임을 당한) | | | | 현재 (죽임을 당하는) | 과거(죽임을 당한) | 원격과거(오래전에 죽임을 당한) | | ||
| | 단수 | вā-ввӣ | вā-в-чā-(йӣ) | вā-пла | | | 단수 | вā-ввӣ | вā-в-чā-(йӣ) | вā-пла | | ||
| + | |||
| + | |||
| + | ##### 문법범주의 결합 | ||
| + | |||
| + | - 필수적이지 않은 동사 범주(valency, 태, 상, 양상의미)의 표지가 하나의 동사 형태에 두 개 이상 결합할 수 있다. | ||
| + | |||
| + | {{{eg>negi1245 (nedyalkov2001:341) | ||
| + | ивā-нā-си-ктэ-чā-н | ||
| + | UNK | ||
| + | 그는 장작을 패러 여러번 다녔다. Он ходил неоднократно колоть дрова | ||
| + | }}} | ||
| + | |||
| + | ##### 의문동사 | ||
| + | |||
| + | - 특수한 의문동사 ē- что делать?? | ||
| + | - 일반 동사의 모든 범주에 따라 변화한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