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negidal:4_ss:46_val:46_val [2020/03/16 22:06] 127.0.0.1 바깥 편집 |
doc:negidal:4_ss:46_val:46_val [2021/08/31 12:52]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 + | ### 동사의 태 | ||
| + | |||
| + | | 태 | 접미사 | | ||
| + | | 상호태 | -мāт | | ||
| + | | 공동태 | -лды | | ||
| + | | 수동태 | -в(у) | | ||
| + | | 사동태 | -вкан | | ||
| + | |||
| + | ##### 수동태 | ||
| + | |||
| + | - 동사의 어간에 접미사 -в, -му를 첨가하여 만든다. | ||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 - вā-в- : 죽임을 당했다 | ||
| + | - иче-в- : 발견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пла | ||
| + | - 어웡키어에는 없다. 남부퉁구스어에는 여러 이형태로 존재. | ||
| + | 오로크어 -пула, 나나이어. | ||
| + | |||
| + | {{{lex>negi1245 (nedyalkov2001:341) | ||
| + | |||
| + | - вā-пла : 죽임을 당한 | ||
| + | |||
| + | }}} | ||
| + | |||
| + | |||
| + | ##### 중동태 mediopassive voice (средневозвратный залог) | ||
| + | |||
| + | - 접미사 -п를 붙인다. | ||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 - эмạ̄п- : 남다 остаться & - эмạ̄н : 남기다 оставить | ||
| + | |||
| + | }}} | ||
| + | |||
| + | ##### 상호태 | ||
| + | |||
| + | - 접미사 -мāт-/ч-, мạ̄т-/ч- | ||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 - вā-мāт-/ч- : 서로를 죽이다 | ||
| + | |||
| + | }}} | ||
| + | |||
| + | ##### 공동태 | ||
| + | |||
| + | - 접미사 -лди | ||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 - улгучạ̄лди- : 합의하다 | ||
| + | |||
| + | }}} | ||
| + | |||
| + | ##### 사동태 побудительность (каузатив) | ||
| + | |||
| + | - 접미사 -вкāӈ вкạ̄ӈ -мкāӈ мкạ̄ӈ -вкāт-/ч-, вкạ̄т-/ч-, мкāт-/ч-, мкạ̄т-/ч- | ||
| + | - побуз̌дение 권유, 허용, 청유를 표현 | ||
| + | |||
| + | {{{lex>negi1245 (tsintsius1997:194) | ||
| + | |||
| + | - иче-вкạ̄н- : 보게 해주다, 보여주다 | ||
| + | - зепу-вкạ̄т-/ч- : 먹으라고 하다 предлагать есть | ||
| + | |||
| + | }}} | ||